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장메뉴
주요메뉴


배당투자, 확실한 수익을 보장하는 BSD 공식
중고도서

배당투자, 확실한 수익을 보장하는 BSD 공식

정가
12,000
중고판매가
38,000
상태?
최상 새 상품같이 깨끗한 상품
YES포인트
구매 시 참고사항
  • 중고샵 판매자가 직접 등록/판매하는 상품으로 판매자가 해당 상품과 내용에 모든 책임을 집니다.

품목정보

품목정보
발행일 2011년 07월 11일
쪽수, 무게, 크기 240쪽 | 364g | 135*196*20mm
ISBN13 9788985482578
ISBN10 8985482572

중고도서 소개

최상 새 상품같이 깨끗한 상품

책소개 책소개 보이기/감추기

목차 목차 보이기/감추기

역자 서문
서문
개론
1장. 배당의 중요성
2장. 뱃속 편하게 부자 되자.
3장. 아인슈타인이 배당투자자라면
4장. 세상은 넓고 기회는 많다.
5장. 직거래가 유리
6장. 방어수단
7장. 노후자금 지출원칙
8장. 아웃당하지 않는 포트폴리오 관리
9장. 배당금 재투자제도 활용
10장. 배당주 포트폴리오
부록 A. 고급 BSD(크고 안전한 배당금) 공식
부록 B. BSD 최종 포트폴리오
특별부록. 한국의 배당주 분석
감사의 글

책 속으로 책속으로 보이기/감추기

나는 직장 생활을 평생 한 회사에서 했으니 참 특이한 사람이다. 내가 ‘호라이즌 퍼블리싱Horizon Publishing’에서 처음 직장 생활을 시작한 날은 1982년 8월 16일이었다. (당시에는 회사 이름이 ‘다우 씨어리 포캐스트Dow Theory Forecasts’였는데, 지금도 여전히 발간하는 투자 뉴스레터의 이름을 딴 것이었다.)
그날은 별다른 일이 없었다. 그러나 이튿날인 1982년 8월 17일은 특별했다.
나의 직장 생활 이틀째인 이날, 다우존스산업평균이 거의 39포인트나 상승했다. 39포인트가 대단해 보이지 않을 수도 있다. 그러나 1982년에는 엄청난 상승 폭이었다. 상승률로는 거의 5%나 되었는데, 오늘날 다우지수로 치면 500포인트에 해당한다.
이 역사적인 날에 다우지수는 831.24로 장을 마감했다. 시장역사 분석가들에 의하면, 8월 17일은 1980년대에서 1990년대까지 이어진 거대 강세장이 시작된 날이었다. 이 18년 동안 다우지수는 800포인트가 조금 넘던 수준에서 1999년 말에는 거의 1만 1,500까지 상승하였다.
내가 1982년을 언급하는 것은, 당시와 지금 사이에 커다란 유사점이 있기 때문이다. 1982년에는 매력적인 배당주가 많았다. 실제로 3개월마다 푸짐한 배당금으로 주주들에게 이익을 나눠주는 회사들이 많았다. 당시 배당금이 도대체 얼마나 되었을까? 배당수익률(배당수익률은 주주에게 지급하는 이자율과 같은 개념)이 연 6% 이상인 주식이 흔했다. 게다가 이들은 우량기업이라서 주가가 가파르게 상승할 가능성도 있었다. 당시에는 실감하지 못했지만, 이런 종목 고르기는 식은 죽 먹기였다.
예를 들어 내가 선견지명이 있어서 직장 생활 첫날 배당주에 몇 달러만 투자했다면, 지금쯤 남태평양 섬에서 서프보드를 타면서 인생을 즐기고 있을 것이다. 실제로 그날 ‘필립 모리스Philip Morris’와 ‘엑손Exxon’ 같은 우량 배당주 두 종목에 5,000달러를 투자했다면, 지금은 100만 달러가 넘어갔을 것이다. 2008년 시장 붕괴를 거친 다음에도 말이다.
게다가 워런 버핏이 아니어도 이런 보석 같은 종목을 고를 수 있었다. 엑손은 1982년에 다우지수에 포함된 종목이었으므로, 눈에 안 띌 수가 없었다. 그리고 필립 모리스는 누구나 알 듯이 담배를 만드는 회사였다. 돌아보면 이 두 종목은 배당금을 좋아하는 투자자라면 누구나 손쉽게 고를 만한 종목이었다.
게다가 손쉽게 골라도 대박 종목이었다.
요즘 시장에도 대박이 터질만한 우량 배당주가 있을까? 분명히 있다. 1982년만큼 찾기 쉬운 것은 아니지만, 단언하건대

요즘 시장에도 대박이 터질만한 배당주가 분명히 있다.

지금이야말로 배당주에 투자할 때
1982년과 마찬가지로, 지금도 배당주 투자에 기막힌 시점이다. 배당투자에 최악의 해였던 2008년과 2009년을 겪은 다음이라, 이 말이 믿어지지 않을 것이다. 과연 얼마나 나쁜 해였을까? 2008년에는 S&P500에 포함된 8개 종목 가운데 1개 종목이 배당금을 축소하거나 아예 지급하지 않았다. 2009년에는 이보다도 더 심해져서, S&P500 종목의 약 15%가 배당금을 축소하거나 누락했다.
그러면 왜 배당주에 엄청난 기회가 있다고 말하는 것일까? 지난 몇 년 동안 일어난 대학살 때문이다. 배당수익률을 결정하는 것은 배당금과 주가다. 주가가 하락하면 배당수익률은 상승한다. (배당금은 일정하다고 가정) 2008년과 2009년에 주가가 폭락한 덕분에, 배당수익률이 1982년 이후 보지 못했던 수준까지 상승했다.
엄청난 기회는 배당수익률 상승뿐만이 아니다. 2008년과 2009년 초에 주가가 폭락한 탓에, 현재 주가는 터무니없이 낮은 수준이다. 2009년 3월부터 시장이 반등하기 시작했지만, 10년 전보다도 주가가 낮은 종목이 드물지 않다.
요컨대, 터무니없이 낮은 주가와 높은 배당수익률을 고려하면, 요즘 배당주들은 30년 전만큼이나 매력적이다.

부자가 되는 비결
주식시장에서 부자가 되는 비결을 말하겠다. 배당금이 안정적으로 증가하면서 주가 상승 잠재력이 평균 이상인 주식을 매력적인 가격에 사라.
이 책에서 그 방법을 제시한다.
---pp. 16-27

출판사 리뷰 출판사 리뷰 보이기/감추기

은퇴 후 노후 자금은 물론 어린 자녀의 미래를 위한 자금을
가장 안전하게 운용할 수 있는 배당투자, 그 주요 개념을 쉽게 설명하는 책!


“회사는 이익이 없으면 배당금을 지급하지 못한다.”, “배당수익률이 아닌 총수익률(배당금+자본이득)이 매력적인 회사를 선택해야 한다.”라는 BSD(크고 안전한 배당금) 공식을 투자의 나침반으로 하여 “재산 축적” 과정을 설명한다. 훌륭한 회사의 배당수익률과 배당성향은 어느 정도가 이상적이고, 이례적으로 높은 배당수익률과 배당성향(이익 중에서 배당 금액으로 지급하는 금액의 비율)이 얼마나 위험한 신호인지 등 배당투자에 관한 개념을 가장 쉽게 설명하는 기본서이다.

투자자의 투자 목적은 보상을 받으려는 것이다. 특히, 주식투자를 통해 보상받는 방법은 두 가지가 있다. 그 첫 번째는 매수한 주식의 주가가 상승해서 얻는 자본이득이고, 두 번째는 회사로부터 이익 일부를 주주지분 비율에 따라 받는 배당금(청구권)이다. 이 두 가지의 합을 주식의 총수익이라고 한다. 즉, 자본이득과 배당금을 합한 금액을 총수익이라고 한다. 총수익에서 배당금은 중요한 요소이다. 실제로 주식시장 장기 수익률의 40% 이상이 배당금으로 구성된다. (1926년부터 지금까지 S&P500 지수가 올린 전체 수익 가운데 배당금이 차지하는 비중이 43%이다.) 배당금이 매력적인 것은, 자본이득은 주식시장의 변동성에 크게 영향을 받아 때로는 매수 가격보다 주가가 내려가서 투자손실을 볼 수 있지만, 배당금은 주식시장이 상승하든 하락하든 늘 지급된다는 점이다. 또 배당금은 인플레이션을 막아줄 뿐만 아니라 투자원금 회수기간을 앞당겨준다. 그러나 꼭 ‘주의’해야 할 것은 “이익이 없으면 배당도 없다.”라는 것을 잊어서는 안 된다고 이 책의 저자인 찰스 칼슨은 BSD(크고 안전한 배당금) 공식의 첫 번째 가정에서 강조하고 있다. 그리고 가끔 실적이 나빠 배당금을 지급할 수 없는 회사인데도 배당금을 지급하는 회사는 특히 ‘주의’해야 한다는 것도 강조한다.
저자는 또 배당성향을 확인하는 것도 중요하다고 한다. 즉, 이익 중에서 배당 금액으로 지급하는 금액의 비율이 어느 정도인지 알아야 한다는 것이다. 여기서 배당성향은 60% 이내가 가장 이상적이라고 한다. 그 이상은 위험하다는 것이다. 회사에 문제가 발생하면 배당금을 줄이거나 중단할 수 있기 때문이란다. 주식을 선택할 때 배당수익률만으로 주식을 선택하는 것 또한 위험하다고 경고한다. 배당수익률은 위험을 나타내는 중요한 지표이므로 높은 배당수익률은 그 회사에 심각한 문제가 있음을 암시하기도 한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배당금이 투자수익의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지만, 절대 잊지 말아야 할 조언은 높은 배당금과 배당수익률이 항상 좋은 것만이 아니라는 점을 꼭 기억해야 한다는 것이다. 높은 배당금과 배당수익률보다 더 중요한 것은 투자자금의 안전성을 확보하는 것이므로 배당수익률을 평가할 때 자본이득 전망을 무시해서는 안 된다고 조언하기도 한다. 주가가 내려가 투자손실이 배당수익률을 웃돈다면 높은 배당수익률도 무용지물이기 때문이다.

저자가 배당투자에 있어 도구로 사용하는 BSD 공식을 간단히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크고 안전한 배당금(BSD) 공식은 두 가지 가정에서 출발한다. 첫째, 회사가 이익이 없으면 배당금을 지급하지 못한다. 두 번째, 배당수익률이 아니라 총수익률이 매력적인 종목을 선택해야 한다. 특히 BSD 공식의 중요한 요소는 회사가 벌어들인 이익 가운데 배당금으로 지급한 돈의 비율을 나타내는 배당성향이다. BSD 공식에서는 배당성향 상한선을 60%로 정했다. 그 이상은 포트폴리오에서 제외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저자는 BSD 공식을 통해 배당투자에 대한 기본 개념을 설명하고, 실례를 들어 배당주 포트폴리오를 어떻게 짜고, 어떻게 리스크를 방어하고, 노후자금은 어떤 방법으로 축적하여 어떤 방법으로 지출해야 하는지, 아직 우리나라에는 없는 제도인 배당금 재투자제도를 이용하면 자동으로 주식을 매수할 수 있는 직거래제도를 효율적으로 이용하여 주식을 할인해서 매수하는 방법도 알려준다.

이 책의 내용 중 우리나라 제도와 다른 내용은 번역과정에서 우리나라 제도에 맞춰 재구성하여 독자들이 원전의 내용을 우리나라 배당투자에 응용할 수 있게 구성하였다, 또한 “한국의 배당주 분석”을 특별부록으로 수록하여 배당투자 실전에 유용하게 참고할 수 있게 했다.

추천평 추천평 보이기/감추기

“이 책은 노령화하는 베이비붐 세대에게 세월의 검증을 거친 소중한 투자기법을 가르쳐준다. 그것은 배당금을 계속 인상하면서 꾸준히 지급할 만한 회사를 선정하는 방법이다. 아울러, 수익률의 유혹에 빠지지 않는 방법도 명확하게 제시한다.”
샘 스토벌(Sam Stovall, S&P 주식조사부S&P Equity Research 수석전략가)
“칼슨은 알찬 투자전략을 쉽게 풀어쓰는 몇 안 되는 투자전문가이다. 이 책에 담긴 아이디어와 제안들은 모든 전술적 투자자는 물론 장기 투자자들에게도 훌륭한 길잡이가 될 것이다.”
존 티어니(John F. Tierney, 밴 캠펜 인베스트먼트Van Kampen Investments 임원)
“투자에 성공하려면 두 가지 요소가 필요하다. 하나는 올바른 주식을 선정하는 것이고, 하나는 포트폴리오를 계속 키워나가는 것이다. 이 책은 두 가지를 모두 제시한다. 지금은 현실적인 조언이 절실하게 필요한 때이므로, 이 책이 더없이 소중하다.”
로버트 시어드(Robert Sheard, 베스트셀러 의 저자)
“세월의 시험을 통과한 투자 해법을 찾는다면, 이 책의 BSD(크고 안전한 배당금) 공식을 읽어라. 그러면 2010년 이후에도 계속해서 번창하고 생존할 포트폴리오를 구축할 수 있을 것이다.”
벤 풀턴(Ben Fulton, 인베스코 파워셰어즈Invesco PowerHares 임원 겸 글로벌 ETF 책임자)
  •  쿠폰은 결제 시 적용해 주세요.
1   38,000
뒤로 앞으로 맨위로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