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 소개(5명)

이전

저 : 주경철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주경철
관심작가 알림신청
朱京哲
바다와 해양 문명을 통한 전지구적 통합의 과정을 밀도 있게 연구해 온 서양사학자이자 역사의 ‘고급 통속화(haute vulgarisation)’를 이끌어온 대표적인 역사 스토리텔러다. 치밀한 연구 성과를 때로는 진지하게, 때로는 유쾌하게 풀어내 독자의 지적 호기심과 역사적 흥미를 만족시켜 온 그가 이번에는 궁금하지만 잘 알기 어려웠던 중세로 우리를 이끈다. 매혹적인 중세 유럽인의 면면을 생동감 있게 그린 이 책은 근대를 누빈 다채로운 유럽인들을 다룬 《주경철의 유럽인 이야기》의 프리퀄이기도 하다.

서울대학교 경제학과와 같은 대학원 서양사학과를 졸업한 후 파리 사회과학고등연구원에서 역사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서울대학교 서양사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며, 서울대학교 역사연구소 소장과 중세르네상스연구소 소장, 도시사학회 회장을 지냈다. 근대사와 해양사에 대한 독보적 저작인 《대항해시대》, 《바다 인류》를 비롯해 《문명과 바다》, 《모험과 교류의 문명사》, 《그해, 역사가 바뀌다》, 《주경철의 유럽인 이야기 1~3》, 《도시 여행자를 위한 파리×역사》, 《문화로 읽는 세계사》, 《문학으로 역사 읽기, 역사로 문학 읽기》, 《히스토리아》, 《히스토리아 노바》, 《크리스토퍼 콜럼버스》, 《마녀》, 《질문하는 역사》, 《일요일의 역사가》 등을 쓰고, 《물질문명과 자본주의 1~3》, 《제국의 몰락》, 《유토피아》, 《지중해: 펠리페 2세 시대의 지중해 세계 1》(공역) 등을 우리말로 옮겼다.

주경철의 다른 상품

중세 유럽인 이야기 (큰글자도서)

중세 유럽인 이야기 (큰글자도서)

48,000

'중세 유럽인 이야기 (큰글자도서)' 상세페이지 이동

문명대변혁의 시대

문명대변혁의 시대

17,100 (5%)

'문명대변혁의 시대' 상세페이지 이동

초저출산은 왜 생겼을까?

초저출산은 왜 생겼을까?

15,120 (10%)

'초저출산은 왜 생겼을까?' 상세페이지 이동

물질문명과 자본주의 세트

물질문명과 자본주의 세트

108,000 (10%)

'물질문명과 자본주의 세트' 상세페이지 이동

물질문명과 자본주의 3 세계의 시간

물질문명과 자본주의 3 세계의 시간

36,000 (10%)

'물질문명과 자본주의 3 세계의 시간' 상세페이지 이동

물질문명과 자본주의 2 교환의 세계

물질문명과 자본주의 2 교환의 세계

36,000 (10%)

'물질문명과 자본주의 2 교환의 세계' 상세페이지 이동

물질문명과 자본주의 1 일상생활의 구조

물질문명과 자본주의 1 일상생활의 구조

36,000 (10%)

'물질문명과 자본주의 1 일상생활의 구조' 상세페이지 이동

일요일의 역사가 주경철의 역사 산책

일요일의 역사가 주경철의 역사 산책

16,920 (10%)

'일요일의 역사가 주경철의 역사 산책' 상세페이지 이동

저 : 서경호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서경호
관심작가 알림신청
서울대학교 중어중문학과와 같은 대학원을 졸업하고 하버드대학교 동아시아언어문명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1980년 전북대학교 중어중문학과에서 강의를 시작했고, 1987~2009년 서울대학교 중어중문학과에서 중국소설과 중국문학사를 주로 강의했다. 2009년 같은 대학 자유전공학부로 옮겨 2017년 퇴직했다. 현재 서울대학교 자유전공학부 명예교수이다. 2005~2013년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국제자문위원회 위원으로 활동했으며, 현재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아시아태평양지역 등재심사소위원회 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2019년부터 문화재청 산하 문화재위원회의 세계유산분과 위원장으로 재임 중이다. 저서로 『산해경 연구』(1996, 서울대학교출판부), 『국내중국어문학 연구논저목록(1945~1990)』(1991, 정일출판사), 『중국 문학의 발생과 그 변화의 궤적』(2003, 문학과지성사), 『중국 소설사』(2004, 서울대학교출판부) 등이 있으며, 20여 편의 논문을 발표했다.

서경호의 다른 상품

저 : 이경우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이경우
관심작가 알림신청
서울대학교 금속공학과에서 학사, 석사 및 박사 학위를 받은 이후 일본 NEC 및 KIST의 연구원을 거쳐 1996년부터 서울대학교 재료공학부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금속의 제조 및 가공에 관련된 연구를 하고 있고, 서울대학교 철강연구센터 센터장 및 신소재공동연구소 소장, 대한금속·재료학회 부회장 등을 역임했으며, 현재 POSCO 석좌교수이다. 또한 2019년부터 원자력안전위원회 위원으로 원자력 발전이 안전을 확보하면서 운영될 수 있도록 하는 노력에 참여하고 있다.

공학교육학회 부회장, 한국공학교육인증원 수석부원장 등을 역임하면서 우리나라 공학 교육 전반의 개선에 노력하였으며, 전공 분야 연구 외에도 서울대학교 기초교육원과 자유전공학부에 참여하면서 교양과 기초 교육 전반의 개선에 노력했다. 『과학기술 글쓰기』(공저)와 『공학문제해결 입문』(공저)과 같은 강의 교재 저술에 참여했으며, 한송엽공학교육상과 서울대학교 교육상 등을 수상하였다.

최근에는 인류 문명의 발전과 미래에 대한 이해와 전망에도 관심이 있으며, 그 일환으로 『문명 다시 보기』(공저)와 『문명의 오만과 문화의 울분』(공저) 등의 저술에 참여하였고 『불, 에너지, 재료의 역사』를 쓰게 되었다.

이경우의 다른 상품

불 에너지 재료의 역사

불 에너지 재료의 역사

24,000

'불 에너지 재료의 역사' 상세페이지 이동

문명의 오만과 문화의 울분

문명의 오만과 문화의 울분

20,000

'문명의 오만과 문화의 울분' 상세페이지 이동

저 : 장대익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장대익
관심작가 알림신청
잔가지
가천 대학교 창업 대학 석좌 교수. KAIST 기계 공학과를 졸업하고 서울 대학교 과학사 및 과학 철학 협동 과정에서 생물 철학 및 진화학을 연구해 석사와 박사 학위를 받았다. 미국 터프츠 대학교 인지 연구소 연구원, 서울 대학교 과학 문화 센터 연구 교수, 동덕 여자 대학교 교양 교직 학부 교수, 서울 대학교 자유 전공학부 교수를 역임했다. 한국 인지 과학회 회장을 역임하고 서울 대학교 인지 과학 연구소 소장, 비대면 교육 플랫폼 스타트업 ㈜트랜스버스의 대표로 활동하고 있다. 문화 및 사회성의 진화에 대해 연구한다. 저서로는 『다윈의 식탁』, 『다윈의 서재』, 『다윈의 정원』, 『울트라 소셜』 등이 있고 『종의 기원』, 『통섭』 등을 번역했다. 2009년 제27회 한국 과학 기술 도서상 저술상과 2010년 제11회 대한민국 과학 문화상을 수상했다.

장대익의 다른 상품

초저출산은 왜 생겼을까?

초저출산은 왜 생겼을까?

15,120 (10%)

'초저출산은 왜 생겼을까?' 상세페이지 이동

33한 프로젝트

33한 프로젝트

43,740 (10%)

'33한 프로젝트' 상세페이지 이동

살아 보니, 진화

살아 보니, 진화

15,120 (10%)

'살아 보니, 진화' 상세페이지 이동

별먼지와 잔가지의 과학 인생 학교

별먼지와 잔가지의 과학 인생 학교

15,300 (10%)

'별먼지와 잔가지의 과학 인생 학교' 상세페이지 이동

인디아더존스

인디아더존스

17,550 (10%)

'인디아더존스' 상세페이지 이동

다정한 인공지능을 만나다

다정한 인공지능을 만나다

12,600 (10%)

'다정한 인공지능을 만나다' 상세페이지 이동

확장된 표현형 (출간 40주년 기념 리커버판)

확장된 표현형 (출간 40주년 기념 리커버판)

19,800 (10%)

'확장된 표현형 (출간 40주년 기념 리커버판)' 상세페이지 이동

공감의 반경

공감의 반경

14,850 (10%)

'공감의 반경' 상세페이지 이동

저 : 한경구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한경구
관심작가 알림신청
서울대 인류학과와 동대학원을 졸업하고 국사학과에서 수학했다. 외무부에 근무했고 해군장교로 병역을 마쳤으며 일본에서 장기 현지조사를 수행해 미국 하버드대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강원대 인류학과, 국민대 국제학부를 거쳐 서울대 자유전공학부 교수로 재직 중이며 한국국제이해교육학회장, 한국이민학회장, 유네스코 한국위원회 위원 등을 역임했다.

『공동체로서의 회사』(1995), 『세계의 한민족: 아시아ㆍ태평양』(1996) 등의 저서, 『시화호 사람들은 어떻게 되었을까』(1998), 『인류학 민족지 연구 어떻게 할 것인가』(2012)등의 공저가 있고『낯선 곳에서 나를 만나다』(2006), 『처음 만나는 문화인류학』(2003) 등을 책임 편집했으며 『문화인류학의 역사』(1994), 『현대 육군의 개혁』(2001), 『국경을 넘는 방법: 문화, 문명, 국민국가』(2006) 등을 공역했다.

한경구의 다른 상품

문명의 오만과 문화의 울분

문명의 오만과 문화의 울분

20,000

'문명의 오만과 문화의 울분' 상세페이지 이동

태평양을 넘어서

태평양을 넘어서

23,000

'태평양을 넘어서' 상세페이지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