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 소개(23명)

이전

저 : 악셀 호네트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악셀 호네트
관심작가 알림신청
Axel Honneth
1949년 독일 에센에서 태어나 본대학, 보훔대학, 베를린 자유대학에서 철학, 사회학, 독문학을 공부했다. 콘스탄츠대학과 베를린 자유대학을 거쳐, 위르겐 하버마스의 후임으로 1996년부터 2017년까지 프랑크푸르트대학의 철학과 교수로 재직했다. 2001년부터 2018년까지 프랑크푸르트학파의 산실인 프랑크푸르트 사회연구소의 소장을 맡아 비판이론의 발전적 계승을 위해 노력했다. 2007년부터 2017년까지 국제헤겔학회 회장을 역임했다. 현재 미국 컬럼비아대학의 Jack C.Weinstein 교수이다. 2015년에는 ‘에른스트 블로흐 상’(Ernst-Bloch-Preis)을, 2016년에는 ‘브루노 크라이스키 상’(Bruno-Kreisky-Preis)을 받았다. 저서로《권력 비판》(Kritik der Macht, 1988),《인정투쟁: 사회적 갈등의 도덕적 형식론》,《정의의 타자: 실천 철학 논문집》,《물화: 인정이론적 탐구》,《분배냐, 인정이냐?: 정치철학적 논쟁》(공저),《비규정성의 고통: 헤겔의〈법철학〉을 되살려내기》,《사회주의 재발명: 왜 다시 사회주의인가》,《자유의 권리》(Das Recht der Freiheit, 2011) 등이 있다.

악셀 호네트의 다른 상품

호모포비아

호모포비아

16,200 (10%)

'호모포비아' 상세페이지 이동

비규정성의 고통

비규정성의 고통

18,000

'비규정성의 고통 ' 상세페이지 이동

인정투쟁

인정투쟁

20,700 (10%)

'인정투쟁' 상세페이지 이동

저 : 클로드 르포르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클로드 르포르
관심작가 알림신청
Claude Lefort
메를로퐁티의 영향을 받아 트로츠키주의자로 출발하여 공산당에 대한 비판가로, 그리고 다시 마르크스주의에 대한 비판가로 변신하면서 활동하였다. 스승이자 동료였던 메를로퐁티의 유고집을 간행하면서 그를 다시 꼼꼼히 읽고 그즈음 마키아벨리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으면서 ‘정치적인 것’에 대한 문제설정을 확정하였다. 1970년대 전체주의 논쟁에 깊이 관여하였고, 이후 파리 사회과학고등연구원(EHESS)에 머물면서 자신 고유의 정치철학을 발전시키고자 하였다. 주요 저서로 『마키아벨리에 대한 연구』 『역사의 형태들』 『민주주의적 발명』 『얽힘』 『19~20세기 정치적인 것에 대한 시론』 등이 있다.

저 : 유디트 모어만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유디트 모어만
관심작가 알림신청
Judith Mohrmann
베를린 자유대학과 포츠담 대학에서 비교문학과 철학을 공부했으며 예일 대학을 거쳐 프랑크푸르트 대학 철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프랑크푸르트 대학, 베를린 대학 등에서 연구 조교를 맡았으며, 현재 프랑크푸르트 사회연구소 연구 조교로 재직하면서 ‘규범적 역설의 사상사적 재구성’ 프로젝트를 이끌고 있다. 주요 저서로 『주디스 버틀러: 전쟁과 감정』(공저) 『감정과 혁명: 아렌트와 칸트 이후의 정치적 행위』 등이 있다.

저 : 율리아네 레벤티슈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율리아네 레벤티슈
관심작가 알림신청
Juliane Rebentisch
베를린 자유대학에서 철학과 독문학을 공부했으며 포츠담 대학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프랑크푸르트 대학 철학과에서 교수자격학위를 취득했으며 프랑크푸르트 사회연구소의 주요 일원이기도 하다. 오펜바흐 조형예술대학에서 철학과 미학 교수로 재직 중이다. 미학, 윤리학, 정치철학을 중심으로 현대예술과 자본주의 그리고 민주주의의 관계에 관해 독창적인 연구 활동을 펼치고 있다. 주요 저서로 『설치미술의 미학』 『창조와 우울: 현대 자본주의의 자유』(공저) 『자유의 예술: 민주적 실존의 변증법』 등이 있다.

율리아네 레벤티슈의 다른 상품

포르노그래피, 그리고 청년이라는 문제

포르노그래피, 그리고 청년이라는 문제

18,000 (10%)

'포르노그래피, 그리고 청년이라는 문제' 상세페이지 이동

저 : 펠릭스 트라우트만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펠릭스 트라우트만
관심작가 알림신청
Felix Trautmann
다름슈타트 대학과 프랑크푸르트 대학에서 철학, 사회학, 정치학, 비교문학을 공부했으며 프랑크푸르트 대학 철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오펜바흐 조형예술대학, 쿤스트아카데미 뒤셀도르프 등을 거쳐 프랑크푸르트 사회연구소 연구 조교로 재직 중이다. 율리아네 레벤티슈와 함께 ‘평등의 역설: 민주주의와 문화산업’ 프로젝트에 대한 공동 연구를 진행했다. 주요 저서로 『민주주의의 상상계: 정치적 해방과 자발적 복종의 수수께끼』 『우리는 당신을 당신 자신으로부터 보호합니다: 치안의 정치』(공저) 등이 있다.

저 : 나디아 어비네이티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나디아 어비네이티
관심작가 알림신청
Nadia Urbinati
이탈리아 피렌체에 소재한 유럽대학원에서 정치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근대 및 동시대 정치사상과 민주적, 반민주적 전통을 전문적으로 연구하는 정치이론가로, 특히 포퓰리즘 연구에 오랫동안 매진해왔다. 현재 컬럼비아 대학 정치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며, 다양한 정치학 저널을 편집하고 있다. 그간의 민주주의 연구 공로를 인정받아 2008년 ‘이탈리아 공화국 공로 훈장’을 수상했다. 주요 저서로 『대의제 민주주의: 원리와 계보』 『왜곡된 민주주의: 의견, 진실, 민중』 『근대인의 폭정』 『포퓰리즘은 어떻게 민주주의를 변형시키는가』 『존 스튜어트 밀의 정치사상』(공저) 등이 있다.

저 : 요하네스 뵐츠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요하네스 뵐츠
관심작가 알림신청
Johannes Voelz
베를린 자유대학에서 북미 연구, 철학, 정치학 등을 공부했으며 북미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프랑크푸르트 대학에서 교수자격학위를 취득하고 베를린 자유대학을 거쳐 현재 프랑크푸르트 대학 미국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민주주의와 미학, 미국 문학과 사적인 것의 변형, 시장사회의 미학 등을 주된 연구 주제로 삼고 있다. 주요 저서로 『초월론적 저항: 새로운 미국주의자들과 에머슨의 도전』 『불안의 시학: 미국 소설과 위협의 사용』 등이 있다.

저 : 마이케 조피아 바더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마이케 조피아 바더
관심작가 알림신청
Meike Sophia Baader
하이델베르크 대학에서 독문학, 교육학을 공부했으며 유년기에 관한 연구로 교육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포츠담 대학, 취리히 대학을 거쳐 힐데스하임 대학 교육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유년기와 가족, 성교육과 사회교육 등을 주된 연구 주제로 삼고 있다. 주요 저서로 『유년기라는 낭만적 이념』 『속죄로서의 교육』 『현대의 유년기』 『현실적이 되라, 불가능한 것을 요구하라: 68혁명은 교육을 어떻게 움직였는가』 등이 있다.

저 : 윌리엄 슈어먼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윌리엄 슈어먼
관심작가 알림신청
William E. Scheuerman
뮌헨 대학과 예일 대학에서 철학과 정치학을 공부했으며 프랑크푸르트 대학을 거쳐 하버드 대학 정치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피츠버그 대학과 미네소타 대학을 거쳐 현재 인디애나 대학의 정치학 교수로 재직 중이다. 근대 정치사상, 독일 정치사상, 민주주의 이론, 법 이론 등을 주된 연구 주제로 삼고 있다. 주요 저서로 『규범과 예외 사이에서: 프랑크푸르트학파와 법의 지배』 『자유민주주의와 시간의 사회적 가속』 『시민 불복종의 주요 개념들』 『법의 종언: 21세기의 카를 슈미트』 등이 있다.

저 : 김대현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김대현
관심작가 알림신청
한국외국어대 법학과를 졸업하고 『플랫폼』 문화비평상, 『실천문학』 평론신인상을 수상하며 문학평론가, 소설가로 활동 중이다. 『플랫폼』 『리얼리스트』 『삶이 보이는 창』 『내일을 여는 작가』의 편집위원을 지냈으며 현재 한국문화예술위원회 현장소통소위원회 민간위원으로 있다. 저서로 『당신의 징표: 이름의 존재론과 姓의 정치학』 『불온한 제국』 『법정에서 만난 역사』 『인간 신해철과 넥스트시티』(공저) 등이 있다.

저 : 김지윤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김지윤
관심작가 알림신청
Kim Ji-yoon,金智允,
문학평론가, 시인. 연세대에서 국문학과 영문학을 이중전공하고 연세대 국문과 대학원에서 석사학위를 마친 후 숙명여대에서 「전후시의 현실인식과 상상력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숙명여대 한국어문화연구소 책임연구원으로 재직 중이다. 2006년 [문학사상] 신인상으로 시인 등단, 2016년 [서울신문] 신춘문예로 평론가로 작품 활동을 시작했다. 시집 『수인반점 왕선생』이 있고, 공저로 『다시 새로워지는 신동엽』 『시, 현대사를 관통하다』 『이 세상에 나온 것들의 고향을 생각했다』 『석가탑』 『한국어문화와 여성문학』 등이 있다.

김지윤의 다른 상품

2023년 제24회 젊은평론가상 수상작품집

2023년 제24회 젊은평론가상 수상작품집

15,000

'2023년 제24회 젊은평론가상 수상작품집' 상세페이지 이동

구름 사이로 빛이 보이면

구름 사이로 빛이 보이면

17,570 (5%)

'구름 사이로 빛이 보이면' 상세페이지 이동

신동엽과 문화콘텐츠

신동엽과 문화콘텐츠

30,400 (5%)

'신동엽과 문화콘텐츠' 상세페이지 이동

재난 시대의 가족 (큰글자도서)

재난 시대의 가족 (큰글자도서)

38,000

'재난 시대의 가족 (큰글자도서)' 상세페이지 이동

2022 오늘의 좋은 시

2022 오늘의 좋은 시

15,670 (5%)

'2022 오늘의 좋은 시' 상세페이지 이동

재난 시대의 가족

재난 시대의 가족

17,100 (5%)

'재난 시대의 가족' 상세페이지 이동

아카데미토론 배틀 : 숙명토론대회

아카데미토론 배틀 : 숙명토론대회

15,000

'아카데미토론 배틀 : 숙명토론대회' 상세페이지 이동

요즘비평들 1호

요즘비평들 1호

13,500 (10%)

'요즘비평들 1호' 상세페이지 이동

저 : 이성혁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이성혁
관심작가 알림신청
한국외국어대학교 일본어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에서 「1920년대 한국 근대시의 전위성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외대문학회]에서 시를 본격적으로 접하면서 문학에 입문했고 [외대대학원학술연구연합]에서 다방면의 공부를 했다. 1999년 김수영론으로 [문학과창작] 신인상을 받고 2003년 기형도론으로 서울신문 신춘문예 평론부문에 당선됐다. 대학에서는 주로 리얼리즘을, 대학원에서는 모더니즘과 아방가르드를 공부했다. 시와 정치의 관련성에 대한 관심이 많고 이를 바탕으로 현장평론 활동을 하고 있다. 현재 한국외대와 세명대에 출강하고 있다. 평론집으로는 『불꽃과 트임』(2005) 『불화의 상상력과 기억의 시학』(2011) 『서정시와 실재』(2011) 『미래의 시를 향하여』(2013) 『모더니티에 대항하는 역린』(2015) 『사랑은 왜 가능한가』(2019) 『시적인 것과 정치적인 것』(2020)이 있고 번역서로는 『화폐인문학』(2010, 공역) 『사건의 정치』(2017)가 있다.

이성혁 의 다른 상품

나비가 된 불꽃

나비가 된 불꽃

13,500 (10%)

'나비가 된 불꽃' 상세페이지 이동

김수영에서 김수영으로

김수영에서 김수영으로

23,750 (5%)

'김수영에서 김수영으로' 상세페이지 이동

이상 시문학의 미적 근대성과 한국 근대문학의 자장들

이상 시문학의 미적 근대성과 한국 근대문학의 자장들

29,000

'이상 시문학의 미적 근대성과 한국 근대문학의 자장들' 상세페이지 이동

시, 사건, 역사

시, 사건, 역사

16,000

'시, 사건, 역사' 상세페이지 이동

시적인 것과 정치적인 것

시적인 것과 정치적인 것

14,400 (10%)

'시적인 것과 정치적인 것' 상세페이지 이동

사랑은 왜 가능한가

사랑은 왜 가능한가

13,500 (10%)

'사랑은 왜 가능한가' 상세페이지 이동

너도 나도 스스로 도는 힘을 위하여

너도 나도 스스로 도는 힘을 위하여

18,000 (10%)

'너도 나도 스스로 도는 힘을 위하여' 상세페이지 이동

사건의 정치

사건의 정치

17,100 (10%)

'사건의 정치' 상세페이지 이동

저 : 정대훈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정대훈
관심작가 알림신청
서울대 철학과를 졸업하고 동대학원에서 데카르트 연구로 석사학위를 받았다. 독일 프랑크푸르트 대학에서 크리스토프 멘케 교수의 지도 아래 「주체성과 예술: 헤겔과 니체에 따른 근대의 구성」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한국산업기술대 지식융합학부에서 교육전담교원으로 재직 중이다. 역서로 『데카르트』 『뉴레프트리뷰 3』(공역) 등이 있으며, 논문으로 「칸트의 존경 이론에서 주관적 전회와 존경의 절취」 「헤겔의 역사철학적 비극관」 「정신의 도야」 「선택의지의 자유란 어떻게 이해되어야 하는가」 「‘지식의 의지’ 개념 분석을 중심으로 한 푸코와 니체의 사상적 관계에 대한 고찰」 등이 있다.

정대훈의 다른 상품

현대 영미 철학에서 헤겔로의 귀환

현대 영미 철학에서 헤겔로의 귀환

25,000

'현대 영미 철학에서 헤겔로의 귀환' 상세페이지 이동

능력주의와 페미니즘

능력주의와 페미니즘

16,200 (10%)

'능력주의와 페미니즘' 상세페이지 이동

근대 사회정치철학의 테제들

근대 사회정치철학의 테제들

22,500 (10%)

'근대 사회정치철학의 테제들' 상세페이지 이동

호모포비아

호모포비아

16,200 (10%)

'호모포비아' 상세페이지 이동

저 : 최진석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최진석
관심작가 알림신청
문학평론가. 2015년 『문학동네』로 등단했다. 문학평론집으로 『사건의 시학. 감응하는 시와 예술』 등을 펴냈고 『누가 들뢰즈와 가타리를 두려워하는가?』 등의 역저가 있다.

최진석의 다른 상품

내가 지은 집에는 내가 살지 않는다

내가 지은 집에는 내가 살지 않는다

13,500 (10%)

'내가 지은 집에는 내가 살지 않는다' 상세페이지 이동

2023년 제24회 젊은평론가상 수상작품집

2023년 제24회 젊은평론가상 수상작품집

15,000

'2023년 제24회 젊은평론가상 수상작품집' 상세페이지 이동

2022년 제23회 젊은평론가상 수상작품집

2022년 제23회 젊은평론가상 수상작품집

15,000

'2022년 제23회 젊은평론가상 수상작품집' 상세페이지 이동

사건과 형식

사건과 형식

23,000

'사건과 형식' 상세페이지 이동

사건의 시학

사건의 시학

20,900 (5%)

'사건의 시학' 상세페이지 이동

똥의 인문학

똥의 인문학

13,500 (10%)

'똥의 인문학' 상세페이지 이동

2021년 제22회 젊은평론가상 수상작품집

2021년 제22회 젊은평론가상 수상작품집

15,000

'2021년 제22회 젊은평론가상 수상작품집' 상세페이지 이동

문학/사상 2호 : 주변성의 이행을 위하여

문학/사상 2호 : 주변성의 이행을 위하여

13,500 (10%)

'문학/사상 2호 : 주변성의 이행을 위하여' 상세페이지 이동

역 : 고지현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역 : 고지현
관심작가 알림신청
독일 브레멘 대학 철학과에서 발터 벤야민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서울과학기술대 강사로 재직 중이다. 저서로 『꿈과 깨어나기: 발터 벤야민 파사주 프로젝트의 역사이론』이 있고, 벤야민 관련 다수의 논문들이 있다. 공저서로 『프랑크푸르트학파의 테제들』 『포스트모던의 테제들』 『현대 페미니즘의 테제들』 등이 있으며, 공역서로 『베스텐트 2012』 『베스텐트 2013/1』 『베스텐트 2014』 『베스텐트 2015』 『대탈주: 베스텐트 한국판 5호』 『토크빌과 평등의 역설: 베스텐트 한국판 7호』 등이 있다.

고지현의 다른 상품

가정폭력과 포퓰리즘

가정폭력과 포퓰리즘

16,200 (10%)

'가정폭력과 포퓰리즘' 상세페이지 이동

라디오와 매체

라디오와 매체

19,800 (10%)

'라디오와 매체' 상세페이지 이동

근대 사회정치철학의 테제들

근대 사회정치철학의 테제들

22,500 (10%)

'근대 사회정치철학의 테제들' 상세페이지 이동

역 : 김광식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역 : 김광식
관심작가 알림신청
서울대 철학과를 졸업하고 독일 베를린 공과대학 과학·기술·철학과에서 인지문화철학 전공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서울대 철학사상연구소 연구원을 거쳐 서울대 기초교육원에서 교양교육을 담당하고 있다. 인지과학의 성과를 철학적으로 해석하는 인지철학자이자, 여러 문화현상의 실천적 대안을 모색하는 문화철학자이다.

김광식 교수는 에피쿠로스의 말을 빌려 “몸의 병을 물리치지 못하는 의술이 아무 소용없듯이, 마음의 고통을 물리치지 못하는 철학 또한 아무 소용이 없다”라고 강조한다. 거대담론의 철학보다 일상을 이야기하는 철학을, 삶과 격리된 동굴 속 철학이 아닌 삶의 작고 큰 고통을 함께 나누는 철학을 지향한다. 대중과 그들의 일상에 친밀하게 다가갈 수 있는 ‘음악과 철학이 만나는 행복콘서트’, ‘철학과 음악 사이’, ‘영화와 철학이 만나는 행복콘서트’ 등의 철학 강의와 강연을 기획하고 펼쳐왔으며, 온라인 ‘김광식의 철학카페(cafe.naver.com/philocafe)’와 홍대에서 오프라인 ‘철학카페’를 열고 있다. 2011년 KBS [TV 특강]에서 “행복을 위한 철학콘서트”라는 주제로 강연하여 동시간대 가장 높은 시청률을 기록했으며, MBC 라디오, KBS1 라디오 등 다수 매체에서 행복 철학을 전했다.

저서로 『행동지식』 『김광석과 철학하기』 『다시 민주주의다』(공저) 『세상의 붕괴에 대처하는 우리들의 자세』(공저) 등이 있고, 논문으로 「인지문화철학으로 되짚어 본 언어폭력」 「인지문화철학으로 되짚어 본 동성애혐오」 등이 있다. 논문으로 [사이버네틱스와 철학], [인지문화철학으로 되짚어 본 언어폭력], [한국사회에 반말공용화를 묻는다] 등이 있다.

김광식의 다른 상품

가정폭력과 포퓰리즘

가정폭력과 포퓰리즘

16,200 (10%)

'가정폭력과 포퓰리즘' 상세페이지 이동

대학 고전교육 어떻게 할 것인가

대학 고전교육 어떻게 할 것인가

40,000

'대학 고전교육 어떻게 할 것인가' 상세페이지 이동

BTS와 철학하기

BTS와 철학하기

14,220 (10%)

'BTS와 철학하기' 상세페이지 이동

능력주의와 페미니즘

능력주의와 페미니즘

16,200 (10%)

'능력주의와 페미니즘' 상세페이지 이동

근대 사회정치철학의 테제들

근대 사회정치철학의 테제들

22,500 (10%)

'근대 사회정치철학의 테제들' 상세페이지 이동

김광석과 철학하기

김광석과 철학하기

12,420 (10%)

'김광석과 철학하기' 상세페이지 이동

세상의 붕괴에 대처하는 우리들의 자세

세상의 붕괴에 대처하는 우리들의 자세

18,000 (10%)

'세상의 붕괴에 대처하는 우리들의 자세' 상세페이지 이동

역 : 김주호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역 : 김주호
관심작가 알림신청
고려대에서 사회학, 정치외교학 학사를 마쳤다. 독일 마르부르크 대학 사회학과를 졸업한 후 프랑크푸르트 대학 사회학과에서 지그하르트 네켈 교수의 지도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경상대 사회학과에서 조교수로 재직 중이다. 역서로 『기업가적 자아』가 있으며, 논문으로 「자본주의 비판과 민주주의 요구의 결합」 「현 시대의 자율성을 바라보는 두 시선」 「포퓰리즘과 민주주의」 등이 있다.

김주호의 다른 상품

가정폭력과 포퓰리즘

가정폭력과 포퓰리즘

16,200 (10%)

'가정폭력과 포퓰리즘' 상세페이지 이동

비판사회이론

비판사회이론

26,000

'비판사회이론' 상세페이지 이동

능력주의와 페미니즘

능력주의와 페미니즘

16,200 (10%)

'능력주의와 페미니즘' 상세페이지 이동

더 많은 민주주의를 향하여

더 많은 민주주의를 향하여

17,100 (10%)

'더 많은 민주주의를 향하여' 상세페이지 이동

호모포비아

호모포비아

16,200 (10%)

'호모포비아' 상세페이지 이동

역 : 문성훈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역 : 문성훈
관심작가 알림신청
文聖薰
서울여대 교수. 연세대 철학과를 졸업하고 서울대 대학원을 거쳐 독일 프랑크푸르트 대학 철학과에서 악셀 호네트 교수의 지도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사회철학의 관점에서 현대사회의 문제를 포착하고 비판하며 그 대안을 제시할 수 있는 이론적 틀을 오랫동안 탐구해 왔다. 특히 인정 개념과 인정 이론을 토대로 현대사회 변동과 한국사회를 분석하는 여러 연구 논문을 집필했으며, 최근에는 신자유주의에 대한 대안적 정치이념을 정립하는 작업에 몰두했다. 이 책 『새로운 사회적 자유주의』는 이런 노력의 결과물로서 경쟁 사회를 넘어서 협력 사회를 지향하는 새로운 자유주의 이념을 제시하고 있다.

현재 서울여대 교양대학 현대철학 담당 교수로 재직 중이며, 프랑크푸르트 사회연구소의 공식저널 『베스텐트』 한국판 책임편집자를 맡고 있다. 비판적 연구자들의 모임인 ‘연구모임 사회 비판과 대안’의 일원이기도 하다. 지은 책으로 『미셸 푸코의 비판적 존재론』 『인정의 시대』가 있으며, 함께 쓴 책으로 『프랑크푸르트학파의 테제들』 『포스트모던의 테제들』 『현대 정치철학의 테제들』 『현대 페미니즘의 테제들』 『근대 사회정치철학의 테제들』 등이 있다. 옮긴 책으로는 『정의의 타자』 『인정투쟁』 『분배냐, 인정이냐?』(이상 공역) 『사회주의 재발명』 등이 있다.

문성훈의 다른 상품

포르노그래피, 그리고 청년이라는 문제

포르노그래피, 그리고 청년이라는 문제

18,000 (10%)

'포르노그래피, 그리고 청년이라는 문제' 상세페이지 이동

니힐리스트로 사는 법

니힐리스트로 사는 법

17,100 (10%)

'니힐리스트로 사는 법' 상세페이지 이동

가정폭력과 포퓰리즘

가정폭력과 포퓰리즘

16,200 (10%)

'가정폭력과 포퓰리즘' 상세페이지 이동

새로운 사회적 자유주의

새로운 사회적 자유주의

26,100 (10%)

'새로운 사회적 자유주의' 상세페이지 이동

위대한 철학자가 들려주는 어린이 인문 교양 세트

위대한 철학자가 들려주는 어린이 인문 교양 세트

324,000 (10%)

'위대한 철학자가 들려주는 어린이 인문 교양 세트' 상세페이지 이동

능력주의와 페미니즘

능력주의와 페미니즘

16,200 (10%)

'능력주의와 페미니즘' 상세페이지 이동

모빌리티 존재에서 가치로

모빌리티 존재에서 가치로

14,400 (10%)

'모빌리티 존재에서 가치로' 상세페이지 이동

근대 사회정치철학의 테제들

근대 사회정치철학의 테제들

22,500 (10%)

'근대 사회정치철학의 테제들' 상세페이지 이동

역 : 이유선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역 : 이유선
관심작가 알림신청
고려대 철학과를 졸업하고 동대학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미국 버지니아 대학교에서 리처드 로티 교수의 지도를 받아 박사 후 과정을 마쳤다. 고려대 민족문화연구원 연구교수를 거쳐 서울대 기초교육원 강의교수로 재직 중이다. 저서로 『리처드 로티』 『실용주의』 『아이러니스트의 사적인 진리』 『사회 철학』 『로티의 철학과 아이러니』(공저) 『리처드 로티, 우연성, 아이러니, 연대성』 등이 있으며, 역서로 『철학의 재구성』 『공공성과 그 문제들』(공역) 등이 있다.

이유선의 다른 상품

근대 사회정치철학의 테제들

근대 사회정치철학의 테제들

22,500 (10%)

'근대 사회정치철학의 테제들' 상세페이지 이동

우연성, 아이러니, 연대

우연성, 아이러니, 연대

22,500 (10%)

'우연성, 아이러니, 연대' 상세페이지 이동

질문하는 사회 시리즈 1~7권 세트

질문하는 사회 시리즈 1~7권 세트

81,900 (10%)

'질문하는 사회 시리즈 1~7권 세트' 상세페이지 이동

호모포비아

호모포비아

16,200 (10%)

'호모포비아' 상세페이지 이동

행복이 정말 인생의 목표일까?

행복이 정말 인생의 목표일까?

11,700 (10%)

'행복이 정말 인생의 목표일까?' 상세페이지 이동

리처드 로티, 우연성·아이러니·연대성

리처드 로티, 우연성·아이러니·연대성

12,000

'리처드 로티, 우연성·아이러니·연대성' 상세페이지 이동

민음 지식의 정원 철학편 6종 세트

민음 지식의 정원 철학편 6종 세트

42,480 (10%)

'민음 지식의 정원 철학편 6종 세트' 상세페이지 이동

사회 철학

사회 철학

6,120 (10%)

'사회 철학' 상세페이지 이동

역 : 이행남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역 : 이행남
관심작가 알림신청
서울대 동양사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 철학과에서 헤겔 연구로 석사학위를 받았다. 독일 프랑크푸르트 대학에서 악셀 호네트 교수의 지도 아래 「인륜적 자유의 변증법: 헤겔과 그의 선행자들 간의 논쟁」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서울대 철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역서로 『뉴레프트리뷰 1』(공역) 『비규정성의 고통』이 있으며, 논문으로 「피히테의 『자연법의 토대』에서의 상호인정의 근본이념」 「칸트의 도덕적 자율성으로부터 헤겔의 인륜적 자율성으로」, 「헤겔의 인륜성 이론에서 “순수한 자기사유”」 등이 있다.

이행남의 다른 상품

근대 사회정치철학의 테제들

근대 사회정치철학의 테제들

22,500 (10%)

'근대 사회정치철학의 테제들' 상세페이지 이동

호모포비아

호모포비아

16,200 (10%)

'호모포비아' 상세페이지 이동

비규정성의 고통

비규정성의 고통

18,000

'비규정성의 고통 ' 상세페이지 이동

역 : 정대성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역 : 정대성
관심작가 알림신청
Jeong, Dae-Seong,鄭大聖
연세대 철학과를 졸업하고 독일 보훔 대학에서 독일 관념론과 사회정치철학 전공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연세대 근대한국학연구소 HK교수로 재직 중이다. 공저서로 『이성의 다양한 목소리』 등이 있으며, 역서로 찰스 테일러의 『헤겔』과 클라우스 피베크의 『자유란 무엇인가: 헤겔 법철학과 현대』를 비롯하여 『청년 헤겔의 신학론집』 『비판, 규범, 유토피아』 『언어, 의미 그리고 철학』 등이 있다.

정대성의 다른 상품

가정폭력과 포퓰리즘

가정폭력과 포퓰리즘

16,200 (10%)

'가정폭력과 포퓰리즘' 상세페이지 이동

능력주의와 페미니즘

능력주의와 페미니즘

16,200 (10%)

'능력주의와 페미니즘' 상세페이지 이동

근대지식과 '조선-세계' 인식의 전환

근대지식과 '조선-세계' 인식의 전환

23,750 (5%)

'근대지식과 '조선-세계' 인식의 전환' 상세페이지 이동

역 : 홍찬숙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역 : 홍찬숙
관심작가 알림신청
洪燦淑
독일 뮌헨시 루트비히 막시밀리안대학 사회학과에서 고(故) 울리히 벡 교수의 지도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전공분야는 이론사회학, 젠더사회학이다. 현재 한국이론사회학회 부회장이고, 서울대학교 여성학협동과정 강사이다. 『울리히 벡 읽기』, 『개인화』 등 다수의 저서와 『자기만의 신』 등 다수의 역서가 있다.

홍찬숙의 다른 상품

가정폭력과 포퓰리즘

가정폭력과 포퓰리즘

16,200 (10%)

'가정폭력과 포퓰리즘' 상세페이지 이동

한국 사회의 압축적 개인화와 문화변동

한국 사회의 압축적 개인화와 문화변동

15,300 (10%)

'한국 사회의 압축적 개인화와 문화변동' 상세페이지 이동

능력주의와 페미니즘

능력주의와 페미니즘

16,200 (10%)

'능력주의와 페미니즘' 상세페이지 이동

우리는 바다로 간다

우리는 바다로 간다

12,600 (10%)

'우리는 바다로 간다 ' 상세페이지 이동

문화사회학의 이해

문화사회학의 이해

27,000

'문화사회학의 이해' 상세페이지 이동

호모포비아

호모포비아

16,200 (10%)

'호모포비아' 상세페이지 이동

독일 통일과 여성

독일 통일과 여성

30,000

'독일 통일과 여성' 상세페이지 이동

세계화 시대의 권력과 대항권력

세계화 시대의 권력과 대항권력

29,700 (10%)

'세계화 시대의 권력과 대항권력' 상세페이지 이동

편 : 연구모임 사회 비판과 대안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편 : 연구모임 사회 비판과 대안
관심작가 알림신청
‘사회비판총서’의 기획을 맡고 있는 ‘연구모임 사회 비판과 대안’은 2006년에 발족한 비판적 연구자들의 모임으로 철학자, 사회학자, 정신분석학자, 문화예술이론 연구자들이 참여하고 있다. 이 모임은 특히 현대사회 비판과 대안 모색을 위한 이론적 자원을 집대성하고 이를 토대로 한국사회 분석을 시도한다는 장기 프로젝트를 갖고 있다. 이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베스텐트 한국판을 기획했으며, 사회비판총서 등을 통해 비판적 사회이론을 소개하고 대중화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연구모임 사회 비판과 대안의 다른 상품

능력주의와 페미니즘

능력주의와 페미니즘

16,200 (10%)

'능력주의와 페미니즘' 상세페이지 이동

근대 사회정치철학의 테제들

근대 사회정치철학의 테제들

22,500 (10%)

'근대 사회정치철학의 테제들' 상세페이지 이동

호모포비아

호모포비아

16,200 (10%)

'호모포비아' 상세페이지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