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 소개(3명)

이전

저 : 폴 리쾨르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폴 리쾨르
관심작가 알림신청
1913년 프랑스 남동부 발랑 시에서 출생하였다. 그의 집안은 독실한 프로테스탄트 가정이었다. 2세 때 부모가 사망하여 브르타뉴 렌느 시로 이주하여 그곳에서 성장하고 대학을 졸업하였다. 1935년 파리대학에서 철학을 공부하였고 유신론적 실존주의 철학자로 알려진 가브리엘 마르셀에게 철학과 신학을 배웠다. 제2차 세계대전에 참전하였다가 독일군에 잡혀 스위스에서 5년간 포로생활을 하였다. 당시 후설의 저서들을 탐독한 것이 계기가 되어 후설 연구가로도 알려졌다. 1950년 후설의 《현상학의 이념들》을 프랑스어로 번역하여 프랑스에 소개하였다. 이 책에서 그는 현상학을 통하여 인간 존재의 유한성을 밝히고 그러한 유한성으로 초월적 존재인 신을 해명하려고 노력하였다.

1948∼1956년 스트라스부르대학, 1956년부터는 파리대학 철학교수로 재직하였다. 이 기간 동안 《의지적인 것과 비의지적인 것 Le volontaire et l’involontaire》(1949)에서 의지에 관한 현상학적 기술을, 《유한성과 죄악 가능성 Finitude et culpabilite》(1960)에서 종교적인 상징에 대한 해석학을, 《해석에 대하여 De l’interpretation》(1965)에서 프로이트를 재해석하는 등 활발한 연구활동을 하였다. 1966년 그리스도교 좌파 지식인으로서 자신의 주장을 펼치기 위하여 낭트대학으로 자리를 옮겼으나, 1968년 학생혁명이 좌절되자 급진적인 학생들과 지식인들로부터 외면당하여 1970년 해임되었다. 그 뒤 시카고대학과 파리대학을 중심으로 강의와 저술활동을 하였다. 이후 그 동안 몰두했던 해석학의 주제도 상징에서 텍스트로 바뀌게 되었다.

그는 상징언어에 대한 해석의 폭이 너무 좁다고 여겨, 텍스트에 대한 연구를 통해 인간 존재를 이해하려고 시도하였다. 이러한 노력의 결과물로 1975년에 《살아 있는 메타포 La metaphore vive》를, 1983·1984·1985년에 연속으로 《시간과 이야기 Temps et recit 1, 2, 3》를 펴냈다. 1990년에는 《타자로서의 자기 자신 Soi-meme comme un autre》을, 1992년에는 대표 논문을 모은 《강좌 Lecture》를 출간하였다. 2005년 별세하였다.

역 : 김동규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역 : 김동규
관심작가 알림신청
총신대에서 신학을 공부하고, 서강대 대학원 철학과에서 폴 리쾨르 연구로 석사학위를, 마리옹과 리쾨르의 주체 물음에 관한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또한 벨기에 루븐[루뱅] 대학교 신학&종교학과에서 마리옹의 계시 현상에 관한 연구로 석사학위를 받았다. 저서로 『미술은 철학의 눈이다』(공저, 문학과지성사, 2014), 『선물과 신비: 장-뤽 마리옹의 신-담론』(서강대학교출판부, 2015), 『우리 시대의 그리스도교 사상가들』(공저, 도서출판 100, 2020) 등이 있으며, 역서로는 『탈출에 관해서』(에마뉘엘 레비나스, 지만지, 2008), 『현상학이란 무엇인가: 후설에서 메를로퐁티까지』(피에르 테브나즈, 그린비, 2011), 『해석에 대하여: 프로이트에 관한 시론』(폴 리쾨르, 공역, 인간사랑, 2020), 『후설 현상학에서의 직관 이론』(에마뉘엘 레비나스, 그린비, 2014), 『예술로서의 삶』(재커리 심슨, 공역, 갈무리, 2016), 『교회를 위한 철학적 해석학: 누구의 공동체? 어떤 해석?』(메롤드 웨스트팔, 도서출판 100, 2019), 『윤리와 무한: 필립 네모와의 대화』(에마뉘엘 레비나스, 도서출판 100, 2020), 『과잉에 관하여: 포화된 현상에 관한 연구』(장-뤽 마리옹, 그린비, 2020), 『재신론』(리처드 카니, 갈무리, 2021) 등이 있다. 현재 서강대 생명문화연구소 연구교수, 인문학&신학연구소 에라스무스의 운영위원, 한국현상학회 연구이사로 일하고 있으며, 네덜란드 암스테르담 자유대학교(VU Amsterdam) 종교&신학과 박사과정에서 현대 유럽 대륙철학과 종교철학, 종교 간 대화 문제 등을 연구하고 있다.

김동규의 다른 상품

초월과 자기-초월

초월과 자기-초월

27,000 (10%)

'초월과 자기-초월' 상세페이지 이동

우리가 예배하는 하나님

우리가 예배하는 하나님

18,000 (10%)

'우리가 예배하는 하나님' 상세페이지 이동

우리 시대의 그리스도교 사상가들 2

우리 시대의 그리스도교 사상가들 2

21,850 (5%)

'우리 시대의 그리스도교 사상가들 2' 상세페이지 이동

현상학 입문

현상학 입문

19,800 (10%)

'현상학 입문' 상세페이지 이동

재신론

재신론

18,900 (10%)

'재신론' 상세페이지 이동

탈교회

탈교회

19,800 (10%)

'탈교회' 상세페이지 이동

윤리와 무한

윤리와 무한

15,300 (10%)

'윤리와 무한' 상세페이지 이동

현상학이란 무엇인가 (큰글자책)

현상학이란 무엇인가 (큰글자책)

20,000

'현상학이란 무엇인가 (큰글자책)' 상세페이지 이동

역 : 박준영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역 : 박준영
관심작가 알림신청
〈수유너머 104〉 연구원. 현대철학 연구자. 서강대, 상지대, 서울과학기술대 등에서 강의하였으며, 현재는 성신여대에서 강의하고 있다. 학부(동국대)에서 불교철학을, 대학원(서강대)에서 석박사 모두 프랑스철학을 연구하였다. 주로 들뢰즈와 리쾨르의 철학을 종합하는 연구를 수행하였다. 최근에는 신유물론에 관심을 두고 번역과 연구를 하고 있다. 육후이(Yuk Hui)의 기술철학, 그리고 불교철학과 현대서양철학의 관계도 연구 대상이다.

논문은 「들뢰즈에게서 ‘철학’과 ‘철학자’」, 「신유물론의 이론적 지형」 등을 썼다. 번역서로는 『신유물론-인터뷰와 지도제작』, 『해석에 대하여-프로이트에 관한 시론』(공역)이 있다. 공저로 『신유물론-몸과 물질의 행위성』, 『K-OS』, 『욕망, 고전으로 생각하다』, 『사랑, 고전으로 생각하다』 등이 있다.

박준영의 다른 상품

육후이 (큰글자책)

육후이 (큰글자책)

25,000

'육후이 (큰글자책)' 상세페이지 이동

신유물론 패러다임

신유물론 패러다임

27,000

'신유물론 패러다임' 상세페이지 이동

신유물론, 물질의 존재론과 정치학

신유물론, 물질의 존재론과 정치학

33,300 (10%)

'신유물론, 물질의 존재론과 정치학' 상세페이지 이동

철학, 개념

철학, 개념

30,400 (5%)

'철학, 개념' 상세페이지 이동

신유물론

신유물론

20,900 (5%)

'신유물론' 상세페이지 이동

K-OS

K-OS

9,000 (10%)

'K-OS' 상세페이지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