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 소장하고 있다면 판매해 보세요.
· 서시序詩
신의 두려움 / The Fear of God__5 I부 『이성의 가면극』으로 읽는 『욥기』 1장 이성의 가면극 / A Masque of Reason 13 2장 『이성의 가면극』으로 『욥기』 읽기 62 1. 신은 정의인가 자비인가 62 2. ‘패러디’로서의 『가면극』 65 3. 『욥기』와 신정론神正論 69 4. 신정론의 현대적 성향 74 5. 사탄과 존재의 시련 85 6. 페미니스트의 등장 89 7. 이성의 한계와 오류 96 II부 『자비의 가면극』으로 『요나서』 읽기 3장 자비의 가면극 / Masque Of Mercy 107 4장 『자비의 가면극』으로 『요나서』 읽기 191 1. 『가면극』과 언어의 다원성多元性 191 2. 『복음서』의 길 194 3. 정의와 자비의 균형과 조화 204 4. 불확실의 변증법 210 5. 구원은 믿음과 용기 219 · 인용문헌__225 |
Robert Lee Frost
신재실의 다른 상품
프로스트의 『이성의 가면극』(1945)과 『자비의 가면극』(1947)이 발표된 이후 비평가들은 17세기 벤 존슨Ben Jonson에 의해 수립된 가면극masque의 요건을 기준으로 프로스트의 두 『가면극』을 질서 있고, 체계적으로 분석하고자 했다. “가면극의 전통은 무대 위에서 인물들과 세력들이 만나 이야기하는 극적인 형태를 활용하였다. 그러나 발생된 갈등의 해결은 동적인 액션으로 하지 않고, 앤티마스크antimasque에서 선과 악 사이에 전형적인 대립이 수립되고, 그 다음 노래, 춤, 그리고 상징적 액션으로 대립이 해결되었다,”(3:64).
프로스트의 두 『가면극』은 신의 정의와 자비의 문제를 주제로 하고 있고, 등장인물도 욥Job과 요나Jonah 등 성서상의 인물이다. 그렇기 때문에, 존슨, 셰익스피어, 밀턴Milton 등의 가면극에서 발견되는 고상한 도덕적 주제, 신화적이거나 우화적인 인물 등의 요건에 근접하고는 있지만, 전통적 가면극에서 두드러진 노래와 춤, 그리고 앤티마스크 대 마스크antimasque vs. masque의 구조, 더욱이 선과 악의 대결에서 필수적인 확실한 선의 승리 등 가면극 요건에서 크게 일탈하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 본문 중에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