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 소개(9명)

이전

저 : 송호근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송호근
관심작가 알림신청
SONG,HO-KEUN,宋虎根
포스텍 석좌교수. 한국의 대표적인 사회학자. 정치와 경제를 포함, 사회 현상과 사회 정책에 관한 정교한 분석으로 널리 알려진 학자이자 칼럼니스트로, 2020년까지 〈중앙일보〉에 기명칼럼을 만 17년 동안 썼다. 1956년 경북 영주 출생으로 서울대학교 사회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석사 과정을 마쳤다. 역서 『철학과 예술사회학』(1983), 학위 논문을 발전시킨 『칼 만하임의 지식사회학 연구』(1983)를 출간한 후, 1984년 미국 하버드 대학교에서 수학했으며 1989년 박사 학위를 받았다. 귀국 후 한림대학교에서 조교수와 부교수로 재임했고, 1994년 서울대학교 사회학과에 조교수로 임용되어 학과장과 사회발전연구소 소장, 1998년 스탠퍼드 대학교 방문교수, 2005년 캘리포니아 대학교(샌디에이고) 초빙교수를 역임했다. 1998년 이후 서울대학교 사회학과 교수, 서울대학교 석좌교수를 지냈고 2018년부터 포스텍 인문사회학부 석좌교수로 재직 중이며 중앙일보 칼럼니스트로 활동하고 있다.

1990년대에 민주화와 노동 문제를 분석한 『한국의 노동 정치와 시장』(1991), 『열린 시장, 닫힌 정치』(1994), 『시장과 복지 정치』(1997), 『한국의 노동 복지』(1996) 등을 펴냈으며, 이후 IMF 초기 외환 위기를 맞은 사회학자의 비통한 심정을 담은 『또 하나의 기적을 향한 짧은 시련』(1998), 한국의 의료 분쟁과 제도적 모순을 분석한 『의사들도 할 말 있었다』(2001)를 출간했고, 노무현 정부의 등장 배경과 통치 양식을 분석한 『한국,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나』(2003)와 『한국, 어떤 미래를 선택할 것인가』(2006)를 썼다. 한국의 복지 체계를 비교 분석한 『세계화와 복지 국가』(2001)를 편집했고, 복지 정책의 구조적 특성과 결정 요인을 조명한 『복지 국가의 태동: 세계화, 민주화, 그리고 한국의 복지 정치』(2006)를 출간했다. 20세기 한국인의 기원을 밝힌 탄생 3부작 『인민의 탄생』(2011), 『시민의 탄생』(2013), 『국민의 탄생』(2020)을 펴냈다. 그 외 주요 저서로 『나타샤와 자작나무』(2005), 『다시 광장에서』(2006), 『독 안에서 별을 헤다』(2009), 『이분법의 사회를 넘어서』(2012), 『그들은 소리 내 울지 않는다』(2013), 『가 보지 않은 길』(2017), 『혁신의 용광로』(2018) 등과 소설 『강화도』(2017), 『다시, 빛 속으로』(2018) 등이 있다.

송호근의 다른 상품

21세기 한국 지성의 몰락

21세기 한국 지성의 몰락

21,600 (10%)

'21세기 한국 지성의 몰락' 상세페이지 이동

함께 만든 기적, 꺼지지 않는 불꽃

함께 만든 기적, 꺼지지 않는 불꽃

23,750 (5%)

'함께 만든 기적, 꺼지지 않는 불꽃' 상세페이지 이동

꽃이 문득 말을 걸었다

꽃이 문득 말을 걸었다

12,600 (10%)

'꽃이 문득 말을 걸었다' 상세페이지 이동

시민정치의 시대

시민정치의 시대

28,000

'시민정치의 시대' 상세페이지 이동

기업시민, 미래경영의 길이 되다

기업시민, 미래경영의 길이 되다

18,500

'기업시민, 미래경영의 길이 되다' 상세페이지 이동

정의보다 더 소중한 것

정의보다 더 소중한 것

19,500

'정의보다 더 소중한 것' 상세페이지 이동

코로나 시대, 글로 마음을 잇다

코로나 시대, 글로 마음을 잇다

13,000

'코로나 시대, 글로 마음을 잇다' 상세페이지 이동

저 : 권순만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권순만
관심작가 알림신청
미국 펜실베이니아대 와튼스쿨에서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서던캘리포니아대 조교수를 거쳐 1997년부터 서울대 보건대학원에 재직 중이다. 서울대 보건대학원 원장, 보건경제학회 회장, 노년학회 회장을 역임했으며, 건강보험정책심의위원회, 장기요양위원회, 국제개발협력위원회 등의 위원으로 활동했거나 활동 중이다. 2016~2017년에는 학교를 휴직하고 마닐라 소재 아시아개발은행(Asian Development Bank)의 보건부문 책임자로 근무하면서 아시아개발도상국의 보건프로그램 지원을 총지휘하였다.

저 : 김석호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김석호
관심작가 알림신청
시카고대학교(University of Chicago)에서 사회학 박사학위를 취득하고 성균관대학교 사회학과 교수를 거쳐 현재 서울대학교 사회학과 교수이자 사회발전연구소 소장으로 재직하고 있다. 신고리5·6호기 공론화 검증위원장(2018)을 지냈으며 2019년부터 사용후핵연료 재검토위원회 숙의분과위원장을 맡고 있다. 주요 저작으로 『한국정치의 재편성과 2017년 대통령선거 분석』(공저), 『한국사회의 변화를 돌아보다』(공저),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시대 한국의 복지와 행복지표 측정』, “Lack of Dream-Capital among Korean Youths: Rationally Chosen or Culturally Forbidden?,” Asian Journal of Sociology 47(3)과 「한국사회의 세대 간 공정성」, 『지식의 지평』 25 등 다수의 단행본과 논문이 있다. 현재 지역사회학회 회장과 『조사연구』 편집위원장을 맡고 있다.

김석호의 다른 상품

동물의 품 안에서

동물의 품 안에서

15,300 (10%)

'동물의 품 안에서' 상세페이지 이동

공정한 사회의 길을 묻다

공정한 사회의 길을 묻다

17,100 (10%)

'공정한 사회의 길을 묻다' 상세페이지 이동

한반도 평화학

한반도 평화학

26,000

'한반도 평화학 ' 상세페이지 이동

평화의 여러 가지 얼굴

평화의 여러 가지 얼굴

35,000

'평화의 여러 가지 얼굴' 상세페이지 이동

한국정치의 재편성과 2017년 대통령선거 분석

한국정치의 재편성과 2017년 대통령선거 분석

25,000

'한국정치의 재편성과 2017년 대통령선거 분석' 상세페이지 이동

촛불 너머의 시민사회와 민주주의

촛불 너머의 시민사회와 민주주의

13,500 (10%)

'촛불 너머의 시민사회와 민주주의' 상세페이지 이동

저 : 조원광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조원광
관심작가 알림신청
서울대에서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현재 포스텍 사회문화데이터사이언스 연구소 연구교수를 거쳐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조교수로 재직 중이다. 주로 대량의 언어 자료를 활용하여 사람들의 마음과 인식을 분석하는 연구를 하고 있다. 주요 논문으로 “Online information exchange and anxiety spread in the early stage of the Novel Coronavirus(COVID-19) outbreak in South Korea: Structural topic model and network analysis”(공동연구), "Funding sources and breast cancer research frame" 등이 있다.

조원광의 다른 상품

포스트 코로나 시대, 데이터로 읽는 대한민국

포스트 코로나 시대, 데이터로 읽는 대한민국

14,850 (10%)

'포스트 코로나 시대, 데이터로 읽는 대한민국 ' 상세페이지 이동

저 : 배영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배영
관심작가 알림신청
연세대에서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숭실대 정보사회학과 교수를 거쳐 현재 포스텍 인문사회학부 교수로 재직 중이다. 다양한 데이터에 기반하여 정보사회의 일상 문화와 제도의 변동에 대해 꾸준히 연구해 온 사회학자이며, 현재 한국정보사회학회 회장으로 재임하고 있다. 주요 저서로 《지금, 한국을 읽다》(2018), 《소셜 미디어 시대를 읽다》(2014), 《위기의 청년세대》(2009), 《한국의 인터넷을 논하다》(2008), 《인터넷 권력의 해부》(2008) 등이 있다.

배영의 다른 상품

함께 만든 기적, 꺼지지 않는 불꽃

함께 만든 기적, 꺼지지 않는 불꽃

23,750 (5%)

'함께 만든 기적, 꺼지지 않는 불꽃' 상세페이지 이동

기업시민, 미래경영의 길이 되다

기업시민, 미래경영의 길이 되다

18,500

'기업시민, 미래경영의 길이 되다' 상세페이지 이동

포스트 코로나 시대, 데이터로 읽는 대한민국

포스트 코로나 시대, 데이터로 읽는 대한민국

14,850 (10%)

'포스트 코로나 시대, 데이터로 읽는 대한민국 ' 상세페이지 이동

기업시민, 미래경영을 그리다

기업시민, 미래경영을 그리다

18,500

'기업시민, 미래경영을 그리다' 상세페이지 이동

지금, 한국을 읽다

지금, 한국을 읽다

12,150 (10%)

'지금, 한국을 읽다' 상세페이지 이동

저 : 최혜지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최혜지
관심작가 알림신청
미국 워싱턴대(세인트루이스 소재)에서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서울여대 사회복지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고령화 사회, 문화다양성, 돌봄에 관한 담론과 사회 정책을 연구하는 학자이다. 비판과 대안을 위한 사회복지학회장, 한국노인복지학회 부회장, 국가균형발전위원, 참여연대 사회복지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저서로는 《이주민의 사회적 배제》(2019), 《통일과 사회복지》(공저, 2019), 《연령 통합: 새로운 사회 구성의 원리》(공저, 2016), 《압축성장의 고고학》(공저, 2015)이 있다.

최혜지의 다른 상품

저 : 유현재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유현재
관심작가 알림신청
서강대학교 지식융합미디어학부/신문방송 전공 교수. 미국 조지아 주립대학교에서 매스커뮤니케이션학 석사와 박사 학위를 받고,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에서 보건 정책을 공부했다. 미디어를 포함한 인간의 모든 ‘소통’ 활동과 건강이 맺는 관련성을 살피는 헬스 커뮤니케이션에 관심이 많아 《미디어와 백세시대》(2017)라는 책도 냈다. 융합과 4차 산업혁명, 디지털 헬스 케어, 포스트 코로나, 미디어의 역기능과 순기능 같은 키워드에 열광하는 중이다. 하루 빨리 야구장 직관을 하고 싶다.

유현재의 다른 상품

멀티플 팬데믹

멀티플 팬데믹

12,600 (10%)

'멀티플 팬데믹' 상세페이지 이동

인생독썰

인생독썰

12,420 (10%)

'인생독썰' 상세페이지 이동

저 : 장덕진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장덕진
관심작가 알림신청
미국 시카고대에서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현재 서울대 사회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한국사회학회 부회장으로 활동하고 있으며, 경제사회학과 사회연결망(social network) 분석이 전공이다. 주요 저서로는 《압축성장의 고고학》(공저, 2017), 《복지정책의 두 얼굴》(공저, 2015), 《위험사회 위험정치》(공저, 2010) 등이 있다.

장덕진의 다른 상품

초가속

초가속

16,200 (10%)

'초가속' 상세페이지 이동

유로존 경제위기의 사회적 기원

유로존 경제위기의 사회적 기원

19,500

'유로존 경제위기의 사회적 기원' 상세페이지 이동

노무현 정부의 실험

노무현 정부의 실험

24,500

'노무현 정부의 실험' 상세페이지 이동

서울대 명품 강의 2

서울대 명품 강의 2

14,250 (5%)

'서울대 명품 강의 2' 상세페이지 이동

노무현 정부의 실험

노무현 정부의 실험

34,000

'노무현 정부의 실험' 상세페이지 이동

저 : 강원택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강원택
관심작가 알림신청
현재 서울대학교 정치외교학부 교수이다. 서울대학교를 졸업하고 석사를 마친 후 영국 런던정경대학(LSE)에서 정치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한국정치학회 회장, 한국정당학회장을 역임했다.
『한국정치론』, 『한국의 선거 정치 2010-2020: 천안함 사건에서 코로나 사태까지』, 『한국 정치의 결정적 순간들』, 『대한민국 민주화 이야기』, 『통일 이후의 한국 민주주의』 등 다수의 책과 논문이 있다.

강원택의 다른 상품

기본소득의 사회과학

기본소득의 사회과학

24,000

'기본소득의 사회과학' 상세페이지 이동

국가는 어떻게 통치되는가

국가는 어떻게 통치되는가

15,000

'국가는 어떻게 통치되는가' 상세페이지 이동

의외로 사람들이 잘 모르는 정치

의외로 사람들이 잘 모르는 정치

14,220 (10%)

'의외로 사람들이 잘 모르는 정치' 상세페이지 이동

한국 정치 웹 2.0에 접속하다

한국 정치 웹 2.0에 접속하다

8,450 (5%)

'한국 정치 웹 2.0에 접속하다' 상세페이지 이동

시민정치의 시대

시민정치의 시대

28,000

'시민정치의 시대' 상세페이지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