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 소개(12명)

이전

저 : 신정근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신정근
관심작가 알림신청
성균관대학교 유학대학 교수이자 유학대학장·유학대학 원장을 맡고 있다. 서울대학교에서 동양철학과 서양철학을 공부하고 동 대학원에서 동양철학으로 석·박사 학위를 받았다. 동양고전을 누구나 쉽게 읽고 친근하게 배울 수 있도록 힘써온 저자는 20만 부 이상 판매된 베스트셀러 『마흔, 논어를 읽어야 할 시간』으로 대한민국에 동양고전 강독 열풍을 일으켰다.
저서로는 『동양철학의 유혹』, 『논어의 숲, 공자의 그늘』, 『공자씨의 유쾌한 논어』, 『마흔, 논어를 읽어야 할 시간』, 『신정근 교수의 동양고전이 뭐길래?』, 『공자와 손자, 역사를 만들고 시대에 답하다』, 『맹자와 장자, 희망을 세우고 변신을 꿈꾸다』, 『동양철학 인생과 맞짱 뜨다』, 『철학사의 전환』, 『노자의 인생강의』 등이 있고, 옮긴 책으로는 『유학, 우리 삶의 철학』, 『공자신화』, 『중국 현대 미학사』, 『소요유, 장자의 미학』, 『의경, 동아시아 미학의 거울』, 『대역지미, 주역의 미학』, 『중국 미학사』 등이 있다

신정근의 다른 상품

『주역』과 『회남자』를 통한 ‘의상론’

『주역』과 『회남자』를 통한 ‘의상론’

28,500 (5%)

'『주역』과 『회남자』를 통한 ‘의상론’' 상세페이지 이동

철학자와 예술가의 이야기마당

철학자와 예술가의 이야기마당

19,000 (5%)

'철학자와 예술가의 이야기마당' 상세페이지 이동

생생미학과 생태미학

생생미학과 생태미학

19,000 (5%)

'생생미학과 생태미학' 상세페이지 이동

신원인 新原人

신원인 新原人

24,000

'신원인 新原人' 상세페이지 이동

예술가의 아틀리에

예술가의 아틀리에

19,000 (5%)

'예술가의 아틀리에' 상세페이지 이동

철학자의 창고

철학자의 창고

19,000 (5%)

'철학자의 창고' 상세페이지 이동

주제 속 주희, 현대적 주희

주제 속 주희, 현대적 주희

20,000

'주제 속 주희, 현대적 주희 ' 상세페이지 이동

맹자의 꿈

맹자의 꿈

16,920 (10%)

'맹자의 꿈' 상세페이지 이동

저 : 쩡판런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쩡판런
관심작가 알림신청
曾繁仁
당대 중국 생태미학 창시자 중 한 사람이며, 산동대학교 종신 교수로 현재 교육부 지정 인문사회과학 핵심연구기지 ‘산동대학교 문예미학연구센터’의 명에소장과 중국사회과학원 철학사상연구소의 학술고문 등을 맡고 있다. 산동대학교 당서기이며 총장, 국무원 학위 위후언회의 중구구 언어문학과 심의팀 간사, 중화 미학학회 부회장, 중외 문예이론학회 부회장을 역임하였다. 아울러 2005년 전국 100편 우수박사학위 논문지도 교수상, 2007년 산동성 사회과학 1등상, 교육부 사회과학 우수상 등 학술상을 수차례 수상하였다. 주요 저서로는 『西方美學範疇硏究』, 『生態存在論美學論鼓』, 『中西對話中的生態美學』, 『生態美學基本問題硏究』, 『生態美學導論』 등이 있다. 그리고 『中國美育思想通史』, 『中外美育思想家評傳』 등의 편집을 주관하였다.

쩡판런의 다른 상품

생생미학과 생태미학

생생미학과 생태미학

19,000 (5%)

'생생미학과 생태미학' 상세페이지 이동

생태미학과 동양철학

생태미학과 동양철학

19,000 (5%)

'생태미학과 동양철학' 상세페이지 이동

저 : 정석도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정석도
관심작가 알림신청
관동대학교(현 가톨릭관동대학교) 예술대학에서 서양회화를 전공하고,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동양철학과에서 석사와 박사학위를 받았다. 북경대학교 철학과에서 박사후 연수를 마치고, 청화대학교 철학과에서 박사학위을 받았다. 현재 카톨릭관동대학교 VERUM 교양대학 교수로 재직 중이며, 주된 연구방향은 ‘중국철학사’, ‘도가철학’, ‘동아시아 미학’이다. 대표 연구로는 『하늘의 길과 사람의 길-노자철학의 은유적 사유문법』, 「만청시기의 도가연구와 문화계몽」, 「도가의 생태미학」 등이 있다.

정석도의 다른 상품

철학자의 창고

철학자의 창고

19,000 (5%)

'철학자의 창고' 상세페이지 이동

생태미학과 동양철학

생태미학과 동양철학

19,000 (5%)

'생태미학과 동양철학' 상세페이지 이동

저 : 청샹잔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청샹잔
관심작가 알림신청
程相占
1995년 산동대학교의 중문학과에서 중국고전문학을 전공했으며 문학박사 학위를 받았고, 같은 해 산동대학교 문예이론 연구실의 일원으로 교편을 잡았다. 교육부 장강학자(長江學者) 특별초방교수이며, 산동대학교 문학원 교수 및 박사과정 지도 교수, 부원장이고 동시에 교육부 인문사회과학 중점연구기지인 산동대학교 문예미학연구센터의 부주임이며, 국제 영문 학술지인 Contemporary Aesthetics의 국제 자문위원이다. 주요 연구 분야는 중국미학, 생태미학, 환경미학, 신체미학 그리고 생태비평이다. 8권의 학술 전문서적, 3권의 번역서를 출가했으며, 중꾸, 미국, 영국, 독일, 폴란드, 터키 등 국가에서 115편의 중문이나 영문 논문을 발표하였다. 주요 학술 업적은 다음과 같다. 중국 전통의 핵심 가치관인 ‘생생(生生)’ 개념을 바탕으로 ‘생생미학(生生美學)’이라는 분야를 개척하였다. 노르웨이 철학자 네스의 ‘생태지혜T’를 참고하여 독특한 ‘생태지혜C’ 개념을 창조하였으며, 중국 전통 사상의 현대화 및 그 보편성을 위한 이론 프레임 구축을 시도하고 있다.

청샹잔 의 다른 상품

생생미학과 생태미학

생생미학과 생태미학

19,000 (5%)

'생생미학과 생태미학' 상세페이지 이동

생태미학과 동양철학

생태미학과 동양철학

19,000 (5%)

'생태미학과 동양철학' 상세페이지 이동

저 : 김미영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김미영
관심작가 알림신청
세종대학교와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에서 한국전통춤을 배웠고, 성균관대학교 동양철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성균관대학교 동양철학문화연구소 연구교수로 재직 중이다. 전통시대 검술을 바탕으로 한 검무교육프로그램 제작에 관심이 있고, 문학작품에 나타난 춤의 형상화를 바탕으로 한 무론(舞論)을 공부하는 데에 뜻을 두고 있다.
저서로는 『『악학궤범(樂學軌範)』 악론(樂論)의 동양사상 2580』(단독)과 『21세기 유교 연구를 위한 백가쟁명』(공동)이 있으며, 「『시경』 속 춤동작의 문예적 표현 탐구」, 「당시(唐詩)에서의 춤동작에 대한 문학적 형상화」, 「왕양명(王陽明)의 심학(心學) 이론으로 본 한국전통춤의 사욕(私欲)과 천리체인(天理體認)」, 「전쟁과 춤 그리고 유교-〈파진악(破陣樂)〉을 중심으로-」, 「무예도보통지(武藝圖譜通志) 검술을 기초로 한 조선검무의 춤동작과 사상성 연구」 등 다수의 논문이 있다.
저서로는 『중국철학과 예술정신』1997), 『유학자들이 보는 노장철학』(1998), 『노장철학으로 동아시아문화를 읽는다』(2002)가 있다. 「노장의 미학사상 연구」, 「주역의 미학사상 연구」 등 학술논문 130여 편과 월간 『서화잡지』에 실린 100여 편의 소논문 및 서화 평론글이 있다.
동양의 그림과 글씨 및 다양한 유물·유적에는 동양철학이 담겨 있다는 점에 착안하여 동양철학과 동양예술의 경계 허물기에 주력하고 있다.

김미영의 다른 상품

철학자와 예술가의 이야기마당

철학자와 예술가의 이야기마당

19,000 (5%)

'철학자와 예술가의 이야기마당' 상세페이지 이동

예술가의 아틀리에

예술가의 아틀리에

19,000 (5%)

'예술가의 아틀리에' 상세페이지 이동

저 : 후요우펑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후요우펑
관심작가 알림신청
胡友峰
2007년 절강대학교 중문과에서 문학박사 학위를 받았고, 현재 산동대학교 문예미학연구센터 교수이면서 박사생 지도교수이다. 국가 고위 인재채용 특별지원 만 명 프로젝트에 당선되었고, 산동성 태산학자泰山學者 특별 초빙전문가이다. 지금까지 『文學評論』, 『文藝理論硏究』, 『外國文學』 등의 학술지에 80여 편의 논문을 발표하였으며, 『剛德美學的自然與自由觀念』, 『?介生態與當代文學』 등 3권의 저서를 출간하였다.

후요우펑의 다른 상품

생생미학과 생태미학

생생미학과 생태미학

19,000 (5%)

'생생미학과 생태미학' 상세페이지 이동

생태미학과 동양철학

생태미학과 동양철학

19,000 (5%)

'생태미학과 동양철학' 상세페이지 이동

저 : 이용윤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이용윤
관심작가 알림신청
성균관대학교 동양철학과에서 학사학위, 중국 북경대학교 철학과에서 석사학위, 미국 위스콘신대학교 동아시아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성균관대학교 유교문화연구소의 학술지 『Journal of Confucian Philosophy and Culture』의 편집장을 역임했었고, 성균관대학교 유학대학의 장학교육기관인 양현재(養賢齋)의 재감을 역임했으며, 현재 성균관대에서 강의하고 있다.

주요 연구분야는 중국 선진시대의 도덕철학과 우주론 등으로, 윤리규범의 기원과 메커니즘에 대한 탐구에 중점을 두고 있다. 주요 학술논저로는 『The Ethical Mapping of Tian (Heaven) and Dao (Way): An Interaction Between Cosmology and Ethics in Early China』, 『내 마음속 논어』(공저), 『21세기 유교 연구를 위한 백가쟁명: 1권 유교의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공저), 「Tian 天(Heaven) as a Cosmological Framework for Kongzi’s Moral Teaching」, 「맹자의 보편적 인성론: 개방적 소통을 향한 내적 인프라 구축」 등이 있다.

이용윤의 다른 상품

저 : 한칭위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한칭위
관심작가 알림신청
韓?玉
1981년 6월생으로 산동(山東) 양산(陽山) 출신이다. 문학박사이며, 현재 산동대학교 문예미학연구센터 교수로 재직 중이다. 박사과정의 멘토로 있으며 산동대학교 제노(齊魯)청년학자이다. 주요저서는 『예술자율성 연구』 (인민출판사 2019) 등이며, 『문학평론』, 『철학동태』, 『철학과 문화』 등 A&HCI 저널을 포함하여 학술논문 40여 편을 발표했다. 그중 5편은 인민대학교 저널에 옮겨 실렸다. 국가급 프로젝트 2건을 주관하였다. 중국문예평론가협회 회원, Korean Journal of Converging Humanities 편집위원회 등을 격임 중이다.

한칭위 의 다른 상품

생생미학과 생태미학

생생미학과 생태미학

19,000 (5%)

'생생미학과 생태미학' 상세페이지 이동

저 : 금종현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금종현
관심작가 알림신청
한신대학교 철학과를 졸업하고, 성균관대학교에서 대학원 생활을 하였다. 「의(義) 사상의 기원과 전개」(2011)로 철학박사학위를 취득하고, 성균관대학교, 한신대학교, 한국외국어대학교 등에서 강사로 활동하였다. 사)인문예술연구소의 선임연구원으로 재직했고, 중국 제남(濟南)의 제노공업대학교(齊魯工業大學校) 조선어과 등에서 외국인 교수로 중국인 학생들을 만났다. 현재는 성균관대학교 유학대학 연구교수로 재직 중이다. 주요 관심사는 중국 선진시대 국가와 공동체 문화의 흐름과 당시의 지식인들은 이에 대응하여 어떻게 윤리 개념을 정초했는지에 대한 연구이며, 이러한 지혜들을 현대에 어떻게 접목할 수 있을지에 대해서도 고민하고 있다. 이와 관련한 연구로 「의 실천의 근원적 모순과 이에 대한 공자의 고뇌와 선택」와 「맹자의 내면화 기획을 통한 유학 윤리의 정초-의 개념을 중심으로」 등 여러 편의 논문이 있다.

금종현 의 다른 상품

철학자의 창고

철학자의 창고

19,000 (5%)

'철학자의 창고' 상세페이지 이동

저 : 왕주저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왕주저
관심작가 알림신청
王祖哲
현재 산동대학교 문학원 및 문예미학 연구센터 부교수를 역임하고 있다. 주 연구분야는 예술철학, 문화철학, 언어 철학, 및 Giambattista Vico, Benedetto Croce, 주광첸(朱光?)의 미학 등이다. 학술 번역작품은 『예술 대 비예술』(Tsion Avital), 『예술철학: 대분석미학도론』(Carroll), 『인류환경미학』(Arnold Berleant, Allen Carlson) 등을 비롯하여 30여 종이 있다.

저 : 박지혜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박지혜
관심작가 알림신청
충북대학교 고고미술사학과를 졸업하고, 홍익대학교 미술사학과에서 일본 근대기 신남화 논쟁을 주제로 석사학위를 취득하였다. 현재 성균관대학교 동양철학과에서 예술철학을 공부하고 있으며, 한국미술연구소CAS의 연구원으로 재직 중이다. 한국을 비롯한 근대기 동아시아의 미의식과 미술이론에 관심을 가지고 있으며, 시각자료 분석을 통한 근대기 미술 인식에 대해 연구하고 있다. 주요 연구로는 「신남화의 성립과 전개: 1910년대 일본화단을 중심으로」, 「《조선미술전람회》 참고품 재평가를 위한 모색」이 있다.

저 : 장훼이칭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장훼이칭
관심작가 알림신청
張惠靑
1977년 5월생으로, 산동(山東)의 쥐안청(?城) 출신이다. 1999년 천진대학교 건축학과를 졸업하고 건축학사를 받았다. 2009년 산동대학교 토건수리학과 건축설계 및 이론학 석사학위를 받았으며, 2014년 천진대학교 건축학과 건축설계 및 이론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2015∼2018년 산동대학교 문예미학연구센터에서 생태철학과 생태미학 연구로 중국언어문학 박사후 연수과정을 연수하였다. 현재 산동건축대학교 예술대학 부교수로 재직하고 있으며, 생태철학과 생태미학, 지속 가능한 에너지 경관과 경관 미학, 자생 공간론, 건축공간 미학 등 주로 생태학과 관련된 도시설계와 환경 미학과 관련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