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창 이전화면 이전화면
최근 검색어
인기 검색어

소득공제 크레마클럽 EPUB
eBook 영화관에 간 심리학
EPUB
박소진
믹스커피 2022.03.24.
가격
9,600
9,600
YES포인트?
480원 (5%)
5만원 이상 구매 시 2천원 추가 적립
결제혜택
카드/간편결제 혜택을 확인하세요

이 상품의 태그

소개

목차

지은이의 말_당신에게도 인생 영화가 있나요?
글을 시작하며_영화와 심리학이 만나다

PART 1
영화관에서 사랑을 읽다


반사회성 인격장애도 사랑을 할 수 있나요?
[7년의 밤]

남녀는 원래 한 몸이었다?
[헤드윅] [무뢰한]

사랑의 이름으로 그대의 죄를 사하노라!
[불멸의 연인]

결혼은 미친 짓이다!
[나를 찾아줘] [부부의 세계]

PART 2
영화관에서 가족을 읽다


가족의 이름으로…
[킬링 디어] [케빈에 대하여]

또 다른 가족의 이야기
[기생충]

PART 3
영화관에서 폭력을 읽다


넌 건드리면 안 되는 걸 건드렸어!
[존 윅] [다만 악에서 구하소서] [아저씨]

폭력의 두 얼굴
[더 퍼지] [화이: 괴물을 삼킨 아이]

동조와 복종의 패러다임
[피아니스트] [밀그램 프로젝트]

PART 4
영화관에서 범죄를 읽다


진짜 나쁜 놈들의 전성시대!
[악인전] [불한당: 나쁜 놈들의 세상]

연쇄살인, “인간인가, 괴물인가?”
[세븐]

우리들의 일그러진 영웅, 배트맨과 조커
[다크 나이트] [조커]

PART 5
영화관에서 공포·코미디를 읽다


좀비가 되어버린 사람들
[부산행]

왜 좀비인가?
[킹덤] [스위트홈]

코미디, 유머와 해학 그 어디쯤…
[원스 어폰 어 타임... 인 할리우드] [극한직업]

글을 마치며
참고문헌

저자 소개1

박소진

 
심리학 박사(수료), 현재 한국인지행동심리학회 회장 겸 한국인지행동심리학회 협동조합 대표다. 덕성여대 심리학과, 단국대 대학원 심리치료학과, 추계예술대 영상시나리오학과에 출강했다. 이전에는 덕성여대 학생생활연구소 상담원, 아동·청소년 관련 치료센터를 7~8년 운영했다. MBTI 유형에 따른 스트레스 관리와 관련한 책을 준비 중이다. 저서로는 『영화관에 간 심리학』 『비극은 그의 혀끝에서 시작됐다』(공저) 『영화 속 심리학 1·2』 『당신이 알아야 할 인지행동치료의 모든 것』 『처음 시작하는 심리검사와 심리평가』 『나는 자발적 방콕주의를 선택했다』 『영화로 이해하는 심리상담』
심리학 박사(수료), 현재 한국인지행동심리학회 회장 겸 한국인지행동심리학회 협동조합 대표다. 덕성여대 심리학과, 단국대 대학원 심리치료학과, 추계예술대 영상시나리오학과에 출강했다. 이전에는 덕성여대 학생생활연구소 상담원, 아동·청소년 관련 치료센터를 7~8년 운영했다. MBTI 유형에 따른 스트레스 관리와 관련한 책을 준비 중이다.

저서로는 『영화관에 간 심리학』 『비극은 그의 혀끝에서 시작됐다』(공저) 『영화 속 심리학 1·2』 『당신이 알아야 할 인지행동치료의 모든 것』 『처음 시작하는 심리검사와 심리평가』 『나는 자발적 방콕주의를 선택했다』 『영화로 이해하는 심리상담』 『영화로 이해하는 아동·청소년 심리상담』 『인지발달 및 학습향상을 위한 인지상담의 이해와 실제』(공저)가 있고, 번역서로는 『인지·행동치료 개론』(공저)이 있다.

홈페이지 www.kicb.kr
이메일 kicbtp@naver.com

박소진의 다른 상품

품목정보

발행일
2022년 03월 24일
이용안내
  •  배송 없이 구매 후 바로 읽기
  •  이용기간 제한없음
  •   TTS 가능 ?
  •  저작권 보호를 위해 인쇄 기능 제공 안함
지원기기
크레마,PC(윈도우 - 4K 모니터 미지원),아이폰,아이패드,안드로이드폰,안드로이드패드,전자책단말기(저사양 기기 사용 불가),PC(Mac)
파일/용량
EPUB(DRM) | 15.39MB ?
ISBN13
9791170432975

출판사 리뷰

하나 되지 못하는 두 세계의 접촉 [기생충]
유머는 인지적 전환에 대한 반응이다? [극한직업]
현실에 보이는 것이 전부는 아니다 [나를 찾아줘]
다양한 영화에서 심리학을 만나다


이 책은 사랑, 가족, 폭력, 범죄, 공포·코미디로 장르를 나눠 폭넓게 영화 속 등장인물들의 심리를 분석한다. 영화 [7년의 밤]에서 오영제(장동건 분)를 바라보며 반사회성 인격장애도 사랑할 수 있는지 고찰하고, 영화 [기생충]을 통해서는 각기 다른 두 가족의 접촉으로 발생하는 사건과 공간에서 주는 심리 문제를 제기한다. 드라마 [부부의 세계]를 보면서 역동적인 인물 간의 관계와 주인공의 심리를 엿보고, 그리스 신화와 스토리를 엮으며 시야를 확장시킨다.

[다만 악에서 구하소서] [악인전] [아저씨] 등 폭력과 액션이 뚜렷한 영화를 보며 슬픔, 분노, 갈등, 공격성 등을 밖으로 끌어내고 표현함으로써 억눌린 감정을 승화시키도록 도울 수 있다고 말한다. 또한 영화 [배트맨] 시리즈와 [조커]를 통해 악인과 영웅의 탄생에 대해 생각할 거리를 던져주기도 한다.

알고 보면 더 흥미로운 영화 속 심리 이야기
영화 속 인물을 통해 ‘내 안의 나’를 들여다보다


이렇듯 영화는 안전한 투사 도구다. 사람들은 영화를 보면서 영상 텍스트 맥락에서 심리적으로 안전한 거리를 유지하면서 영화 속 등장 인물에게 자신의 다양한 감정과 생각을 투사한다.

그뿐만 아니라 인간은 기본적으로 타인의 삶을 훔쳐보고 싶은 욕구가 있는데, 이런 욕구를 영화가 일정 부분 해소해주면서 그 안에서 자신을 투영하기도 하고 타인과 자신을 비교하기도 한다. 이런 영화의 특성으로 방어기제를 완화하고 자신에게 일어나는 신체적 느낌, 감정, 변화, 통찰 등을 알아차리면서 자신과 이야기하는 기회를 가질 수 있는 것이다.

어떤 영화는 자신의 인생을 닮아 있기도 하고, 어떤 영화는 삶의 지표가 되기도 하고, 어떤 영화는 한 사람의 인생에 강한 영향을 주기도 한다. 저자가 심리를 설명하기 위해 영화라는 소재를 선택한 이유다.

영화에서 많이 다루어지는 주제들은 결국 일상에서도 자주 접할 수 있다는 뜻이다. 서로가 서로에게 소통이 필요한 요즘, 다양한 주제들을 통해 자신과 주변 사람들의 삶을 또 한 번 되돌아보는 계기가 되었으면 한다.

채널예스 기사1

  • ‘인생 영화’를 찾으면, 나만의 심리가 보인다
    ‘인생 영화’를 찾으면, 나만의 심리가 보인다
    2022.05.31.
    기사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