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 소개(2명)

이전

저 : 존 퍼드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존 퍼드
관심작가 알림신청
John Ford
영국의 재커비언과 캐럴라인 시대의 극작가이자 시인으로 “영국 르네상스 시대의 마지막 주요 작가”라고 알려져 있다. 1586년 영국 데본셔 일싱턴에서 오랜 전통을 가진 부유한 가문의 토머스 퍼드와 엘리자베스 퍼드의 둘째 아들로 태어났다. 1601년에서 1602년까지 옥스퍼드 엑세터 대학에 다닌 것으로 알려져 있고 1602년 16세에 런던 4개 법학원 중 하나인 미들 템플에 입학해 여러 해 동안 법을 공부했다고 한다. 퍼드는 극작품을 쓰기 전, 1606년에서 1620년 사이에 〈사랑의 승리(Love Triumphant)〉(1606), 〈황금 평균(The Golden Mean)〉(1613), 그리고 〈생명의 선(A Line of Life)〉(1620)을 포함해 여러 편의 산문을 썼다. 그가 극작품을 쓰기 시작한 것은 1621년부터인데 1625년부터는 단독으로 집필을 시작해 약 12편의 작품을 썼다. 극작가로서의 명성은 단독으로 집필한 2편의 작품에서 기인하는데 바로 〈안타깝게도 그녀가 창녀라니('Tis Pity She's a Whore)〉(1625∼1633)와 〈상심(The Broken Heart)〉(1629)이다. 이 두 작품에서 퍼드는 끔찍하고 선정적인 주제를 솔직한 문체로 표현하고 있다. 마지막 작품이라고 알려진 〈레이디의 시련〉이 출판된 1639년 이후 퍼드의 활동에 대해서는 알려진 것이 없고 그의 죽음과 관련된 기록도 없다. 1642년, 그가 죽고 얼마 지나지 않아 청교도 영향 아래 있던 의회가 런던 극장들을 폐쇄하고 그 결과 영국 극문학도 침체기를 맞이하게 되는데 그의 작품에는 청교도 혁명을 앞둔 영국 사회의 불안과 기존 가치의 붕괴 양상이 잘 반영되어 있다.

존 퍼드의 다른 상품

안타깝게도 그녀가 창녀라니

안타깝게도 그녀가 창녀라니

22,800

'안타깝게도 그녀가 창녀라니' 상세페이지 이동

역 : 임도현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역 : 임도현
관심작가 알림신청
임도현은 서울시립대학교 영어영문학과를 졸업하고 영국 리버풀대학교(University of Liverpool)에서 르네상스와 낭만주의 문학 전공으로 석사학위를, 동대학교에서 셰익스피어와 윌리엄 버틀러 예이츠의 희곡을 비교분석한 논문 「Shakespeare and Yeats's Plays: Impact, Influence and Intertextuality」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2011년 논문 「베니스 상인 : 앤토니오의 우울함」으로 한국셰익스피어학회에서 수여하는 우수논문상을 받았다. 공연을 위한 희곡 번역과 함께 연극평론을 하고 있고 드라마터그로 공연에도 참여하고 있다. 또한 셰익스피어 전공자들로 구성된 원어연극단 ‘Shakespeare's Kids’의 단원으로 [리처드 3세], [법은 법대로]], [줄리어스 시저] 등 여러 편의 공연에 배우로 출연했다. 현재 한국셰익스피어학회 편집이사를 맡고 있고 대진대학교 창의미래인재대학 조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저서로는 글담출판사에서 2015년에 출간된 ≪어떤 부모가 되어야 하는가 : 바른 양육관을 갖고 싶은 부모를 위한 인문육아≫가 있는데 자녀 양육의 해법을 인문학에서 찾으려는 시도로 기획된 프로젝트로, 문학 부분을 맡아서 [자신의 시선에 아이를 가두는 부모에게 셰익스피어가 말을 건네다] 라는 제목의 글을 수록했다. 번역서로는 2015년에 동인출판사에서 출간된 셰익스피어 역사극 중 하나인 ≪헨리 4세 1부(Henry 4, Part 1)≫가 있고 2016년 한빛출판사에서 출간된 예이츠의 희곡 ≪마음이 열망하는 곳(The Land of Heart's Desire)≫이 있다.

임도현의 다른 상품

안타깝게도 그녀가 창녀라니

안타깝게도 그녀가 창녀라니

22,800

'안타깝게도 그녀가 창녀라니' 상세페이지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