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 소개(8명)

이전

저 : 김우주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김우주
관심작가 알림신청
1983년에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졸업, 1987년에 내과전문의 취득하고 육군 2사단 및 국군수도병원 호흡기전염병과 군의관으로 복무했다. 1990년 이후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구로병원 감염내과에서 전임의를 시작으로 1992년 의학박사, 1993년 정식 교수가 되었다. 1996, 1997년 미국 시카고에 있는 러시 대학병원 감염내과에서 연수하며 항생제 내성에 대해서 연구했다. 1999년 DJ 정부 때 민간전문가로 국립보건원 호흡기바이러스 과장을 겸직했으며, 당시 국내 최초로 6백여 개 의료기관을 참여시켜 전국적인 인플루엔자 감시망을 구성해 독감의 유행 실태를 파악하는 계기를 만들었다.

2003년부터 사스, 조류독감, 신종플루, 메르스까지 질병관리본부, 보건복지부, 대한의사협회, KBS 등 정부 및 민간의 자문위원으로 활동하며 공중보건 향상에 힘써왔다. 2004년부터 팬데믹을 예상하고 타미플루 1천만 명분 비축과 백신개발을 정부, 국회, 및 학계에 제안해왔고, 언론에 팬데믹 위험을 경고하는 칼럼을 꾸준히 기고했다. 2013~2015년 대한감역학회 이사장 역임, 2015~2017년 대한인수공통전염병학회 회장 역임, 2015년 메르스대응 국무총리 특별보좌관으로 활동했다.

고려대학교 구로병원 유튜브 채널을 통해 코로나19에 대한 리포트를 내고 있으며, EBS [명의], JTBC [차이나는 클라스] 에 출연하였다. 지은 책으로는 『이기적인 바이러스, 플루』가 있다.

저 : 강진형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강진형
관심작가 알림신청
인류 최대의 난제인 암의 70퍼센트는 예방이 가능하다고 말하는 종양내과 전문의로 현재 대한항암요법연구회 회장, 대한두경부종양학회 부회장, 식약처 중앙약사심의위원,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암질환심의위원, 미래건강네트워크 이사로 활동 중이며,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종양내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저 : 박은정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박은정
관심작가 알림신청
결혼과 출산 그리고 간병으로 인한 8년간의 경력 단절을 딛고 세계적인 나노 독성학자로 자리매김해 2015년 지식창조 대상, 2019년 홍진기 창조인상을 수상했다. 2016~2018년 3년 연속 세계 상위 1퍼센트 연구자로 선정됐으며 경희대학교 부설 동서의학연구소 교수로 재직 중이다.

저 : 계명찬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계명찬
관심작가 알림신청
한양대학교 생명과학과 교수, 환경호르몬 대체물질 개발사업단 단장. 한국환경생물학회, 대한생식면역학회의 회장을 맡고 있으며, 특히 내분비계 장애 물질로 인한 생식 독성 유전체 연구, 남성 불임 및 보조생식술 등에 대한 활발한 연구 활동을 펼치고 있다. 각종 유해 화학 물질로 인한 사건들이 연이어 터지면서 환경호르몬에 관한 국민들의 불안감이 커지고 있는 가운데,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서 지원하는 ‘환경호르몬 대체물질 개발사업단’의 단장을 맡아 인체에 무해한 환경호르몬 대체물질과 실용화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사업단은 일상생활에 많이 쓰이는 화학 물질의 독성 모니터링과 안전성 평가로 환경 호르몬 노출로 인한 국민의 불안감을 해소하고, 환경호르몬으로 의심받는 비스페놀 A, 프탈레이트, 노닐페놀 등의 대체물질을 개발 중이며, 대체물질을 이용한 생활용품 제작 등 실용화 단계까지 나아가 새로운 시장을 개척하는 목표도 가지고 있다. 화학 산업의 발달은 우리에게 수많은 편리함과 혜택을 가져다주었지만, 우리의 건강을 위협하는 부작용도 나타나고 있다. 환경 독성 물질에 대한 최고의 전문가로서 대중을 위해 쉽게 쓴 이 책은 우리가 일상에서 어떤 화학 물질에 노출되는지를 정확히 인지하고, 그 위험성에 대한 경고와 함께 피해를 최대한 줄일 수 있는 생활습관과 건강에 치명적인 독성 물질을 피하는 최선의 선택을 제안한다.

저 : 강봉균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강봉균
관심작가 알림신청
서울대학교를 졸업하고, 미국 컬럼비아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한국과학기술원 연구원, 미국 컬럼비아대학교 신경생물학및행동연구소 박사후 연구원을 거쳤다. 현재 서울대학교 생명과학부 교수로 재직 중이다.

국제 학술지 [몰레큘러 브레인(Molecular Brain)] 편집장을 맡고 있다. 서울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연구대상(2007), 과학기술부 우수과학자상(2007), 한국분자·세포생물학회 학술상 생명과학상(2008), 서울대학교 우수연구상(2011), 생화학분자생물학회 동헌생화학상(2012)을 수상했다. 2012년에는 ‘국가과학자’로 선정됐다.

저서로는 『인간과 우주에 대해 아주 조금밖에 모르는 것들』(공저) 『뇌약구체』(공저) 등이 있으며, 역서로는 『시냅스와 자아』, 『신경과학』(공역), 『신경과학의 원리』(공역) 등이 있다. 『내가 처음 뇌를 열었을 때』를 함께 감수했다.

저 : 천종식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천종식
관심작가 알림신청
강화도 갯벌, 남극 세종기지, 독도로부터 새로운 미생물을 찾아 현재까지 70여 편의 학술 논문을 통해 국제 공인을 받았으며, 국내외의 자연계로부터 새롭고 다양한 미생물을 찾는 전문적인 미생물 사냥꾼으로 알려져 있다. 1967년에 태어났다. 서울대학교 미생물학과를 졸업하고 영국 뉴캐슬대학교 의과대학 미생물학과 이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미국 메릴랜드대학교 해양생명공학연구소 연구원,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선임연구원, 한국미생물학과 운영위원을 거쳐 현재 서울대학교 생명과학부 부교수, 과학기술부 국가지정연구실장 (원핵미생물 다양성 연구실, http://chunlab.snu.ac.kr), 서울대학교 연합전공 생물공학 주임, 국제백신연구소 (http://www.ivi.int) 분자미생물학과장, 한국과학기술한림원 (http://www.kast.or.kr) 준회원, 국가항생제내성위원회 자문위원, 국제 원핵미생물 분류 위원회 상임위원, 국제 원핵미생물 분류학지 (http://ijs.sgmjournals.org/) 부편집인을 맡고 있다. 저서로 『고마운 미생물, 얄미운 미생물』 등이 있다.

저 : 박종훈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박종훈
관심작가 알림신청
‘환자의 안전이 치료의 시작’, ‘의료계의 오류에 대한 거침없는 해부’를 강조하는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 교수. 원자력병원 정형외과 의사를 거쳐 고려대학교병원 진료부원장, 고려대학교 의료원 대외협력실장과 고려대학교 의무기획처장을 지냈다. 현재 고려대 안암병원장, 대한사립대학병원협의회와 서울시병원협회의 부회장을 맡고 있다.

저 : 정희선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정희선
관심작가 알림신청
국립과학수사연구소 최초 여성 소장과 국립과학수사연구원 초대 원장을 역임하고 현재 충남대학교 분석과학기술대학원 원장으로 재직하고 있다. 숙명여자대학교 약학대학에서 학사·석사·박사 학위를 받은 뒤 영국 런던대학교 킹스칼리지에서 박사 후 과정을 마쳤다. 대영제국 지휘관훈장 등을 받았고, 저서로 『보이지 않는 진실을 보는 사람들』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