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 소개(8명)

이전

저 : 원용진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원용진
관심작가 알림신청
서강대학교 커뮤니케이션학부 교수. 한국의 미디어 문화연구 1세대 학자로 미디어와 한국 사회 안팎에 관한 주요 의제를 제기해왔다. 서강대학교 신문방송학과를 졸업했으며, 동 대학원에서 석사학위를, 미국 위스콘신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한국영상문화학회장, 한국언론정보학회장을 역임했으며, 현재 서강대학교 커뮤니케이션학부 교수로 재직 중이다. 대표 저서로 『대중문화의 패러다임』, 『텔레비전 비평론』, 『광고 문화 비평』, 『한국 언론 민주화의 진단』, 공저로 『PD 저널리즘』, 『아메리카나이제이션』, 『The Korean Wave: Evolution, Fandom, and Transnationality』 등이 있다.

원용진의 다른 상품

메가플랫폼 네이버

메가플랫폼 네이버

22,000

'메가플랫폼 네이버' 상세페이지 이동

텔레비전 비평론

텔레비전 비평론

21,000

'텔레비전 비평론' 상세페이지 이동

서드 라이프 (큰글씨책)

서드 라이프 (큰글씨책)

30,000

'서드 라이프 (큰글씨책)' 상세페이지 이동

한류에서 교류로

한류에서 교류로

16,000

'한류에서 교류로' 상세페이지 이동

저 : 이동연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이동연
관심작가 알림신청
한국한국예술종합학교 한국예술학과 교수다. 중앙대학교 영문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석사학위와 박사학위를 받았다. 계간 ≪문화/과학≫ 편집인 및 ‘문화연대’ 집행위원장을 역임했다. ‘플랫폼창동61’ 총괄 예술 감독이자 ‘예술세상 마을프로젝트’ 예술 감독을 겸하고 있으며, ‘문화예술계 블랙리스트 진상조사 및 제도개선위원회’ 위원과 문화체육관광부 ‘새문화정책준비단’ 단장을 맡고 있다. 문화 이론을 연구하고 문화 운동 현장에서 대안적인 문화 기획을 하며 공연 제작 현장에서 활발하게 활동한다. 대표 저서로서는 『문화연구의 종말과 생성』(2017), 『게임 이펙트: 행복한 뇌를 만드는 게임의 문화심리학』(2014), 『문화자본의 시대: 한국 문화자본의 형성 원리』(2010), 『대안문화의 형성』(2010), 『문화부족의 사회: 히피에서 폐인까지』 (2005), 『대중문화연구와 문화비평』(2002) 등이 있다.

이동연의 다른 상품

대한민국 대전환을 위한 혁신 아젠다 1

대한민국 대전환을 위한 혁신 아젠다 1

18,000 (10%)

'대한민국 대전환을 위한 혁신 아젠다 1' 상세페이지 이동

우리말글문화 총서

우리말글문화 총서

81,000 (10%)

'우리말글문화 총서' 상세페이지 이동

예술마을의 탄생

예술마을의 탄생

16,200 (10%)

'예술마을의 탄생' 상세페이지 이동

서드 라이프 (큰글씨책)

서드 라이프 (큰글씨책)

30,000

'서드 라이프 (큰글씨책)' 상세페이지 이동

예술@사회

예술@사회

15,300 (10%)

'예술@사회' 상세페이지 이동

문화연구의 종말과 생성

문화연구의 종말과 생성

25,000

'문화연구의 종말과 생성' 상세페이지 이동

전통 예술의 미래

전통 예술의 미래

16,920 (10%)

'전통 예술의 미래' 상세페이지 이동

저 : 강신규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강신규
관심작가 알림신청
한국방송광고진흥공사 미디어광고연구소 연구위원이다. 방송, 게임, 만화, 팬덤 등 미디어/문화에 대해 연구한다. 성균관대학교 문과대학 겸임교수, 문화이론 전문지 ≪문화/과학≫ 편집위원, 문화체육관광부 게임문화포럼 위원, 한국게임정책자율기구 게임광고자율규제위원으로도 활동 중이다. 저·역서로 『게임의 이론』(2019, 공저), 『81년생 마리오』(2017, 공저), 『게임포비아』(2013, 공저), 『비디오게임』(2008, 공역) 등이, 논문으로 “게임화하는 방송: 생산자적 텍스트에서 플레이어적 텍스트로”(2019), “생산과 소비 사이, 놀이와 노동 사이: <프로듀스 48>과 팬덤의 재구성”(2019, 공저), “메타/게임으로서의 ‘게임 보기’: 전자오락 구경부터 인터넷 게임방송 시청까지”(2019, 공저), “망가의 초국가적 욕망: 우라사와 나오키의 작품들을 중심으로”(2014, 공저), “문화적 수행으로서의 e스포츠 팬덤에 관한 연구: 팬 심층인터뷰 분석을 중심으로”(2011, 공저) 등이 있다.

강신규의 다른 상품

2021 한류백서

2021 한류백서

19,000

'2021 한류백서' 상세페이지 이동

아이피, 모든 이야기의 시작 (큰글씨책)

아이피, 모든 이야기의 시작 (큰글씨책)

35,000

'아이피, 모든 이야기의 시작 (큰글씨책) ' 상세페이지 이동

아이피, 모든 이야기의 시작

아이피, 모든 이야기의 시작

24,800

'아이피, 모든 이야기의 시작' 상세페이지 이동

2020 한류백서

2020 한류백서

19,000

'2020 한류백서' 상세페이지 이동

서브컬처 비평 큰글씨책

서브컬처 비평 큰글씨책

22,000

'서브컬처 비평 큰글씨책 ' 상세페이지 이동

서브컬처 비평

서브컬처 비평

12,000

'서브컬처 비평' 상세페이지 이동

서드 라이프 (큰글씨책)

서드 라이프 (큰글씨책)

30,000

'서드 라이프 (큰글씨책)' 상세페이지 이동

한류백서 2019

한류백서 2019

19,000

'한류백서 2019' 상세페이지 이동

저 : 권호창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권호창
관심작가 알림신청
성균관대학교 트랜스미디어연구소 연구교수다. 연세대학교 화학공학과를 중퇴한 후 한국예술종합학교 영상원 영상이론과를 졸업하고, 한국과학기술원 지식서비스공학대학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인문학, 예술, 과학기술이 통섭되는 이야기라는 플랫폼에 관심을 두고 연구와 강의를 하고 있다. 논문으로는 “A Computational Model to Detect Affective Response Based on Narrative Agent’s Knowledge”(2020), “An improved method of character network analysis for literary criticism: A case study of ”(2017), “An information?theoretic evaluation of narrative complexity for interactive writing support” (2016), “독자의 이해도를 고려한 내러티브 창작 지원 시스템 설계”(2014) 등이 있다.

권호창의 다른 상품

서드 라이프 (큰글씨책)

서드 라이프 (큰글씨책)

30,000

'서드 라이프 (큰글씨책)' 상세페이지 이동

저 : 김상민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김상민
관심작가 알림신청
『문화/과학』 편집위원. 문화연구(조지메이슨대학교) 박사로 한국예술종합학교, 서울대학교, 연세대학교에서 강의하고 있으며, 한국문화연구학회와 캣츠랩의 운영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저서로는 『디지털 자기기록의 문화와 기술』(2016), 『서드라이프』(공저, 2020), 『전환기의 한국사회: 성장과 정체성의 정치를 넘어』(공저, 2019), 『데이터 시대의 언론학연구』(공저, 2017), 『불순한 테크놀로지』(공저, 2014) 등이 있고, 역서로 『하이테크네』(공역, 2004) 등이 있다.

김상민의 다른 상품

서드 라이프 (큰글씨책)

서드 라이프 (큰글씨책)

30,000

'서드 라이프 (큰글씨책)' 상세페이지 이동

저 : 유원준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유원준
관심작가 알림신청
영남대학교 트랜스아트/미학미술사학과 교수다. 홍익대학교에서 예술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과학-기술 매체와 예술 융합의 다양한 지점에 관하여 연구하고 있다. 영화와 게임, 만화와 공연 예술 등 전통적인 시각예술의 범주를 넘어 문화예술 콘텐츠 전반에 관심이 있다. 한국콘텐츠진흥원 만화비평 대상(2019), 월간미술 학술비평 부분 대상(2022)을 수상했다. 2004년 미디어문화예술채널 앨리스온을 설립하였으며 문화관광부 광복 60주년 IT 프로젝트 팀장(2005), 아트센터 나비 교육팀장(2006∼2008)을, 주안미디어페스티벌(2011), 과학예술 융복합 프로젝트 GAS(과학기술정보통신부, 2016, 2017) 및 광주미디어아트페스티벌(2018), 아시아문화의전당 ‘아세안의 빛, 하나의 공동체’(2019) 총감독 등을 역임했다.
주요 저서로는 『매체미학, 예술과 기술 사이에서』(2022), 『뉴 미디어아트와 게임예술』(2014)이 있다. “포스트 코로나 시대, 경계적 주체성에 관한 예술작품 연구”(2023), “인간-기술 네트워크에 의한 지각 및 기억의 외재화 연구”(2022), “인터넷 아트의 미학적 가능성 연구 : 인터넷과 포스트-인터넷 환경을 중심으로”(2020) 등의 논문이 있다.

유원준 의 다른 상품

예술과 메타버스의 만남 (큰글자책)

예술과 메타버스의 만남 (큰글자책)

25,000

'예술과 메타버스의 만남 (큰글자책) ' 상세페이지 이동

예술과 메타버스의 만남

예술과 메타버스의 만남

12,000

'예술과 메타버스의 만남' 상세페이지 이동

서드 라이프 (큰글씨책)

서드 라이프 (큰글씨책)

30,000

'서드 라이프 (큰글씨책)' 상세페이지 이동

인공지능시대의 예술

인공지능시대의 예술

14,250 (5%)

'인공지능시대의 예술 ' 상세페이지 이동

저 : 이종임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이종임
관심작가 알림신청
서울과학기술대학교 IT정책전문대학원 강사로 젠더, 청년 세대, 아이돌 문화와 문화산업, 미디어 테크놀로지 영향력에 관심을 갖고 연구하고 있다. 중앙대학교 신문학과에서 석사와 박사 학위를 받았고, 미국 일리노이대학교(어바나?샴페인 캠퍼스) 동아시아연구소에서 방문학자를 지냈다. 책으로는 『아이돌 연습생의 땀과 눈물』, 『문화산업의 노동구조와 아이돌』, 『문화연구의 렌즈로 대중문화를 읽다』(공저), 『디지털 페미니즘』(공저), 『서드라이프』(공저) 등이 있다.

이종임의 다른 상품

포스트텔레비전

포스트텔레비전

24,000

'포스트텔레비전' 상세페이지 이동

대중문화와 문화산업

대중문화와 문화산업

29,800

'대중문화와 문화산업' 상세페이지 이동

서드 라이프 (큰글씨책)

서드 라이프 (큰글씨책)

30,000

'서드 라이프 (큰글씨책)' 상세페이지 이동

AI와 더불어 살기 (큰글씨책)

AI와 더불어 살기 (큰글씨책)

37,000

'AI와 더불어 살기 (큰글씨책)' 상세페이지 이동

AI와 더불어 살기

AI와 더불어 살기

25,800

'AI와 더불어 살기' 상세페이지 이동

핵심 이슈로 보는 미디어와 젠더

핵심 이슈로 보는 미디어와 젠더

25,000

'핵심 이슈로 보는 미디어와 젠더' 상세페이지 이동

문화산업의 노동구조와 아이돌

문화산업의 노동구조와 아이돌

15,000

'문화산업의 노동구조와 아이돌' 상세페이지 이동

디지털 미디어와 페미니즘

디지털 미디어와 페미니즘

25,000

'디지털 미디어와 페미니즘' 상세페이지 이동

저 : 임태훈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임태훈
관심작가 알림신청
성균관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조교수. 문학과 테크놀로지, SF 문화와 사운드스케이프 예술을 연구하고 있다. 인문학협동조합 미디어기획위원장으로 활동했다. 저서로 『블레이드 러너 깊이 읽기』(공저, 2021), 『기계비평들』(공저, 2019), 『한국 테크노컬처 연대기』(공저, 2017), 『시민을 위한 테크놀로지 가이드』(공저, 2017), 『검색되지 않을 자유』(2014), 『우애의 미디올로지』(2012) 등이 있다. 주요 논문으로는 「쓰레기 처리 제도의 변화와 소비 대중의 기억 문화 (1): ‘종량제 봉투’를 소재로 한 소설을 중심으로」(2021), 「기생 경제와 기식음의 정보 체계로부터: 이광수 <개척자> 재독」(2020), 「납 활자 인쇄소의 퇴출과 문학적 기록」(2019) 등이 있다.

임태훈의 다른 상품

블레이드 러너 깊이 읽기

블레이드 러너 깊이 읽기

16,200 (10%)

'블레이드 러너 깊이 읽기' 상세페이지 이동

서드 라이프 (큰글씨책)

서드 라이프 (큰글씨책)

30,000

'서드 라이프 (큰글씨책)' 상세페이지 이동

게임의 이론: 놀이에서 디지털 게임까지

게임의 이론: 놀이에서 디지털 게임까지

19,000 (5%)

'게임의 이론: 놀이에서 디지털 게임까지' 상세페이지 이동

기계비평들

기계비평들

16,200 (10%)

'기계비평들' 상세페이지 이동

스테이트 아방가르드의 유령

스테이트 아방가르드의 유령

23,750 (5%)

'스테이트 아방가르드의 유령' 상세페이지 이동

한국 테크노컬처 연대기

한국 테크노컬처 연대기

14,250 (5%)

'한국 테크노컬처 연대기' 상세페이지 이동

4차산업혁명이라는 거짓말

4차산업혁명이라는 거짓말

10,800 (10%)

'4차산업혁명이라는 거짓말' 상세페이지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