저자 소개(6명)

이전

저 : 이명권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이명권
관심작가 알림신청
연세대학교신학과를 졸업하였고, 감리교 신학대학원을 졸업하고, 동국대학교 대학원 인도철학과에서 석사학위를 마쳤다. 서강대학교 대학원 종교학과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했고, 미국 [크리스천헤럴드] 편집장으로 활동했다. 관동대학교에서 ‘종교간의 대화’를 강의하였고, 그 후 중국 길림사범대학교에서 중국문학 석사학위를 취득한 후, 길림대학 중국철학과에서 노자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중국 길림사범대학교에서 교환교수로 재직하였고, 동 대학 동아시아연구소 소장을 역임하였다. 현재 코리안아쉬람 대표이며, 서울신학대학교에서 동양사상 강의를 하고 있다.

저서로는 한길사에서 나온 『우파니샤드』와 『베다』를 비롯하여 『비움과 나눔의 영성』, 『예수 노자를 만나다』, 『예수 석가를 만나다』, 『공자와 예수에게 길을 묻다』, 『무함마드, 예수, 그리고 이슬람』, 『암베드카르와 현대인도 불교』, 『오늘날 우리에게 해탈은 무엇인가?』(공저), 『사람의 종교, 종교의 사람』(공저), 『종말론』(공저), 『통일시대로 가는 평화의 길』(공저), 『평화와 통일』(공저) 등이 있다.

역서로는 웨슬리 아리아라자의 『종교간의 대화와 협력을 위한 영성』, 마하트마 간디의 『간디 명상록』, 마틴 루터 킹의 『마틴 루터 킹』, 디완찬드 아히르의 『암베드카르』, 세샤기리 라오의 『간디와 비교종교』, 한스 큉의 『위대한 그리스도 사상가들』(공역), 『우리 인간의 종교들』(공역)이 있다.

논문으로는 <기독교의 자유론과 인도철학의 해탈론 비교연구>(석사논문), <마가 이적설화의 정치적 해석>(석사논문), <‘풍류’ 개념의 한중비교연구>(석사논문), <암베드카르와 현대 인도불교>(종교학박사학위 논문), <노자와 세계 성현들과의 대화 - 노자의 도 개념을 중심으로>(중국철학박사논문) 등 다수의 논문이 있다.

이명권의 다른 상품

종교와 예술

종교와 예술

19,000 (5%)

'종교와 예술' 상세페이지 이동

종교와 생태

종교와 생태

19,000 (5%)

'종교와 생태' 상세페이지 이동

상호문화적 글로벌시대의 종교와 정치

상호문화적 글로벌시대의 종교와 정치

16,150 (5%)

'상호문화적 글로벌시대의 종교와 정치' 상세페이지 이동

메타버스 시대의 신학과 목회

메타버스 시대의 신학과 목회

11,700 (10%)

'메타버스 시대의 신학과 목회' 상세페이지 이동

풍류신학 백년

풍류신학 백년

15,300 (10%)

'풍류신학 백년' 상세페이지 이동

상호문화적 글로벌 시대의 종교와 문화

상호문화적 글로벌 시대의 종교와 문화

12,350 (5%)

'상호문화적 글로벌 시대의 종교와 문화' 상세페이지 이동

공자와 예수에게 길을 묻다

공자와 예수에게 길을 묻다

19,000 (5%)

'공자와 예수에게 길을 묻다' 상세페이지 이동

李信의 묵시의식과 토착화의 새 차원

李信의 묵시의식과 토착화의 새 차원

17,100 (10%)

'李信의 묵시의식과 토착화의 새 차원' 상세페이지 이동

저 : 박수영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박수영
관심작가 알림신청
연세대학교에서 지질학과 철학을 공부하고, 10여 년간 공기업에서 직장생활을 하였다. 이후 회사를 휴직하고 KAIST 비즈니스 스쿨에서 경영학석사과정(MBA)을 잠시 공부하였고, 동국대에서 불교학으로 석사, 인도철학으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현재는 동국대에서 강의중이며, 한국불교학회에서 인도철학 담당 편집위원으로 일하고 있다.

주요 논저로는 산스끄리뜨어의 기원에 대한 “Proto-Indo-European 오그먼트의 기원과 역할: 오그먼트는 어떻게 과거를 지시하는가?”(인도철학 42집), 빠니니 문법의 구조를 분석한 “『아슈따디아이』 따디따(taddhita) 부분의 구조”(인도연구 21권1호), 바르뜨리하리의 인도사상사적 위치를 다룬 “바르뜨리하리(Bhart?hari)의 재조명”(남아시아연구 25권1호), 힌두이즘의 기원 문제를 다룬 “힌두이즘의 기원에 대한 재조명: 힌두교는 동인도회사(EIC)의 발명품인가”(인도철학 57집), 그리고 『포스트코로나 시대의 새 종교지평』(공저) 등이 있다.

박수영의 다른 상품

종교와 예술

종교와 예술

19,000 (5%)

'종교와 예술' 상세페이지 이동

종교와 생태

종교와 생태

19,000 (5%)

'종교와 생태' 상세페이지 이동

상호문화적 글로벌시대의 종교와 정치

상호문화적 글로벌시대의 종교와 정치

16,150 (5%)

'상호문화적 글로벌시대의 종교와 정치' 상세페이지 이동

상호문화적 글로벌 시대의 종교와 문화

상호문화적 글로벌 시대의 종교와 문화

12,350 (5%)

'상호문화적 글로벌 시대의 종교와 문화' 상세페이지 이동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평화사상과 종교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평화사상과 종교

12,350 (5%)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평화사상과 종교' 상세페이지 이동

저 : 박종식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박종식
관심작가 알림신청
空日,공일만종스님
서울대학교에서 수의학을 공부했으며, 동국대학교 대학원에서 인도철학을 공부하여 철학박사 학위를 취득한 조계종 승려이다. 20대의 젊은 시절 구로공단에서 생활하였으며, 30대에는 백두산 언저리에서 발해와 고구려 유적지와 항일독립투쟁의 현장을 찾아 돌아다닌 적이 있다. 동물병원을 운영하며 공동체 관련 일에 관여하다가 덕유산 자락으로 옮겨 자연농법과 영성에 대한 다양한 실험을 하였다. 40대에 출가하여 서울 성북동의 길상사를 비롯한 여러 수행처에서 지냈다.

최근까지 설악산과 지리산 자락의 절집과 남해 바닷가의 토굴 등을 오가며 정진하다가, 2020년 겨울부터 서울 봉은사에서 교육과 관련된 업무를 담당하고 있다. 최근에는 문명비평에 초점을 둔 불교미학 검토, 생명현상을 검토하는 불교의학 연구, 그리고 선어록에 대한 신선한 해석작업 등을 하고 있다. 동국대학교 객원교수인 그는 찾아오는 사람들에게 차(茶) 마시기를 권하곤 한다. 최근의 저술 연구업적으로는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새 종교지평』(공저)이 있다.

박종식의 다른 상품

종교와 예술

종교와 예술

19,000 (5%)

'종교와 예술' 상세페이지 이동

종교와 생태

종교와 생태

19,000 (5%)

'종교와 생태' 상세페이지 이동

상호문화적 글로벌시대의 종교와 정치

상호문화적 글로벌시대의 종교와 정치

16,150 (5%)

'상호문화적 글로벌시대의 종교와 정치' 상세페이지 이동

상호문화적 글로벌 시대의 종교와 문화

상호문화적 글로벌 시대의 종교와 문화

12,350 (5%)

'상호문화적 글로벌 시대의 종교와 문화' 상세페이지 이동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평화사상과 종교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평화사상과 종교

12,350 (5%)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평화사상과 종교' 상세페이지 이동

저 : 김종만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김종만
관심작가 알림신청
고려대학교에서 한국사(B.A.)를 공부하고 서울신학대학교에서 교회사 전공으로 석사학위(M.A.)를 받았으며 서강대학교에서 종교학으로 박사학위(Ph.D.)를 받았다. 고려대학교 포닥연구교수를 역임했으며,?현재는 경희대학교 종교시민문화연구소 학술연구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강의는 고려대, 서강대, 배재대, 영남신학대학교 신학대학원에서 했으며 지금은 고려대학교, 서울신학대학교에서 하고 있고 한국신종교학회 상임이사를 맡고 있다.

단독저서로는 『틱낫한과 하나님』 단독역서로는 『틱낫한의 사랑이란 무엇인가』, 『틱낫한의 깨어있는 마음수행』 등이 있고, 공동저서로는 『종교와 생태담론: 인식과 실천』, 『St Andrews Encyclopaedia of Theology(Minjung Theology)』, 『종교와 공공성』, 『(상호문화적 글로벌시대의) 종교와 문화』, 『아신신학연구소의 정체성과 미래』,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평화사상과 종교』, 『한국 문화의 정체성』, 『직업으로서의 종교사회학』, 『한국종교의 진단과 전망 : 유교, 원불교, 기독교를 중심으로』,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새 종교 지평』, 『평화의 신학』 등이 있다. 그 외 다수의 연구논문이 있다.

김종만의 다른 상품

한국 문화의 정체성

한국 문화의 정체성

43,000

'한국 문화의 정체성' 상세페이지 이동

상호문화적 글로벌 시대의 종교와 문화

상호문화적 글로벌 시대의 종교와 문화

12,350 (5%)

'상호문화적 글로벌 시대의 종교와 문화' 상세페이지 이동

틱낫한의 깨어있는 마음 수행

틱낫한의 깨어있는 마음 수행

11,400 (5%)

'틱낫한의 깨어있는 마음 수행' 상세페이지 이동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평화사상과 종교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평화사상과 종교

12,350 (5%)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평화사상과 종교' 상세페이지 이동

한국종교의 진단과 전망

한국종교의 진단과 전망

7,600 (5%)

'한국종교의 진단과 전망' 상세페이지 이동

틱낫한과 하나님

틱낫한과 하나님

15,200 (5%)

'틱낫한과 하나님' 상세페이지 이동

틱낫한의 사랑이란 무엇인가?

틱낫한의 사랑이란 무엇인가?

7,600 (5%)

'틱낫한의 사랑이란 무엇인가?' 상세페이지 이동

평화의 신학

평화의 신학

16,200 (10%)

'평화의 신학' 상세페이지 이동

저 : 최자웅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최자웅
관심작가 알림신청
동학혁명의 현장과 본거인 고향 전주에서 조실부모의 환경으로 성장하며 파랑새의 민요와 함께 조숙하게 세계고(世界苦)에 눈 떠 일찍이 시인과 혁명가와 종교의 꿈을 지니고 그 길을 작정하게 되었다. 1980년대 초반에 김지하 시인과 원주 자택에서 만나 대화하고 시인에게서 미륵(彌勒)의 필명을 제안 받기도 하였음. 성공회에서 사제서품을 받고 노동사목의 꿈을 지니고 어려움 속에 분투하기도 하고 한신대 수학 후에 서강대 대학원을 거쳐 독일 Bocum대학에서 신학박사과정을 수료하고 성공회대에서 ‘Maoism과 Sunwenism의 인간이해’의 주제로 사회사상과 종교사회학 박사학위를 함. 1983년 풀빛에서 ‘그대여 이 슬프고 어두운 예토(穢土)’ 상재한 첫 시집으로 당시 문단의 어른인 소설가 김정한 선생으로부터 ‘위대한 사랑의 울부짖음’이라는 평가와 신경림, 고은, 이운룡 시인들로부터 찬사와 긍정적 비평 속에서 제2시집은 독일유학의 과정 중 목도한 사회주의권의 붕괴와 함께 아픈 문명사적인 사상적 좌절과 공황상태를 <겨울늑대-어네스토 체 게바라의 추상>으로 엮었다. 빈민현장과 나눔의 집 원장직들을 거친 사제직의 마지막에는 사회적 약자계층으로 전락한 이 땅의 노년세대의 조직과 운동에 착수하여 <노년유니온>을 창립하고 상임위원장으로 활동하고, 전국시니어클럽혐회장을 역임하였음. 기타를 연주하며 잔잔하고 낮게 노래하는 시인 가객(歌客)으로 잃어버린 고향상실에의 끝없는 서정과 함께 굵고 치열한 역사의식과 서사로 이루어지는 시세계를 추구하며 한민족의 분단비극을 극복하는 통일이념과 체제와 새로운 세계의 지평을 뜨겁게 응시하며 시작(詩作)과 학문에 임하고 있음. 현재 코리안아쉬람 인문예술원장직과 이곳에서 펴내는 종합인문계간지 <산넘고 물건너>의 편집인의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연구논문으로는 혁명적 Ideology와 종교적 구원/ 민주주의의 이념과 기독교의 윤리적 역할 연구/ 윤노빈의 ‘동학의 세계사상적 의미’의 단상.1989(신생철학) / 동학혁명의 광맥에서 본 수운 최제우의 인내천 개념의 변천 및 전개. 2020 / 마오이즘의 세계인식과 평화관. 2021/ Yogissar 김지하 사상의 종교적 요소 ㅡ동학과 민중신학을 중심으로. 2022 등이 있음.

최자웅의 다른 상품

종교와 예술

종교와 예술

19,000 (5%)

'종교와 예술' 상세페이지 이동

상호문화적 글로벌시대의 종교와 정치

상호문화적 글로벌시대의 종교와 정치

16,150 (5%)

'상호문화적 글로벌시대의 종교와 정치' 상세페이지 이동

李信의 묵시의식과 토착화의 새 차원

李信의 묵시의식과 토착화의 새 차원

17,100 (10%)

'李信의 묵시의식과 토착화의 새 차원' 상세페이지 이동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평화사상과 종교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평화사상과 종교

12,350 (5%)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평화사상과 종교' 상세페이지 이동

저 : 전철후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전철후
관심작가 알림신청
성공회대학교 시민평화대학원(NGO대학원)에서 석사학위를마치고, 성공회대학교 사회학 박사과정 중에 있다. 현재원광대학교 종교문제연구소에서 연구원으로 있으며, 주요연구는 남북분단 상황에서 평화학과 종교사회학을 중심으로공부하고 있다. 저서로는 『평화의 신학』(공저), 『한국종교의진단과 전망』(공저), 『포스트코로나 시대의 새 종교지평』(공저), 『지속적 폭력과 간헐적 평화』(편저) 등이 있다.

전철후의 다른 상품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평화사상과 종교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평화사상과 종교

12,350 (5%)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평화사상과 종교' 상세페이지 이동

한국종교의 진단과 전망

한국종교의 진단과 전망

7,600 (5%)

'한국종교의 진단과 전망' 상세페이지 이동

평화의 신학

평화의 신학

16,200 (10%)

'평화의 신학' 상세페이지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