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 소개(2명)

이전

저 : 왕창령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왕창령
관심작가 알림신청
王昌齡
왕창령(王昌齡, 698?∼757?)은 당(唐)나라 경조(京兆) 장안[長安, 지금의 산시성(陝西省) 시안시(西安市)] 사람으로, 자(字)가 소백(少伯)이다. 현종(玄宗) 개원(開元) 15년(727)에 진사(進士)에 급제해 비서성교서랑(秘書省校書郞)에 제수되었다가, 개원 22년(734)에 박학굉사과(博學宏辭科)에 합격해 사수위(?水尉, 사수는 지금의 허난성(河南省) 싱양시(滎陽市) 서북쪽]에 제수되었다. 개원 25년(737)에 죄를 얻어 영남(嶺南)으로 폄적되었다가 사면되어 개원 28년(740)에 장안(長安)으로 돌아왔으며, 이듬해 강녕승[江寧丞, 강녕은 지금의 장쑤성(江蘇省) 난징시(南京市)]으로 임명되었다. 천보(天寶) 6년(747)에 다시 죄를 얻어 용표위[龍標尉, 용표는 지금의 후난성(湖南省) 화이화 지구(懷化地區)]로 좌천되었으며, 천보 14년(755)에 안사(安史)의 난이 일어나자 난을 피해 장강(長江)과 회수(淮水) 일대에 머물다가 알 수 없는 이유로 호주자사(濠州刺史) 여구효(閭丘曉)에게 피살되었다. 왕지환(王之渙), 고적(高適), 잠삼(岑參), 왕유(王維), 이백(李白) 등과 교유했으며 개원(開元)·천보(天寶) 연간에 시로 명성이 높았다. ‘변새(邊塞)’, ‘궁원(宮怨)’, ‘규원(閨怨)’, ‘송별(送別)’을 노래한 작품들의 성취가 매우 높으며, 특히 칠언절구(七言絶句)에 뛰어나 후인들에게 ‘칠절성수(七絶聖手)’라고 불린다. 저서로 『왕창령집(王昌齡集)』 4권이 있다.

왕창령의 다른 상품

왕창령 시선

왕창령 시선

16,800

'왕창령 시선' 상세페이지 이동

역 : 주기평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역 : 주기평
관심작가 알림신청
朱基平, 호: 벽송(碧松)
호(號)는 벽송(碧松)이다. 서울대학교 중어중문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문학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의 책임연구원과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의 객원연구원을 지냈으며, 현재 서울대·서울시립대 등에서 강의하고 있다.

저역서로 『육유시가연구』, 『육유사』, 『육유시선』, 『고적시선』, 『잠삼시선』, 『역주 숙종춘방일기』, 『당시삼백수』(공역), 『송시화고』(공역), 『협주명현십초시』(공역), 『사령운·사혜련 시』(공역), 『진자앙 시』(공역), 『악부시집·청상곡사 1』(공역) 등이 있으며, 주요 논문으로 「남송 강호시파의 시파적 성격 고찰」,「중국 만가시의 형성과 변화과정에 대한 일고찰」, 「진자앙 감우시의 용사 연구」, 「국 역대 도망시가의 사회 문화적 배경과 문학 예술적 특징 연구」, 「두보 시아시 연구」등이 있다.

주기평의 다른 상품

제주 한시 300수

제주 한시 300수

27,000 (10%)

'제주 한시 300수' 상세페이지 이동

정선육방옹시집 4

정선육방옹시집 4

39,900 (5%)

'정선육방옹시집 4' 상세페이지 이동

정선육방옹시집 3

정선육방옹시집 3

38,000 (5%)

'정선육방옹시집 3' 상세페이지 이동

정선육방옹시집 2

정선육방옹시집 2

29,450 (5%)

'정선육방옹시집 2' 상세페이지 이동

정선육방옹시집 1

정선육방옹시집 1

29,450 (5%)

'정선육방옹시집 1' 상세페이지 이동

천가시

천가시

21,850 (5%)

'천가시' 상세페이지 이동

왕창령 시선

왕창령 시선

16,800

'왕창령 시선' 상세페이지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