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 소개(4명)

이전

저 : 양혜규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양혜규
관심작가 알림신청
특정한 역사적 인물이나 구체적인 일상의 환경 등을 설치, 조각, 영상, 사진, 사운드 등 다양한 매체를 통해 정교하고 추상적인 조형 언어로 번역해 많은 주목을 받았다. 양혜규의 작품은 제13회 카셀도쿠멘타(2012), 제53회 베니스 비엔날레 한국관 개인전 및 아르세날레 단체전(2009)을 비롯해 제16회 이스탄불 비엔날레(2019), 제21회 시드니 비엔날레(2018), 몬트리올 비엔날레(2016), 제12회 샤르자 비엔날레(2015), 제9회 타이베이 비엔날레(2014) 등의 저명한 대형 국제 미술 전시에서 소개되었다. 파리 퐁피두센터, 뉴욕 현대미술관, 런던 테이트 모던 등 권위 있는 기관에서 초대전을 개최한 바 있으며, 뉴욕 현대미술관, 구겐하임 미술관, 워커아트센터, 테이트 컬렉션, 퐁피두센터 등 세계 여러 유수 기관에서 양혜규의 작품을 소장하고 있다. 2018년 대한민국문화예술상(대통령 표창)의 수상자이며, 아시아 여성 작가 최초로 독일의 볼프강 한 미술상(Wolfgang Hahn Prize)을 받았다. 현재 모교인 프랑크푸르트 슈테델슐레 순수미술학부 교수로 재직 중이다. 앞서 아트선재센터(2010), 리움 미술관(2015), 서울 국제갤러리(2019)에서 국내 개인전을 개최한 바 있으며, 최근에는 마이애미 배스 미술관(2019), 사우스 런던 갤러리(2019), 뉴플리머스 고벳 브루스터 미술관, 브리즈번 현대미술관(2018), 몽펠리에 라 파나세 현대예술센터(2018), 밀라노 트리엔날레(2018), 쾰른 루트비히 미술관(2018), 쿤스트하우스 그라츠(2017), 베를린 킨들 현대미술센터(2017), 함부르크 쿤스트할레(2016), 포르투 세할베스 현대미술관 (2016), 파리 퐁피두센터(2016), 베이징 울렌스 현대미술센터(2015) 등에서 개인전을 개최했다. 뉴욕 현대미술관(2019)에서는 《손잡이들》 전시를 개최했으며, 2020년 하반기에는 국립현대미술관 《MMCA 현대차 시리즈 2020: 양혜규 - O₂ & H₂O》, 캐나다 토론토 온타리오 미술관에서 《창발》, 필리핀 마닐라 현대미술디자인뮤지엄에서 《우려의 원추》, 영국 테이트 세인트 아이브스에서 《이상한 끌개》 등의 주요 개인전들이 개최되었다.

양혜규의 다른 상품

공기와 물

공기와 물

52,200 (10%)

'공기와 물' 상세페이지 이동

저 : 양효실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양효실
관심작가 알림신청
여성학자이자 미술비평가. 서울대 미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서울대, 한국예술종합학교 등에서 현대예술과 문화, 여성주의를 주제로 강의하고 있으며 미술비평가로도 활동 중이다. 여성, 청년, 동성애자 등을 재현하는 미적인 혹은 윤리적인 방법의 복수성과 다양성을 전달하는 데 주된 관심을 갖고 있다. 『불구의 삶, 사랑의 말』 『권력에 맞선 상상력, 문화운동 연대기』 등을 썼고, 주디스 버틀러의 『윤리적 폭력 비판』 등을 우리말로 옮겼다.

양효실의 다른 상품

미친, 사랑의 노래

미친, 사랑의 노래

18,000 (10%)

'미친, 사랑의 노래' 상세페이지 이동

우리는 다 태워버릴 것이다

우리는 다 태워버릴 것이다

34,200 (10%)

'우리는 다 태워버릴 것이다' 상세페이지 이동

연대하는 신체들과 거리의 정치

연대하는 신체들과 거리의 정치

22,500 (10%)

'연대하는 신체들과 거리의 정치' 상세페이지 이동

공간을 스코어링하다

공간을 스코어링하다

43,200 (10%)

'공간을 스코어링하다' 상세페이지 이동

빨강, 파랑, 그리고 노랑

빨강, 파랑, 그리고 노랑

18,000 (10%)

'빨강, 파랑, 그리고 노랑' 상세페이지 이동

저 : 이용우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이용우
관심작가 알림신청
미디어 역사문화연구자. 현재 홍콩중문대학 문화연구학과 조교수로 재직 중이다. 뉴욕 대학교, 코넬 대학교 및 서강대학교 트랜스내셔널 인문학연구소에서 한국 근현대 비판적 미디어 문화연구, 시각 연구, 영화 이론과 동아시아 대중문화, 전시 일본과 전후 남한의 지성사, 한국 현대미술, 후 기식민지 기억 역사 연구와 번역 등을 연구하고 가르쳤다. 《아시아 디바: 진심을 그대에게》(2017, 서울시립미술관 북서울관, 공동큐레이팅), 《제1회 안렌 비엔날레》(2017), 홍콩 파라사이트의 《흙과 돌, 영혼과 노래(Soil and Stones, Souls and Songs)》(2016-2017), 《로버트 메이플소프: 모어 라이프 More Life》(2021,국제갤러리) 《있지만 없었던 : Naming the Nameless》(2021,서울시립미술관 SeMA Bunker)등에 큐레이터로 참여했다. 『슈퍼휴머니티(Superhumanity)』(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2018), 『둘 혹은 세 마리의 호랑이: 식민 서사, 미디어 그리고 근대(2 Oder 3 Tiger: Koloniale Geschichten, Medien Und Moderne)』(Matthes & Seitz Berlin, 2017), 『강서경 검은 자리 꾀꼬리 (Black Mat Oriole)』(ROMA publications, 2019), 『제9회 부산 비엔날레: 비록 떨어져 있어도(Divided We Stand: 9th Busan Biennale 2018)』(Sternberg Press, 2019), 『제인진 카이젠: 이별의 공동체』(아카 이브북스, 2020, 아트선재 2021), 『MMCA 현대차 시리즈2020 양혜규: O2 & H2O』(현실문화 2021),
『현대문학』, 『아시아 시네마 저널』 등 다수의 서적, 저널, 카탈로그에 글을 게재했다.

이용우의 다른 상품

로버트 메이플소프 ROBERT MAPPLETHORPE

로버트 메이플소프 ROBERT MAPPLETHORPE

140,000

'로버트 메이플소프 ROBERT MAPPLETHORPE ' 상세페이지 이동

캄보디아 대중음악의 황금시대

캄보디아 대중음악의 황금시대

25,200 (10%)

'캄보디아 대중음악의 황금시대' 상세페이지 이동

저 : 이지회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이지회
관심작가 알림신청
국립현대미술관 학예연구사. 《MMCA 현대차 시리즈 2020: 양혜규 - O₂ & H₂O》, 《덕수궁-서울 야외 프로젝트: 기억된 미래》(2019), 필라델피아미술관과 협력한 《마르셀 뒤샹》(2018), 스크리닝 프로그램 《베카 & 르모안: 생활밀착형 건축일기》(2018), 이플럭스 건축과 협력으로 심포지엄 및 출판 프로젝트 《슈퍼휴머니티: 인간은 어떻게 스스로를 디자인하는가》(2017)를 기획했다. 또한 서울도시건축비엔날레에서 커먼 어카운츠의 《세 개의 일상적 장례식》(2017)과 국립아시아문화전당에서 《새로운 유라시아 프로젝트》(2015~2017)의 큐레이터, 플라토 삼성미술관의 《매스스터디스 건축하기 전/후》의 협력큐레이터, 베니스 건축 비엔날레에서 황금사자상을 수여받은 한국관의 《한반도 오감도》(2014)의 부큐레이터로 활동했다.

이지회 의 다른 상품

감각의 공간, 워치 앤 칠 2.0

감각의 공간, 워치 앤 칠 2.0

25,000

'감각의 공간, 워치 앤 칠 2.0' 상세페이지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