품목정보
발행 예정일 | 미정 |
---|---|
쪽수, 무게, 크기 | 424쪽 | 724g | 148*225*30mm |
ISBN13 | 9791157068647 |
ISBN10 | 1157068642 |
발행 예정일 | 미정 |
---|---|
쪽수, 무게, 크기 | 424쪽 | 724g | 148*225*30mm |
ISBN13 | 9791157068647 |
ISBN10 | 1157068642 |
들어가는 말 제1부 돈 1장 | 출항: 돈과 은행을 향하여 베니스의 상인과 글로벌 금융위기 + 대금업과 반유대주의 + 중세 대금업의 이중구조 근세의 대금업과 해상무역 + 현대의 대금업은 어떻게 시작되었나 2장 | 돈이란 무엇인가 돈이 무엇을 하는가 + 돈의 세 가지 조건 + 명도전과 일렉트럼 화폐국정설과 금속주의 + 그래서 돈이란 무엇인가 3장 | 돈의 가치를 찾아서 금과 은으로 된 주화 + 화폐 가치와 디베이스먼트 유레카! 항해술의 발달과 가격혁명 + 돈의 가치를 어떻게 유지할 것인가 4장 | 돈, 나의 이름은 오스트리아학파와 자본주의 철학 + 서양의 돈, 화폐와 군주는 하나였다 동양의 돈, 화폐와 군주의 힘겨루기 + 돈의 이름에 새겨진 역사 5장 | 중세가 남긴 돈의 유산 제국의 침몰과 종교의 타락 + 이슬람의 도전, 십자군 전쟁과 페스트 유대인 학대와 신성모독 + 장터, 화폐경제의 중심이 되다 6장 | 돈과 권력이 만났을 때 십자군 전쟁, 갑옷을 입은 금융업자 + 소매상과 거상, 평상복을 입은 금융업자 결코 신성하지 않았던 신성로마제국 + 자유제국도시 상인들의 한자동맹 황제와 상인 가문의 결탁과 유착+ 정경유착의 화신, 푸거 가문이 남긴 것 7장 | 돈으로도 살 수 없는 것 은행의 기원 골드스미스 + 롬바르드가 바꿔 놓은 대금업의 미래 메디치 은행, 예금업을 시작하다 + 돈으로 세상을 지배한 메디치 가의 아버지와 아들 ‘위대한 로렌초’도 돈으로 살 수 없던 것 제2부 은행 8장 | 은행, 인류 앞에 서다 국가 안의 국가, 우피치의 등장 + 중세의 대금업 논란과 제정 분리 16세기 베니스에 출현한 최초의 공공은행 9장 | 은행, 국민의 원흉이 되다 투기 광풍의 시작, 네덜란드 튤립 파동 + 존 로가 쓴 프랑스 은행의 역사 왕실은행과 전환사채 프로젝트 + 왕실 후원으로 만들어진 서인도회사 프랑스를 뒤흔든 부동산과 주식 광풍 + 왕실은행의 파산과 미시시피 버블의 붕괴 10장 | 은행, 대통령의 눈 밖에 나다 유럽 최초의 지폐가 탄생된 스웨덴 + 영국의 화폐법과 미국의 독립전쟁 미국의 첫 번째 중앙은행 + 경제 불황과 제2차 미국은행의 출범 대통령과 은행장의 은행 전쟁 + 미국은행의 파국이 불러온 공황 11장 | 뱅커, 세상을 구원하다 영국 경제를 뒤흔든 남해 버블 + 최종대부자, 중앙은행의 존재 이유 독점재벌 J. P. 모건의 등장 + 금융의 제왕이 된 J. P. 모건 J. P. 모건, 세상을 구원하다 + 공공의 적이 된 금융의 신 12장 | 귀항: 그래서 은행이란 무엇인가 은행은 신의 직장인가 + 왜 은행가는 미움받을까 국제금융에서 출발한 근대 은행업 + 지급결제 그리고 중앙은행과 지급준비금 무엇을 예금이라고 할 것인가 + 중앙은행이 지켜야 할 도덕률 은행, 그래도 희망이 있다 제3부 사람 13장 | 미국의 존과 영국의 존 - 경제학의 정체성 미국 독립의 불씨가 된 보스턴 차 사건 + 타운센드법과 보스턴 학살 사건 젊은 케인스와 화폐개혁론 + 케인스의 일반이론, 그리고 대공황 애덤스와 케인스, 생각의 차이 + 경제학이 세속 철학인 이유 14장 | 그린스펀 교향곡 - 잘못된 신념이 가져온 엄청난 비극 제1악장 기쁨 제2악장 노여움 | 제1주제 고난 | 제2주제 맥주홀 폭동 | 제3주제 수정의 밤 제3악장 즐거움 | 제1주제 맨해튼 소년 | 제2주제 출세가도 | 제3주제 영웅 등극 제4악장 슬픔 | 제1주제 죽음 | 제2주제 수치 | 제3주제 대단원 15장 | 사고 친 자와 수습한 자 - 중앙은행을 거듭나게 한 1825년 금융공황 에레혼 이야기 + 상상의 제국 포야이스와 디스토피아 영국 경제와 남미 버블 + 애송이 은행가를 살린 영란은행 영란은행의 탄생 비화 + 중앙은행의 최종대부자 기능 16장 | 어떤 겸직 명령 - 미국을 향한 최빈국 대통령의 오기 1945년 해방과 미 군정청의 금융 정책 + 물물교환제와 대외무역 한미협정 체결과 조선환급은행 + 대통령의 꾀, 조선은행의 독립 시비와 반발, 조선은행 적산론 + 재무부와 한국은행의 신경전 최빈국 대통령의 운명 17장 | 돈의 마술사 - 조국을 위해 독재자와 손잡은 수수께끼 은행가 제국은행과 1차 세계대전의 서막 + 젊은 야심가의 좌절 독일 국민을 단결시킨 연합국의 평화 협정 + 전쟁배상금과 하이퍼인플레이션 통화감독관 샤흐트의 등장 + 혼돈과 희망 사이에 놓인 징검다리 통제불능 샤흐트의 도박 + 경제대통령이 된 히틀러의 은행가 샤흐트와 나치당, 부역과 저항의 차이 참고문헌 찾아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