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 소개(2명)

이전

저 : 임춘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임춘
관심작가 알림신청
林椿
임춘(林椿)은 고려 후기로 넘어가는 의종(毅宗)·명종(明宗) 연간 인물로, 자는 기지(耆之)요 호는 서하(西河)다. 생몰은 정확히 알 수 없지만, 의종 연간에 태어나 40세 가까이 살았던 것으로 추정된다. 종래 30세까지 살았다는 주장도 있지만, 40세에 귀밑털이 희다고 하는(四十龍鍾兩?華) 자신의 기록으로 보아 분명한 사실일 것이다. 임춘은 관직(官職)에 오르지는 못했지만 현실을 직시하고 유학의 본령으로 위안을 삼으면서 현실을 감내했다. 임춘이 할 수 있는 것은 자신의 현실적 고통을 문학을 통해 표출하는 것뿐이었다. 주로 강남을 떠돌던 시절에 많은 작품을 남겼다. 현존하는 ≪서하집(西河集)≫에는 현실적 관심을 잘 보여 주는 작품이 시(詩)와 산문(散文)에 골고루 분포되어 있다. 불우한 문인으로 전락했지만 결코 현실을 거부할 수도 잊을 수도 없기에, 시문(詩文)은 강렬한 현실 지향적인 특징을 보여 주며, 특히 가전체 소설의 효시(嚆矢)로 알려진 <국순전(麴醇傳)>·<공방전(孔方傳)>도 타락한 현실을 비판한 강렬한 의식이 엿보인다. 죽림고회(竹林高會)의 멤버 중에 이인로를 제외하고는 모두 남아 있는 작품이 없는 점을 감안하면 ≪서하집(西河集)≫은 임춘의 불우를 보상하고도 남음이 있으며, 무신의 난을 전후한 시대 상황을 인식할 수 있는 사료로서 의미 또한 크다.

임춘의 다른 상품

역 : 진성규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역 : 진성규
관심작가 알림신청
경북 예천에서 출생했다. 은풍국민학교를 졸업한 후 서당에서 3년 동안 한학을 공부했다. 예천의 대창중·고등학교를 졸업한 후 3년 여 공무원 생활을 했다. 중앙대학교 사학과를 졸업한 후, 서울대 대학원 국사학과 및 중앙대 대학원 사학과에서 석·박사 과정을 수료했다(문학석·박사). 한국정신문화연구원(현 한국학 중앙연구원) 및 부산여대(현 신라대)를 거쳐 현재 중앙대 역사학과 교수로 재직하다가 현재 중앙대 명예교수로 있다.저서로는 『진각국사 혜심연구』, 공저로는 『신라의 불교사원』, 『인물로 본 한국불교사상사』, 『한국사상사입문』 등이 있다. 역서로는 『서하집(西河集)』, 『원감국사집(圓鑑國師集)』, 『계와문집(溪窩文集)』, 『경기금석문대관(京畿金石文大觀)』 등이 있다.

진성규의 다른 상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