품목정보
발행일 | 2017년 08월 23일 |
---|---|
판형 | 양장? |
쪽수, 무게, 크기 | 434쪽 | 1086g | 170*240*34mm |
ISBN13 | 9791160071764 |
ISBN10 | 1160071764 |
중고샵 판매자가 직접 등록/판매하는 상품으로 판매자가 해당 상품과 내용에 모든 책임을 집니다.
발행일 | 2017년 08월 23일 |
---|---|
판형 | 양장? |
쪽수, 무게, 크기 | 434쪽 | 1086g | 170*240*34mm |
ISBN13 | 9791160071764 |
ISBN10 | 1160071764 |
한눈에 보는 비즈니스 모델 개정판을 내며 | 비즈니스 모델의 핵심은 새로움과 혁신이다 들어가며 | 독창적인 비즈니스 모델이 시대의 패러다임을 바꾼다 Chapter 1 개인, 기업, 시장 그리고 비즈니스 모델 Chapter 2 가치사슬형 비즈니스 모델 2.1. 가치사슬 통합형 1. 프로세스 수직적 통합 모델: 자라(ZARA) 2.2. 가치사슬 세분형 2. 커뮤니티 활용 가치사슬 세분형 모델: 기프가프(Giffgaff) 2.3. 가치사슬 재정의형 3. 판매에서 대여 및 관리로의 전환-가치사슬 재정의형: 힐티(Hilti) Chapter 3 플랫폼형 비즈니스 모델 3.1. 정보흐름의 방향 3.1.1. 정보흐름의 방향: 외향형(inside-out) 4. 라이선싱 아웃형: 씨에스엘(CSL) 3.1.2. 정보흐름의 방향: 내향형(outside-in) 5. 개방형 디자이너 네트워크 플랫폼: 알레시(Alessi) 6. 모듈형 오픈소스형: 워드프레스(Wordpress) 7. 외부 엔지니어 활용형: 로컬모터스(Local-motors) 8. 자유기고가 활용 오픈소스형: 허프 포스트(Huff post) 3.2. 플랫폼 거래유형별 3.2.1. 집합형 3.2.1.1. 중개형 9. 오픈소스 저작물 중개형: 원트리즈뮤직(Wantreez music) 10. 타임커머스 중개형: 데일리호텔(Daily hotel) 11. 유기견 통합 정보제공 플랫폼: 바크버디(BarkBuddy) 12. 주문정보 통합형: 배달의 민족 13. 멤버십 통합형: 티엘엑스 패스(TLX PASS) 14. 예약정보 통합형: 노웨이트(Nowait) 15. 영상 콘텐츠 제공 중개형: 넷플릭스(Netflix) Box. 넷플릭스 vs. 아마존 프라임 비디오 3.2.1.2. 재판매형 16. 특허 재판매형: 인텔렉추얼벤처스(Intellectual Ventures) 3.2.2. 제품형 17. 면도날형 제품 플랫폼: 플레이스테이션(Playstation) Box. 콘솔게임산업의 미래: 플레이스테이션 vs. 위(Wii) 18. Lock-in 제품 플랫폼: 샤오미(Xiaomi) 3.2.3. 다면형 19. 롱테일형 출판 다면 플랫폼: 룰루닷컴(Lulu.com) 20. SNS형 이력관리 다면 플랫폼: 링크드인(Linked-In) 21. 현실 기반 가상게임 다면 플랫폼: 판타지리그(Fantasy League) 22. 1인 전자출판 다면 플랫폼: 킨들 다이렉트 퍼블리싱(Kindle Direct Publishing) Box. 룰루닷컴 vs. 킨들 다이렉트 퍼블리싱 23. 개방형 설문 다면 플랫폼: 아이디인큐(IDINCU) 24. 재능거래 다면 플랫폼: 크몽(Kmong) 25. 현지 맞춤화 여행중개 플랫폼: 마이리얼트립(My Real Trip) 26. 유료콘텐츠 다면 플랫폼: 네이버 웹툰(Naver Webtoon) 27. 위치 기반형 다면 플랫폼: 포스퀘어(Foursquare) 28. 통합 마일리지 다면 플랫폼: OK캐쉬백(OK Cashback) 3.3. 제공가치 유형별 3.3.1. 금융거래대행 29. 결제대행 플랫폼: 페이팔(PayPal) 30. P2P 금융 플랫폼: 피플펀드(Peoplefund) 31. 간편 송금 중개형: 토스(Toss) 3.3.2. 대여형 32. 렌탈 비즈니스 모델: 웅진코웨이 33. 대여 기반 미술품 큐레이션 플랫폼: 오픈갤러리(Open gallery) 34. 시간 세분형 대여모델: 쏘카(Socar) 35. 공간 세분형 대여 모델: 위워크(Wework) 3.3.3. 정보형 3.3.3.1. 분석형 36. 미디어 정보분석형: 미디어렌즈 리비(Leevi) 37. 제품정보 분석형: 푸듀케이트(Fooducate) 3.3.3.2. 변환형 38. 개인정보 재가공·활용 모델: 데이터쿱(Datacoup) 3.3.3.3. 매칭형 39. 반려견 돌보미 중개형 플랫폼: 도그베케이(Dog Vacay) 40. 위치 기반의 정보 매칭형 플랫폼: 모두의 주차장 41. 취업 정보 매칭 플랫폼: 코멘토(Comento) 42. 온오프라인 이벤트 매칭형: 온오프믹스(Onoffmix) 43. 인력 추천 플랫폼: 태스크래빗(Taskrabbit) 3.3.3.4. 큐레이션형 44. 전문가 추천형 큐레이션 플랫폼: 꾸까(Kukka) 45. 공급자 선별 중심 큐레이팅: 마켓컬리(Market Kurly) 46. 리스트 기반의 장난감 큐레이션 플랫폼: 플레이(Pley) 3.3.3.5. 협상형 47. 협상 기반 소셜커머스: 그루폰(Groupon) 3.3.4. 마켓플레이스 48. 온라인 소매형 종합 마켓플레이스: 아마존 마켓플레이스(Amazon Market Place) 49. 도시형 유기농식품 마켓플레이스: 마르쉐@(Marche@) 50. 온디맨드 인력 마켓플레이스: 아마존 메커니컬 터크(Amazon Mechanical Turk) 51. 기존 사업 보완형 마켓플레이스: 쉐이프웨이즈(Shapeways) 3.3.5. 공유경제형 52. 택시 공유서비스: 위캡(Wecab) 53. 주거공간 공유 플랫폼: 에어비앤비(Airbnb) 3.3.6. 매체형 54. 모바일 광고매체 플랫폼: NBT파트너즈(NBT partners-캐시슬라이드) 3.4. 정보선택방법 3.4.1. 역경매형 55. 역경매형: 프라이스라인(Priceline) 56. 역경매형 크라우드 펀딩: 팝펀딩(Popfunding) 57. 역경매 방식의 보험 상품 중개 플랫폼: 마이리얼플랜(Myrealplan) 3.4.2. 필터형 58. 필터형 플랫폼: 캐글(Kaggle) 59. 필터형 경매 플랫폼: 바이카(Bye-Car) 3.4.3. 경쟁형 60. 경쟁형 플랫폼: 이노센티브(Innocentive) Box. 경쟁형 플랫폼: 이노센티브 vs. 캐글 3.4.4. 고객참여형 61. 고객참여형 커뮤니티 플랫폼: 스레들리스(Threadless) 62. 커뮤니티 기반 영상 콘텐츠 플랫폼: 비키(Viki) 63. 고객 참여 편집 플랫폼: 쉐어블링(Sharebling) 64. 관객참여형 콘서트 플랫폼: 부루다콘서트(Brudaconcert) 65. 경험 기반 고객참여형 플랫폼: 위즈돔(Wisdom) 3.4.5. 리스트형 66. 리스트형 번역 제공 플랫폼: 플리토(Flitto) 67. 선택형 정보제공 플랫폼: 카닥(Cardoc) 3.5. 수익공식 3.5.1. 회비형 68. 개인 맞춤형 큐레이션 플랫폼: 미미박스(Memebox) 3.5.2. 사업확장형 69. 스토리지 기반 공유서비스 모델: 박스비(Boxbee) 70. 유전정보 활용형 모델: 23앤드미(23andMe) 71. 기존 비즈니스 모델을 더욱 강화하고 보완하는 모델: 알라딘 중고서점 72. 오픈소스 기반 부가서비스형: 레드햇(Redhat) 73. 부가 판매형: 아이픽스잇(iFixit) 3.5.3. 수수료형 74. 소셜네트워크 기반 보험중개 플랫폼: 프렌드슈어런스(Friendsurance) 75. 기존 플랫폼 활용을 통한 멀티 수수료형: 사운들리(Sound.ly) 3.5.4. 보조형 3.5.4.1. 제휴형 76. 원사이드 보조형: 똑닥(Ddocdoc) 77. 제휴 활용 보조형: 라이언에어(Ryanair) 3.5.4.2. 프리미엄(Freemium) 78. 클라우드 컴퓨팅 프리미엄(Freemium): 드롭박스(Dropbox) 79. 인애플리케이션 판매(In-app sales) 프리미엄(Freemium): 겅호(Gungho Online) 80. 금융정보 중개 프리미엄(Freemium): 머니포워드(Moneyforward) 81. 집단정보 활용 프리미엄(Freemium): 뭐야이번호 82. 사업확장형 프리미엄(Freemium) 모델: 키즈노트(Kidsnote) 83. 광고 기반 음원 프리미엄(Freemium): 스포티파이(Spotify) 3.5.4.3. 광고형 84. 트래픽 기반 광고형 플랫폼: 유튜브(Youtube) 85. 광고형 미디어 플랫폼: 뉴욕타임즈 디지털(New York Times Digital) Box. 허프 포스트 vs. 뉴욕타임즈 디지털 86. 타깃팅 기반 여백광고 플랫폼: 애드투페이퍼(Add2paper) 3.5.5. 투자형 87. 크라우드 펀딩 지분투자 중개형: 심비드(Symbid) 88. 지분 투자형 액셀러레이터 모델: 스파크랩(SparkLabs) 89. 비즈니스 모델 벤치 마킹 액셀러레이터: 로켓 인터넷(Rocket Internet) 90. 지분형 수임 모델: 더블유에스지알(WSGR) Chapter 4 사회적 가치 기반형 비즈니스 모델 91. 기업의 사회적 책임 기반 가치 창출: 보쉬-지멘스(Bosch-Siemens) Box. 사회적 가치 창출 모델: 체인저스 vs. 보쉬-지멘스 92. 에너지 효율 증대를 통한 사회적 가치 창출: 아마노 코리아(Amano)?377 93. 협동조합을 통한 상생의 가치 창출: 제스프리 인터내셔널(Zespri International) 94. 전력수요관리를 통한 사회적 가치 창출: 에너지풀(Energy pool) 95. 아이디어 실현 지원을 위한 기부형 크라우드 펀딩: 킥스타터(Kickstarter) 96. 제3세계 대출 크라우드 펀딩: 키바마이크로펀드(Kiva Microfund) 97. 교육투자를 위한 사회적 펀딩 플랫폼: 럼나이(Lumni) 98. 아나바다형 의류 공유 플랫폼: 열린옷장 99. 사회 재기 지원을 통한 사회적 가치 창출: 빅이슈(Big Issue) 100. 게임 활용을 통한 참여형 환경 가치 창출: 트리플래닛(Tree Planet) 101. 사물인터넷(IoT)을 활용한 폐기물 관리 모델: 이큐브랩(Ecube Labs) 맺으며 | 세상을 바꾸는 혁신적 비즈니스 모델 부록 | 기업별 홈페이지 미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