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 소개(2명)

이전

저 : 성환갑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성환갑
관심작가 알림신청
成煥甲
1946년 경남 진양군(현재 진주시) 출생으로 1965년 중앙대학교 국어국문학과에 입학하였고, 이후 중앙대학교 국어국문학과에서 문학사(1969), 문학 석사(1972), 문학 박사(1983) 학위를 받았다. 1979년부터 2011년까지 중앙대학교 문과대학 국어국문학과 교수를 역임하였다. 재직 중에 ‘국어사’, ‘국어학강독’, ‘국어음운론’ 등을 학부에서, ‘국어사특수연구’, ‘중세국어연구’, ‘근대국어연구’, ‘국어의미변화론’, ‘한국한자어연구’ 등을 대학원에서 강의하였다. 중앙대 대학원장(2007.02~2009. 01), 국어학회 회장(2007.03~2009. 02), 한국어문교육연구회 회장(2010.03~2014.02), 한국어문회 이사장(2016.03~2020.02) 등을 역임하였다.
지금까지 국어사 분야와 관련하여 국어 문법사, 국어 의미 변화사, 한국 한자어 등에 대한 심도 있는 연구를 진행해왔다.

논문으로 「中世國語 格助詞 硏究」(1977), 「固有語의 漢字語化 過程」(1987), 「意味의 具象化와 抽象化」(1988), 「國語史의 對照的 樣相(上)」(1989), 「音韻의 脫落과 添加」(1990), 「音의 硬化와 弱化」(1990), 「國語史의 對照的 樣相(下)」(1990), 「意味의 縮小와 擴大」(1991), 「意味의 向上과 卑下」(1991), 「類義字 結合에 의한 漢字語 形成」(1998), 「反義字 結合 漢字語 연구(Ⅰ)」(2001), 「反義字 結合 漢字語 연구(Ⅱ)」(2002), 「字順倒置 漢字語 硏究」(2005), 「《瘡疹方撮要》 해제」(2005), 「蘭汀 南廣祐 博士의 學問 世界」(2008), 「固有語와 漢字語의 調和」(2010) 이 있다. 저서에는 『月印千江之曲 譯註』 (1978, 공저), 『國語學散考』(2006) 이 있다 .

저 : 조재형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조재형
관심작가 알림신청
趙宰亨
1974년 인천에서 태어났다. 1993년 중앙대학교 국어국문학과에 입학하였고, 이후 중앙대학교 국어국문학과에서 문학사(2000), 문학 석사(2005), 문학 박사(2009) 학위를 받았다. 2014년부터 전남대학교 인문대학 국어국문학과 교수로 근무하고 있다.

현재 ‘중세국어 문법의 이해’, ‘국어학 문헌 강독’, ‘국어사’ 등을 학부에서, ‘고대국어연구’, ‘차자표기연구’, ‘중세국어연구’, ‘국어문법사연구 등을 대학원에서 강의하고 있다. 앞으로 국어문법사 연구를 중심으로, 국어 개념사 연구, 국어 시상 연구 체계의 통시적 변천 등의 장기 연구를 진행할 계획이다.

논문으로 「소위 複合格助詞 ‘엣’의 通時的 考察」(2008), 「古代國語時期의 借字表記 ‘良’의 讀音 考察」(2009), 「古代國語時期의 ‘衣’의 讀音에 관하여」(2009), 「‘이어긔, 그어긔, 뎌어긔’에 대한 考察」(2010), 「부사격조사 ‘-矣/-衣’, ‘-希’, ‘-未’의 비교 고찰」(2011), 「‘-에게’形의 변천과정에 대한 통시적 고찰」(2011), 「소위 특이처격조사의 통시적 변천 고찰」(2013), 「‘-에’와 ‘-에서’의 기본의미 비교 고찰」(2014), 「中世·近代國語 副詞格助詞 硏究의 爭點과 課題」(2016), 「민족 개념과 국어 개념의 형성 관계에 대한 고찰」(2018) 이 있다. 저서에는 『용비어천가의 국어학적 분석과 현대역』(2018,공저), 『고조선의 언어계통 연구, 동북아역사재단』(2018,공저) 이 있다.

조재형의 다른 상품

글로벌 디지털 환경과 문화 다중심

글로벌 디지털 환경과 문화 다중심

25,000

'글로벌 디지털 환경과 문화 다중심' 상세페이지 이동

한국어교육의 제문제

한국어교육의 제문제

29,000

'한국어교육의 제문제' 상세페이지 이동

용비어천가의 국어학적 분석과 현대역

용비어천가의 국어학적 분석과 현대역

26,000

'용비어천가의 국어학적 분석과 현대역' 상세페이지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