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 소개(2명)

이전

저 : 암브로시우스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암브로시우스
관심작가 알림신청
Ambrosius
334년경 트리어에서 태어났다. 갈리아 지방 총독이었던 아버지가 일찍 세상을 떠나자, 어머니는 삼 남매를 데리고 로마로 돌아갔고, 암브로시우스는 그곳에서 훌륭한 인문 교육을 받았다. 형 사티루스와 함께 시르미움의 법원에서 변호사로 짧게 활동했고, 프로부스 총독의 고문으로 일했다. 370년경 밀라노에 행정소재지를 둔 에밀리아 리구리아 지방 집정관이 되었다. 374년 밀라노 주교좌가 공석이 되자, 후임 주교 선출 문제로 맞서 싸우던 정통 신앙파와 아리우스파를 중재하고 주교 선출을 감독하러 밀라노 대성당에 들어선 암브로시우스는 한마음으로 “암브로시우스 주교!”를 외치는 신자들의 요청으로 주교가 되었다. 때늦은 세례를 받은 지 이레 만에 주교품을 받았고, 가진 재산을 가난한 이들에게 나누어주었다. 제국과 황실의 불의와 횡포에 저항하며 교회와 국가 관계에 균형추를 놓았고, 가난한 이들과 사회적 약자들에 대한 특별한 사랑으로 사회 정의를 위해 헌신했으며, 성경 주해와 신학 저술을 비롯하여 다양한 사회 윤리 작품을 남겼다. 그의 인품과 가르침은 아우구스티누스의 회심에도 큰 영향을 주었다. 397년 성 토요일에 선종하여 이튿날인 부활 대축일에 밀라노 주교좌 대성당에 묻혔다. 히에로니무스, 아우구스티누스, 대 그레고리우스와 더불어 서방 교회 4대 교부로 공경받고 있다. 가톨릭 교회는 암브로시우스의 주교 수품일인 12월 7일에 그 축일을 기념한다.

역 : 최원오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역 : 최원오
관심작가 알림신청
광주가톨릭대학교와 대학원을 졸업하고, 로마 아우구스티누스 대학에서 교부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부산가톨릭대학교 교수로 일했으며, 현재 대구가톨릭대학교 교수다. 『내가 사랑한 교부들』(분도출판사 2005, 공저), 『종교 간의 대화』(현암사 2009, 공저), 『교부들에게 배우는 삶의 지혜』(분도출판사 2017, 공저), 『교부들의 사회교리』(분도출판사 2020)를 지었고, 포시디우스의 『아우구스티누스의 생애』(분도출판사 2008, 공역주), 아우구스티누스의 『요한 서간 강해』(분도출판사 2011, 공역주), 『교부들의 성경 주해?마르코 복음서』(분도출판사 2011), 암브로시우스의 『나봇 이야기』(분도출판사 2012)와 『토빗 이야기』(분도출판사 2016), 오리게네스의 『원리론』(아카넷 2014, 공역주), 키프리아누스의 『선행과 자선?인내의 유익?시기와 질투』(분도출판사 2018), 요한 크리소스토무스의 『참회에 관한 설교』(분도출판사 2019, 해제), 『성 아우구스티누스』(분도출판사 2015, 공역), 『교부와 만나다』(비아출판사 2019, 공역)를 우리말로 옮겼고, 『교부 문헌 용례집』(수원가톨릭대학교출판부 2014)을 함께 엮었다.

최원오의 다른 상품

명인록 De viris illustribus

명인록 De viris illustribus

20,700 (10%)

'명인록 De viris illustribus' 상세페이지 이동

교부학 사전

교부학 사전

104,500 (5%)

'교부학 사전' 상세페이지 이동

교부들의 길

교부들의 길

16,200 (10%)

'교부들의 길' 상세페이지 이동

참회에 관한 설교/자선

참회에 관한 설교/자선

21,850 (5%)

'참회에 관한 설교/자선' 상세페이지 이동

선행과 자선 / 인내의 유익 / 시기와 질투

선행과 자선 / 인내의 유익 / 시기와 질투

15,200 (5%)

'선행과 자선 / 인내의 유익 / 시기와 질투' 상세페이지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