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 소개(5명)

이전

저 : 이해조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이해조
관심작가 알림신청
李海朝, 동농東濃, 열재悅齋
이해조(李海朝, 1869∼1927)는 친일 개화 노선을 지향한 이인직(李人稙, 1862∼1916)과 달리 애국 계몽 노선을 표방했다. 경기도 포천에서 인조의 셋째 아들 인평대군(麟坪大君)의 10대 손으로, 이철용(李哲鎔)의 3남 1녀 중 맏아들로 태어났다. 호는 열재(悅齋), 이열재(怡悅齋), 동농(東濃)이며, 필명은 선음자(善飮子), 하관생(遐觀生), 석춘자(惜春子), 신안생(神眼生), 해관자(解觀子), 우산거사(牛山居士) 등을 사용했다.

1906년 11월부터 잡지 《소년한반도(少年韓半島)》에 소설 《잠상태(岑上苔)》를 연재하면서 본격적인 작품 활동을 시작했다. 주목되는 작품인 《자유종(自由鐘)》(1910)은 봉건 제도에 비판을 가한 정치적 개혁 의식이 뚜렷한 작품이다. 특히 여성의 사회적 지위 향상, 신교육의 고취, 사회 풍속의 개량 등 계몽 의식이 두드러진다.

처첩 문제, 계모의 박해 등을 보여 주는 《빈상설(?上雪)》(1908)·《춘외춘(春外春)》(1912)·《구의산(九疑山)》(1912)이나 미신 타파를 내세운 《구마검(驅魔劍)》(1908), 일반적인 젊은 남녀의 만남과 헤어짐의 사연에 중점을 둔 《화세계(花世界)》(1911), 《원앙도(鴛鴦圖)》(1911), 《봉선화(鳳仙花)》(1913) 등 36편의 작품을 발표해 신소설 최고의 작가로 평가된다. 모두 봉건 부패 관료에 대한 비판, 여권 신장, 신교육, 개가 문제, 미신 타파 등의 새로운 근대 의식과 계몽 의식을 담고 있다.
특히 1912년 《춘향전》, 《심청전》, 《흥부전》, 《토끼전》 등의 판소리를 명창 박기홍(朴起弘) 조(調)나, 심정순(沈正淳)의 창(唱)을 듣고 각각 《옥중화(獄中花)》, 《강상련(江上蓮)》, 《연의 각(燕의 脚)》, 《토의 간(兎의 肝)》 등으로 산정(刪正)해 《매일신보(每日申報)》에 연재하고 단행본으로도 출판해 ‘활자본 고소설(이야기책)’의 유행을 주도했다.

역 : 백진우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역 : 백진우
관심작가 알림신청
白晋宇
「조선후기 사론 산문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고, 2017년부터는 전주대학교에서 한문학, 고전문학, 글쓰기 등을 가르치고 있다. 현대를 살아가는 우리들에게 고전문학이 어떤 의미를 가질 수 있는가에 대한 연구에 관심을 갖고 있다. 이와 함께 인문학 대중화를 위한 노력을 지속하고 있다. 전주대학교 HK+지역인문학센터장을 역임했으며, 현재 같은 대학 신문방송국장을 맡고 있다. 주요 논저로는 『강상련 주해』, 『옥중화 주해』, 『옛글로 읽는 공존의 인문학』 등이 있다.

역 : 최성윤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역 : 최성윤
관심작가 알림신청
강원도 강릉 출생으로 강릉고등학교를 졸업하고 고려대학교 국어국문학과와 동 대학원에서 문학을 공부했다. 학부과정 중인 1995년 문화일보 추계문예공모에 시 「獨酌」이 당선되어 등단하였으며, 고려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에 진학한 이후부터 한국 근현대소설 연구에 전념하고 있다. 2000년 「이근영 연구」로 석사학위를, 2009년 「한국 근대초기 소설 작법의 형성과정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논문집 『계몽과 통속의 소설사』(도서출판 월인), 『전망 없는 시대, 전망을 찾는 소설』(도서출판 월인)을 상재하였고, 그 외에 다수의 공저 논문집이 있다.

또 『구운몽』(서연비람) 등 수 편의 고전소설을 현대어로 옮기고 해설하여 책으로 묶었다. 순천향대, 강원대 등의 학교에서 시간강사로 일하였으며,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의 연구교수, 상지대학교 교양대학 조교수와 김유정학회 상임이사와 편집위원을 지냈다. 현재 국어문학회 상임이사와 한국현대소설학회, 구보학회, 채만식학회의 상임이사와 편집위원을 맡고 있다. 신한대학교 교양교육대학 조교수로 재직중이다.

그 밖의 저서로는 공저 논문집 『김유정의 귀환』, 『한국학 사전의 편찬의 현황』, 『김유정과 동시대 문학 연구』, 『군산의 근대 풍경:역사와 문화』, 서연비람 고전 문학 전집 『최성윤 교수와 함께 읽는 홍길동전』,『최성윤 교수와 함께 읽는 구운몽』, 『최성윤 교수와 함께 읽는 허생전/양반전』, 『최성윤 교수와 함께 읽는 최척전/주생전』 등이 있다. 『연의각 주해(전주대학교 한국고전학연구소 연구총서 10)』를 함께 번역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