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 소개(6명)

이전

역 : 김찬자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역 : 김찬자
관심작가 알림신청
성균관대학교 불어불문학과를 졸업하고 프랑스 19세기와 20세기 연극 연구로 프랑스 그르노블 3대학에서 석사학위를, 파리 4대학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건국대학교 교수로 재직 중이며, 주로 중세 이후 대중적 기원의 서양 연극 형식과 작품을 연구한다. 저서로 『코메디아 델라르테』가 있으며, 역서로 『프랑스 중세 소극집』, 『프랑스 장터극 선집』, 『프랑스 희곡사』, 『시라노 드 베르주락』 등이 있다. 대중적 기원의 연극을 연구하면서 프랑스 희극과 웃음 문화에 관심을 갖게 되어 『희극, 프랑스 희극의 역사』(공역), 『라 퐁텐 우화』를 번역했다. 독특한 희극적 글쓰기 양상을 보이는 20세기 부조리 연극 작가 이오네스코의 작품 전반에 관한 연구서로 『이오네스코 읽기』, 『이오네스코, 언어의 순례자 그 몽환의 무대』, 『이오네스코의 대머리 여가수 읽기·존재와 그 부조리한 일상의 풍경』이 있다. 또한 연극, 문학사 전반에 관한 공동 연구를 수행하며 쓴 『연극의 이해』(공저), 『우리 시대의 프랑스 연극』(공저), 『서양문예사조: 초현실주의』(공저)가 있다.

김찬자의 다른 상품

프랑스 중세 파블리오 선집

프랑스 중세 파블리오 선집

22,800

'프랑스 중세 파블리오 선집' 상세페이지 이동

시라노 드 베르주라크 큰글씨책

시라노 드 베르주라크 큰글씨책

29,000

'시라노 드 베르주라크 큰글씨책' 상세페이지 이동

시라노 드 베르주라크

시라노 드 베르주라크

18,800

'시라노 드 베르주라크' 상세페이지 이동

흰 티티새 이야기 (큰글자책)

흰 티티새 이야기 (큰글자책)

25,000

'흰 티티새 이야기 (큰글자책)' 상세페이지 이동

흰 티티새 이야기

흰 티티새 이야기

11,000

'흰 티티새 이야기' 상세페이지 이동

역 : 이선형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역 : 이선형
관심작가 알림신청
성균관대학교 불문과 및 동대학 대학원을 졸업하고 프랑스 스트라스부르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현재 김천대학교 상담심리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으며 연극을 통한 치유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한국연극예술치료학회 회장, 한국연극치료협회 이사, 한국연극평론가협회 이사, 극단 ‘삼산이수’ 상임 연출로 활동하고 있다. 동화 『곰팡이 빵』(2010), 『용기 없는 감잎』(2012), 『셈 아저씨』(2015)를 출간했다. 주요 저서로는 『연극·영화로 떠나는 가족치료』(공저, 2010), 『프랑스 현대연극의 이론과 실제』(2007), 『예술 영화 읽기』(2005), 『연극은 무엇을 위해 존재하는가』(2013) 등이 있으며 역서로는 『영상 예술 미학』(2009), 『공연 예술의 기호』(2008), 『이미지와 기호』(2004), 『지하철의 연인들』(2003), 『각색, 연극에서 영화로』(2002) 등이 있다. 주요 논문으로는 「예술 치료를 위한 ‘은유’의 개념과 기능에 대한 소고」(2012), 「연극 치료와 몸」(2011), 「예술 치료를 위한 역할 개념 연구」(2010), 「퀘벡 연극, 변방과 중심?로베르 르빠주의 ‘안데르센 프로젝트’를 중심으로」(2010), 「‘대머리 여가수’에 나타난 언어의 문제: “이것은 파이프가 아니다”」(2009), 「외국 연극 수용의 현대적 흐름」(2008) 등이 있다.

이선형의 다른 상품

연극치료, 연극의 뿌리를 찾아서

연극치료, 연극의 뿌리를 찾아서

17,000

'연극치료, 연극의 뿌리를 찾아서' 상세페이지 이동

연극의 고전 다시 읽다

연극의 고전 다시 읽다

20,000

'연극의 고전 다시 읽다' 상세페이지 이동

연극과 그 이중 (큰글씨책)

연극과 그 이중 (큰글씨책)

39,000

'연극과 그 이중 (큰글씨책)' 상세페이지 이동

연극과 그 이중

연극과 그 이중

28,800

'연극과 그 이중' 상세페이지 이동

프랑스 중세 파블리오 선집

프랑스 중세 파블리오 선집

22,800

'프랑스 중세 파블리오 선집' 상세페이지 이동

시누이올케들

시누이올케들

12,800

'시누이올케들' 상세페이지 이동

역 : 임혜경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역 : 임혜경
관심작가 알림신청
임혜경은 현재 숙명여대 명예교수(프랑스언어문화학과)이며, 번역가, 연극평론가로서 활동하고 있다. ‘극단 프랑코포니’(2009년 창단) 대표로서 거의 매년 한 편씩 공연 제작을 하고 있다. 대한민국문학상 번역 신인상(한국 문화 예술 진흥원, 1991), 한국문학 번역상(한국문학번역원, 2003)을 공역자 카티 라팽과 공동 수상한 바 있으며, 서울연극인대상 번역상(서울연극협회, 2014)을 수상했다. 그 외 프랑스정부 교육공로훈장(PA)(2015), 올빛상(학술평론부문, 한국여성연극인협회, 2018)을 받았다. 프랑스어 역서(카티 라팽과 공역)로는 윤흥길의 소설≪에미≫와 ≪장마≫, ≪김광규 시선집≫을 비롯하여, 최인훈 희곡≪봄이 오면 산에 들에≫, 윤대성 희곡≪신화1900≫, 이현화 희곡≪불가불가≫, 이윤택 희곡≪문제적 인간-연산≫과 ≪이윤택희곡집≫, ≪한국 현대 희곡선≫, ≪한국연극의 어제와 오늘≫, ≪이현화 희곡집≫ 등의 한국 문학과 한국희곡, 한국연극 연구서가 프랑스출판사에서 출간되었다. 우리말 역서로는 불어권의 동시대 희곡인 미셀 마크 부샤르의 ≪고아 뮤즈들≫와 ≪유리알 눈≫, 장 뤼크 라갸르스의 ≪난 집에 있었지 그리고 비가 오기를 기다리고 있었지≫와 ≪단지 세상의 끝≫, 장 미셀 리브의 ≪동물 없는 연극≫, 조엘 폼므라의 ≪두 한국의 통일≫와 ≪이 아이≫, 레오노르 콩피노의 ≪벨기에 물고기≫, 상드린느 로쉬의 ≪아홉 소녀들≫, 플로리앙 젤레르의 ≪아버지≫, 마갈리 무젤의 ≪쉬지 스톨크≫ 등이 있다. 그 외에 피에르 볼츠의 ≪희극, 프랑스 희극의 역사≫(공역), 카티 라팽의 시집 ≪그건 바람이 아니지≫와 ≪맨살의 시≫(공역)가 있다.

임혜경의 다른 상품

나는 멀리서 돌아온다

나는 멀리서 돌아온다

17,800

'나는 멀리서 돌아온다' 상세페이지 이동

나는 멀리서 돌아온다 (큰글자책)

나는 멀리서 돌아온다 (큰글자책)

30,000

'나는 멀리서 돌아온다 (큰글자책)' 상세페이지 이동

너 자신이 되라 (큰글자책)

너 자신이 되라 (큰글자책)

20,000

'너 자신이 되라 (큰글자책) ' 상세페이지 이동

너 자신이 되라

너 자신이 되라

12,800

'너 자신이 되라' 상세페이지 이동

아버지 (큰글씨책)

아버지 (큰글씨책)

23,000

'아버지 (큰글씨책)' 상세페이지 이동

프랑스 중세 파블리오 선집

프랑스 중세 파블리오 선집

22,800

'프랑스 중세 파블리오 선집' 상세페이지 이동

쉬지 스토르크 (큰글씨책)

쉬지 스토르크 (큰글씨책)

25,000

'쉬지 스토르크 (큰글씨책)' 상세페이지 이동

역 : 정의진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역 : 정의진
관심작가 알림신청
경희대학교 불어불문학과를 졸업하고, 프랑스 몽펠리에 3대학에서 「몰리에르 시대의 단막 소희극(1650∼1673)」 연구로 문학박사 학위를 받았고, 경희대학교에서 인문학교양교육과 프랑스 공연 예술에 대한 연구와 강의를 했다.

저서로는 『우리 시대의 프랑스 연극』(연극과인간, 2001)이 있으며, 논문으로는 「프랑스 중세 소극과 고전 소희극」(한국연극학, 1997), 「장·폴 벤젤의 일상극」(한국불어불문학연구, 2001), 「프랑스 소극의 구조와 특성」(한국연극학, 2002) 등이 있고, 변역으로는 카텝 야신의 「철학자 구름 같은 연기의 세상 보기」(공연과이론, 2001), 몰리에르의 「바르뷰예의 질투」(2002년 서울공연예술제 공식초청작) 등이 있다.

정의진의 다른 상품

프랑스 중세 파블리오 선집

프랑스 중세 파블리오 선집

22,800

'프랑스 중세 파블리오 선집' 상세페이지 이동

프랑스 중세 소극선

프랑스 중세 소극선

12,800

'프랑스 중세 소극선' 상세페이지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