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 소개(13명)

이전

저 : 김경모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김경모
관심작가 알림신청
미국 뉴욕주립대(Buffalo) 커뮤니케이션학 박사, 현재 연세대 언론홍보영상학부 교수이다. 주요 논저로는 『저널리즘의 이해』(공저), “새로운 저널리즘 환경과 온라인 뉴스 생산”,“Online News Diffusion Dynamics and Public Opinion Formation” 등이 있다.

김경모의 다른 상품

AI 시대 저널리즘 미리보기

AI 시대 저널리즘 미리보기

26,000

'AI 시대 저널리즘 미리보기' 상세페이지 이동

사회과학 조사방법

사회과학 조사방법

20,000

'사회과학 조사방법' 상세페이지 이동

저 : 김사승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김사승
관심작가 알림신청
숭실대학교 언론홍보학과에서 디지털 저널리즘을 가르친다. 영국 레스터대학교에서 저널리즘으로 석사학위와 박사학위를 받았다. 그는 미디어 전문기자였다. 경향신문 경영기획실에서 신문 발송 자동화 시스템을 구축하면서 신문 비즈니스의 흐름을 이해하게 되었다. 뉴스 케이블 등 뉴미디어 프로젝트를 담당하다 1991년 문화일보가 창간되면서 자리를 옮겼다. 10년 기자생활 대부분을 미디어 담당기자로 활동하면서 케이블 텔레비전 도입, 위성방송 시작, 지역민방 허가 등을 취재했다.

저널리즘 사회학, 즉 뉴스 생산이 주요 연구 분야다. 뉴스 생산의 관행, 프로페셔널리즘, 뉴스 조직의 통제관행 등 뉴스 생산을 담당하는 이너서클의 행태를 분석하는 것이 주 전공이다. 특히 디지털 테크놀로지가 이런 주제들에 미치는 영향을 주로 분석한다. 인터넷이 취재보도 행태에 미치는 영향, 뉴스 블로그, 시티즌 저널리즘, UCC 저널리즘, 그리고 이를 통해 새롭게 형성되고 있는 저널리즘의 탈근대성 등에 관한 십여 편의 논문을 발표했다. 앞으로는 뉴스의 기업적 측면, 특히 경영 혁신의 관점에서 전통적인 저널리즘이 어떻게 환경 변화에 대처해 나가는가를 분석할 계획이다. 뉴스 산업의 구체적 행태 변화를 이해하는 것이 무엇보다 시급한 연구 과제라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한국언론학회’와 ‘한국방송학회’의 회원이면서 ‘디지털 미디어와 사회연구 포럼’이나 ‘저널리즘 연구회’와 같은 연구모임에서도 활동한다. 한국언론학회가 발간하는 ≪커뮤니케이션 이론≫의 편집위원을 맡고 있으며 ‘디지털 미디어와 사회연구 포럼’이 발간하는 ≪디지털 커뮤니케이션 리뷰≫의 편집장을 맡기도 했다. 『디지털 마니아와 포비아』, 『미디어의 미래』와 같은 디지털 테크놀로지 관련 연구서를 공동으로 출간했다.

김사승의 다른 상품

저널리즘과 질문의 자격 (큰글자책)

저널리즘과 질문의 자격 (큰글자책)

40,000

'저널리즘과 질문의 자격 (큰글자책)' 상세페이지 이동

저널리즘과 질문의 자격

저널리즘과 질문의 자격

27,500

'저널리즘과 질문의 자격' 상세페이지 이동

탈진실 바로잡기

탈진실 바로잡기

19,000 (5%)

'탈진실 바로잡기' 상세페이지 이동

뉴스 수용자의 진화

뉴스 수용자의 진화

21,000

'뉴스 수용자의 진화' 상세페이지 이동

디지털 테크놀로지와 저널리즘

디지털 테크놀로지와 저널리즘

20,000

'디지털 테크놀로지와 저널리즘' 상세페이지 이동

저 : 이기형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이기형
관심작가 알림신청
경희대학교 미디어학과 교수로 대중문화와 민속지학, 청년연구와 미디어 생산연구에 관심을 갖고 연구하고 있다. 연세대학교 영어영문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일리노이대학교 대학원 사회학 석사 및 커뮤니케이션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책으로는 《미디어 문화연구와 문화정치로의 초대》, 《플랫폼 변동의 시대 미디어 생산연구로의 초대》(공저), 《문화연구의 렌즈로 대중문화를 읽다》(공저), 《미디어 문화연구의 질적 방법론》(공저), South Korean Golden Age Melodrama(공저) 등이 있다.

이기형의 다른 상품

포스트텔레비전

포스트텔레비전

24,000

'포스트텔레비전' 상세페이지 이동

플랫폼 변동의 시대 : 미디어 생산연구로의 초대

플랫폼 변동의 시대 : 미디어 생산연구로의 초대

28,000

'플랫폼 변동의 시대 : 미디어 생산연구로의 초대' 상세페이지 이동

한국언론정보학보 117호

한국언론정보학보 117호

25,000

'한국언론정보학보 117호' 상세페이지 이동

한국 언론학 연구 60년

한국 언론학 연구 60년

29,000

'한국 언론학 연구 60년' 상세페이지 이동

현대사회와 미디어

현대사회와 미디어

38,000

'현대사회와 미디어' 상세페이지 이동

저 : 이승선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이승선
관심작가 알림신청
충남대학교 언론정보학과 교수다. 연세대학교에서 학사와 석사, 박사과정을 마쳤다. 신문방송학을 전공하는 틈틈이 국문학과, 법학과를 기웃거렸다. 방송법제와 관련된 주제로 박사학위를 받은 뒤 2000년 한국방송대학교 법학과 1학년에 입학해 4년간 공부했다. 2006년 충남대학교에서 “언론소송과 당사자 적격”이라는 논문으로 법학 석사학위를 받았다. 2020년 2월 충남대 대학원에서 “표현의 자유에 관한 헌법재판소 재판관의 의견대립에 관한 연구”로 법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2013년 3월부터 1년간 헌법재판소 헌법재판연구원 방문연구교수로 공부했다. 한국언론학회를 비롯해 5개 학회의 총무이사를 지냈다. 2021년 1월부터 2년간의 임기로 한국언론법학회장을 맡았다.

≪미디어와 인격권≫ ≪언론학보≫ ≪방송학보≫ ≪언론과 법≫ ≪언론과학연구≫ ≪방송통신연구≫ 등의 편집위원, KBS 제1기 뉴스옴부즈맨을 했다. 공적 인물의 통신비밀보호와 공적 사안에 대한 언론 보도를 연구해 2008년 한국언론정보학회 우수논문상, 2010년에는 방송 서비스의 재판관할권과 관련된 쟁점을 연구ㆍ발표하여 한국언론법학회가 수여하는 ‘철우언론법상’을 받았다. 2011년에는 입학일로부터 30여 년 동안 ‘공부를 열심히 한 것 같다’는 이유로 대학 동문 재상봉 행사에서 명예의 전당에 헌정되었다. 2019년에는 한국방송학회가 주는 ‘논문심사 우수상’을 받았다. 2017년부터 3년간 ‘언론중재위원회 위원’을 역임했다.

언론의 취재 보도와 위법, 명예훼손 연구에 관심이 많다. 요즈음 한국의 언론 자유를 확장하는 데 크게 기여한 대법관과 헌법재판관들의 '언론사상'을 탐구하고 있다. 더불어 언론의 자유를 오히려 위축하는 데 영향을 준 판결이나 심의 결정들을 살펴보는 일련의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이승선의 다른 상품

언론중재법, 자유냐, 인권이냐? (큰글씨책)

언론중재법, 자유냐, 인권이냐? (큰글씨책)

20,000

'언론중재법, 자유냐, 인권이냐? (큰글씨책)' 상세페이지 이동

언론중재법, 자유냐, 인권이냐?

언론중재법, 자유냐, 인권이냐?

10,000

'언론중재법, 자유냐, 인권이냐?' 상세페이지 이동

저 : 이재진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이재진
관심작가 알림신청
한양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 교수로 저널리즘과 언론법제 강의와 연구를 하고 있다. 서울대학교 언론정보학과 학사 및 석사, 미국 아이오아대 석사, 그리고 미국 서던일리노이대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2020년 3월부터 한양대학교 입학처장직을 수행하고 있다. 현재 한국언론법학회 고문, <미디어와 인격권> 편집위원장, 유네스코 한국위원회 위원을 맡고 있으며, 한국언론학회장(제45대), 한국언론법학회장(제9대), 언론중재위원, 장애인방송시청보장위원회 위원, 여론집중도조사위원회 위원, 방송통신심의위원회 위원, 간행물윤리위원회 심의위원, 선거보도심의위원회 위원, 서울시 선거방송토론위원회 위원, MBC 시청자 평가위원, EBS 경영평가위원, 조선일보 독자권익보호위원회 위원 등을 지냈다.

2009년 제8회 철우언론법상과 2006년 방송학회 학술상(저술), 2000년 언론학회 신진학술상을 수상하였고, 한양대학교 연구우수교수 및 강의우수교수로 선정된 바 있다. 세계인명사전 Marquis Who‘s Who in the World에 2013~2020년 연속 등재되었고, 2017~2019 Albert Nelson Marquis Lifetime Achievement Award 수상자로 선정되었다.

대표 저서로 《Beyond Fear and Hate: Hate Speech in Asia and Europe》(2020, 공저), 《언론과 공인》(2018 세종도서 선정 우수학술도서), 《인터넷 언론 자유와 인격권》(2010 학술원 우수도서), 《언론 자유와 인격권》(2007 학술원 우수도서), 《한국 언론윤리법제의 현실과 쟁점》(문광부 우수도서) 등 30여 편의 저술과 챕터가 있으며, 110여 편의 전문 학술 논문을 게재·발표하였다.

이재진의 다른 상품

혐오와 모욕 사이

혐오와 모욕 사이

20,000

'혐오와 모욕 사이' 상세페이지 이동

언론과 공인

언론과 공인

22,000

'언론과 공인' 상세페이지 이동

저 : 이준웅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이준웅
관심작가 알림신청
서울대학교 언론정보학과 교수. 레토릭과 민주주의, 설득 커뮤니케이션, 정치 커뮤니케이션 등을 강의하고 있으며 언론과 민주주의, 뉴스의 사회적 기능, 정치 캠페인 효과 등에 대해 연구하고 있다. 저서로는 『말과 권력: 레토릭에서 의사소통 민주주의로』 등이 있다.

이준웅의 다른 상품

시민정치의 시대

시민정치의 시대

28,000

'시민정치의 시대' 상세페이지 이동

팬데믹 너머 대학의 미래를 묻다

팬데믹 너머 대학의 미래를 묻다

19,800

'팬데믹 너머 대학의 미래를 묻다' 상세페이지 이동

대한민국 ICT의 미래, 어떻게 준비할 것인가

대한민국 ICT의 미래, 어떻게 준비할 것인가

18,000

'대한민국 ICT의 미래, 어떻게 준비할 것인가' 상세페이지 이동

한국 언론학 연구 60년

한국 언론학 연구 60년

29,000

'한국 언론학 연구 60년' 상세페이지 이동

저 : 임영호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임영호
관심작가 알림신청
부산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명예 교수로, 저널리즘, 문화연구, 이론의 지식사 등을 연구해 왔다. 서울대학교 신문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교에서 석사, 미국 아이오와대학교에서 언론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주요 저서로는 《왜 다시 미디어 정치경제학인가》, 《지식의 장, 학문의 제도화: 한국 언론학의 정체성 탐색》 등이 있으며, 번역서로는 《문화와 사회를 읽는 키워드: 레이먼드 윌리엄스 선집》, 《문화, 이데올로기, 정체성: 스튜어트 홀 선집》, 《위기 관리: 노상강도, 국가, 법과 질서》 등이 있다.

임영호의 다른 상품

미디어와 시대정신의 탄생

미디어와 시대정신의 탄생

28,000

'미디어와 시대정신의 탄생' 상세페이지 이동

문화와 사회를 읽는 키워드

문화와 사회를 읽는 키워드

33,000

'문화와 사회를 읽는 키워드' 상세페이지 이동

유럽과 소비에트 변방 기행

유럽과 소비에트 변방 기행

20,900 (5%)

'유럽과 소비에트 변방 기행 ' 상세페이지 이동

지중해에서 중세 유럽을 만나다

지중해에서 중세 유럽을 만나다

17,100 (5%)

'지중해에서 중세 유럽을 만나다' 상세페이지 이동

왜 다시 미디어 정치경제학인가

왜 다시 미디어 정치경제학인가

20,000

'왜 다시 미디어 정치경제학인가' 상세페이지 이동

문화, 이데올로기, 정체성

문화, 이데올로기, 정체성

31,350 (5%)

'문화, 이데올로기, 정체성' 상세페이지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