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 소개(5명)

이전

글 : 안치운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글 : 안치운
관심작가 알림신청
중앙대학교 예술대학 연극학과를 졸업하고, 프랑스 정부 장학생으로 국립 파리 소르본누벨대학교 연극연구원에서 연극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교수신문』 편집기획위원, 삼성문학상·대산문학상·경암학술상 심사위원, 프랑스 소르본누벨대학교와 브장송대학교 초빙교수 그리고 한국연극학회 회장을 역임했다. 연극평론가로 활동하며, 호서대학교 예술학부 연극학과 교수로 재직했고, 2023년 정년퇴임했다. 현재 세계대학연극학회 이사, 한국산서회 이사, 울주세계산악영화제의 세계산악문화상 심사위원, 한국산악학회 회원이다.

저서로 『공연예술과 실제비평』 『연극제도와 연극읽기』 『연극 반연극 비연극』 『한국 연극의 지형학』 『연극과 기억』 『연극, 기억의 현상학』 『연극, 몸과 언어의 시학』 『베르나르-마리 콜테스』가 있고, 산문집으로 『옛길』 『길과 집과 사람 사이』 『시냇물에 책이 있다』 『그리움으로 걷는 옛길』 등이 있다.

안치운의 다른 상품

침묵하는 산

침묵하는 산

25,200 (10%)

'침묵하는 산' 상세페이지 이동

우리들의 셰익스피어

우리들의 셰익스피어

14,250 (5%)

'우리들의 셰익스피어' 상세페이지 이동

베르나르-마리 콜테스

베르나르-마리 콜테스

18,000 (10%)

'베르나르-마리 콜테스' 상세페이지 이동

연극비평의 미래

연극비평의 미래

30,400 (5%)

'연극비평의 미래' 상세페이지 이동

연극, 기억의 현상학

연극, 기억의 현상학

22,500 (10%)

'연극, 기억의 현상학' 상세페이지 이동

연극, 몸과 언어의 시학

연극, 몸과 언어의 시학

26,100 (10%)

'연극, 몸과 언어의 시학' 상세페이지 이동

예술가이야기 시리즈 5권

예술가이야기 시리즈 5권

67,500 (10%)

'예술가이야기 시리즈 5권' 상세페이지 이동

시냇물에 책이 있다

시냇물에 책이 있다

10,800 (10%)

'시냇물에 책이 있다' 상세페이지 이동

글 : 김학량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글 : 김학량
관심작가 알림신청
김학량은 1964년 한여름에 강원도 명주군 연곡면 신왕리라는 시골 농가에서 났습니다. 서울대학교 미술대학을 나와서, 홍익대학교 대학원과 명지대학교 대학원에서 미술사를 공부했습니다. 서울시립미술관 큐레이터를 거쳐, 지금은 동덕여자대학교 예술대학 교수로 학생들을 가르치며 미술가, 큐레이터로 활동하고 있습니다.

김학량의 다른 상품

화가 이응노

화가 이응노

13,500 (10%)

'화가 이응노' 상세페이지 이동

글 : 권태균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글 : 권태균
관심작가 알림신청
권태균(權泰鈞, 1955-2015)은 경남 의령 출생으로 중앙대학교 예술대학 사진학과를 졸업하고 동대학원을 수료하였다. 뿌리깊은나무사의 월간 『샘이깊은물』 사진기자와 중앙일보 시사미디어 사진부장과 청와대 대통령실 17대 대통령 사진기록 담당관을 역임했다. 한가람역사문화연구소 전문위원과 다큐멘터리 사진가들의 모임인 ‘온빛’ 회장을 지냈고, 신구대학교 사진영상미디어과 교수로 재직했다. 개인전으로 2010년부터 2013년까지 <노마드 NOMAD-변화하는 1980년대 한국인의 삶에 대한 작은 기록>(갤러리 룩스, 서울)전을 네 차례 열었으며, <침묵하는 돌-고인돌>(고은사진미술관, 부산)을 2010년에 가진 바 있다. 그룹전으로는 1982년 사진 2인전을 시작으로 2013년 제5회 중국 따리 국제사진전까지 수십 차례 참여하였다. 저서로는 『예술가의 이야기, 사진가 임응식』(나무숲, 2006), 『강운구 마을 삼부작, 그리고 30년 후』(열화당, 2006), 『The Discovery Of Korea』(Discovery Media)의 영문판과 일본어판이 있으며, 출판사진에도 꾸준히 관심을 보여 소설가, 사학자 등과 공동작업으로 펴낸 공저가 다수 있다. 그는 한국의 문화, 역사, 한국 사람들의 삶에 관한 사진작업을 줄곧 해왔으며, 한국의 정서를 가장 사진적으로 구현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또한 시류에 휩쓸리지 않고 인간의 보편적인 삶을 묵묵히 사진으로 천착해 온 사진가이다. 2014년 봄부터 준비해 온 첫 번째 사진집은 안타깝게도 2015년 1월, 그의 갑작스런 타계로 유작 사진집이 되고 말았다.

권태균의 다른 상품

우리 안의 식민사관

우리 안의 식민사관

18,000 (10%)

'우리 안의 식민사관 ' 상세페이지 이동

노마드

노마드

66,500 (5%)

'노마드' 상세페이지 이동

인생, 한 곡

인생, 한 곡

12,600 (10%)

'인생, 한 곡' 상세페이지 이동

부자의 길, 이성계와 이방원

부자의 길, 이성계와 이방원

11,700 (10%)

'부자의 길, 이성계와 이방원 ' 상세페이지 이동

잊혀진 근대, 다시 읽는 해방전사

잊혀진 근대, 다시 읽는 해방전사

14,400 (10%)

'잊혀진 근대, 다시 읽는 해방전사' 상세페이지 이동

옛 선비들의 국토 기행

옛 선비들의 국토 기행

9,000 (10%)

'옛 선비들의 국토 기행' 상세페이지 이동

조선 참모실록

조선 참모실록

11,700 (10%)

'조선 참모실록' 상세페이지 이동

これが 韓國だ 이것이 한국이다

これが 韓國だ 이것이 한국이다

33,250 (5%)

'これが 韓國だ 이것이 한국이다' 상세페이지 이동

글 : 황두진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글 : 황두진
관심작가 알림신청
황두진은 1963년 서울에서 출생했다. 황두진건축사사무소 대표. 통의동에 있는 목련원에 집과 사무실을 두고 있다. 본업 때문이기도 하지만 애초에 장소와 공간의 역사에 관심이 많고, 미세하게 추적하고 탐구하고 기록하는 것을 좋아한다. ‘통의동 마을마당’을 되찾기 위해 노력하는 과정에도 이런 개인적인 성향이 반영되었을 것이다. 서울대학교와 미국 예일대학교에서 수학했다. 재미 건축가 김태수의 미국 및 한국 사무소(TSKP)에서 근무한 후, 2000년 황두진건축사사무소를 설립했다. 대표 전시 및 건축물로 캐슬 오브 스카이 워커스, 스톡홀름 동아시아박물관 한국관, 원앤원 63.5, 무카스 사옥과 씨마크 호텔 호안재, 한옥 취죽당 등이 있다. 저서로 『공원 사수 대작전』 (2019), 『가장 도시적인 삶-무지개떡 건축 탐사 프로젝트』 (2017), 『황두진-다공성·구축술·시스템』 (2016), 『무지개떡 건축-회색 도시의 미래』 (2015), 『당신의 서울은 어디입니까』 (2005), 『한옥이 돌아왔다』 (2006) 등이 있다.
어학과 역사, 물리학 등에 관심이 많았으나, 창조하는 일에 매력을 느껴 서울대 건축과에 진학했다. 대학원 재학 중인 1986년 2달간 유럽 배낭여행을 했고, 약 1년에 걸쳐 유럽 여행기를 에 연재했다. 군복무 후 서울건축에 입사했다가 이듬해 국비 유학생으로 미국 예일 대로 유학을 떠났다. 건축석사를 마친 1993년 재미 건축가인 김태수의 사무실에 입사하여 7년간 그 문하에서 일했다. 1997년 김태수의 서울 사무실인 TSKP의 소장으로 부임하였고, 이후 2000년 6월 사무실을 개업하여 독자적인 길을 걸어왔다. 건축교육 및 사회활동에도 적극적인 삶을 살고 있으며 경기대 건축전문대학원의 겸임교수를 역임하였고, 현재 서울대 건축 디자인 스튜디오를 가르치면서 각종 언론 매체를 통해 건축 및 사회적 이슈에 대해 글을 쓴다. 시간이 날 때 법률 소설을 읽거나, 서울의 역사적 장소를 찾아다니거나, 혹은 마당을 가꾼다. 현역 건축가이면서고 꾸준한 글쓰기를 병행해왔으며, 저서로는 『황두진: 다공성.구축술.시스템』, 『무지개떡 건축』, 『당신의 서울은 어디입니까』, 『한옥이 돌아왔다』, 『가장 도시적인 삶』 등이 있다.

황두진의 다른 상품

황두진 : 다공성 구축술 시스템

황두진 : 다공성 구축술 시스템

63,000 (10%)

'황두진 : 다공성 구축술 시스템' 상세페이지 이동

한국 문화의 정체성

한국 문화의 정체성

43,000

'한국 문화의 정체성' 상세페이지 이동

공원 사수 대작전

공원 사수 대작전

14,400 (10%)

'공원 사수 대작전' 상세페이지 이동

가장 도시적인 삶

가장 도시적인 삶

19,800 (10%)

'가장 도시적인 삶' 상세페이지 이동

예술가이야기 시리즈 5권

예술가이야기 시리즈 5권

67,500 (10%)

'예술가이야기 시리즈 5권' 상세페이지 이동

건축가 김수근

건축가 김수근

13,500 (10%)

'건축가 김수근' 상세페이지 이동

글 : 안혜령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글 : 안혜령
관심작가 알림신청
-1956년 경상북도 김천에서 태어났으며, 서울에서 학창 시절을 보냈다. 이화여 자대학교 사학과를 졸업한 뒤 「뿌리깊은나무」와 「홈토피아」에서 기자로 일했고, 그 외 여러 곳에서 글 쓰는 일을 했다. 2000년대 초반, 도시 생활을 접고 충청북도 괴산에 터를 잡아 농 사도 짓고 글도 쓰며 지내고 있다. 지은 책으로 『농부의 밥상』, 『손인실』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