품목정보
발행일 | 2011년 04월 10일 |
---|---|
쪽수, 무게, 크기 | 192쪽 | 450g | 215*275*20mm |
ISBN13 | 9788931575132 |
ISBN10 | 8931575130 |
중고샵 판매자가 직접 등록/판매하는 상품으로 판매자가 해당 상품과 내용에 모든 책임을 집니다.
발행일 | 2011년 04월 10일 |
---|---|
쪽수, 무게, 크기 | 192쪽 | 450g | 215*275*20mm |
ISBN13 | 9788931575132 |
ISBN10 | 8931575130 |
추천의 글|조유전(토지박물관장) 머리말|논리로 배우는 역사 논술의 첫 걸음 이 책의 생김새와 쓰임새 갈래별 글쓰기 01 한반도의 인류 등장 역사 탐구|1 지구의 탄생 2 인류의 진화 과정 3 한반도의 인류 등장 역사 해석|직립 보행, 불을 사용, 도구를 제작 사용 역사 토론|인류가 만물의 영장이 되는 데 가장 큰 영향을 미친 것은 무엇일까? 02 신석기의 농업 혁명 역사 탐구|1 신석기 사람들은 어떻게 살았을까? 2 여러 가지 도구와 종교 활동들 역사 해석|농경 생활로 인한 삶의 변화 역사 토론|울주 암각화는 종교적 이유일까, 기록 욕구일까? 03 단군은 종교일까, 역사일까? 역사 탐구|단군 신화 역사 해석|단군 신화의 의미 역사 토론|단군은 신화일까, 역사일까? 04 고조선의 성장과 멸망 역사 탐구|1 고조선의 성장과 발전 2 고조선의 멸망 역사 해석|1 누구의 노래인가? 2 법을 가진 사회, 법이 필요한 사회 역사 토론|고조선의 건국 시기는 언제일까? 05 고구려의 건국 역사 탐구|1 하늘의 아들 주몽, 고구려를 세우다 2 부여의 건국 신화 역사 해석|1 기록에서 사라져 버린 강국, 부여 2 오늘날까지 전해지는 부여와 고구려의 풍습 역사 토론|주몽과 동명성왕은 동일 인물일까? 06 백제의 건국, 하남 위례성을 찾아서 역사 탐구|1 백제의 두 가지 건국 신화 2 한성 시대의 왕성을 찾아라 역사 해석|1 하남 위례성으로 주목 받는 곳 2 백제의 우수한 토목 기술 역사 토론|풍납토성이 ‘하남 위례성’일까? 07 신라의 건국, 사로국에서 신라로 역사 탐구|1 박혁거세, 세상을 밝게 다스리다 2 석탈해 탄생 신화 3 김알지 탄생 신화 역사 해석|성읍 국가에서 중앙 집권 국가가 되기까지 역사 토론|왕권이 강화되는 것이 좋을까? 지방 세력이 강화되는 것이 좋을까? 08 철강 강국 ‘가야’ 역사 탐구|1 가야의 건국 신화 ‘가락국기(駕洛國記)’ 2 가야의 성장과 발전, 그리고 멸망 역사 해석|1 가야 건국 신화는 어떤 의미를 담고 있나? 2 인도에서 온 허황옥 3 가야는, 왜 멸망할 수밖에 없었는가? 역사 토론|삼국 시대일까? 사국 시대일까? 09 삼국시대 불교, 누구를 위해 받아들였나? 역사 탐구|1 삼국의 불교 수용 2 삼국시대 불교의 성격 역사 해석|1 불교의 국가 공인이 늦어진 이유 2 이차돈의 순교는 정치적 의도가 숨어 있다? 역사 토론|이차돈의 순교는 불교 전파를 위한 종교적인 희생인가, 정치적인 술수인가? 10 고구려, 동북 아시아의 패자가 되다 역사 탐구|1 광개토대왕의 정복 전쟁 2 장수왕의 남하 정책 3 고대사 비밀의 열쇠, 광개토대왕릉비 역사 해석|임나일본부설(任那日本附設)이란 무엇일까? 역사 토론|임나일본부설은 사실일까? 11 백제의 활발한 해상 진출 역사 탐구|1 백제의 성장과 발전 2 백제의 대외 활동 역사 해석|1 중국의 대륙으로 진출한 백제 2 현대까지 이어지는 백제 문화 역사 토론|백제는 정말 중국 요서 지방에 진출했을까? 12 고구려의 대 중국 전쟁 역사 탐구|1 중국 수나라와 고구려의 전쟁 2 안시성 전투 역사 해석|중국은 왜 끊임없이 고구려를 침략했을까? 역사 토론|Korea라는 말은 어디에서 나왔을까? 13 황산벌에 쓰러진 5천 결사대 역사 탐구|1 백제의 멸망 과정 2 화랑 제도와 관창 역사 해석|1 의자왕과 삼천 궁녀 2 삼천 궁녀 이야기는 어떻게 생겨났을까? 역사 토론|삼천 궁녀 이야기는 허구인가, 진실인가? 14 삼국 통일, 어떻게 이루어졌나? 역사 탐구|1 백제의 멸망 2 고구려의 멸망 3 신라의 삼국 통일 역사 해석|당나라는 왜 신라와 손잡았을까? 역사 토론|연개소문의 대외 강경책은 강한 나라를 만들기 위한 선택인가, 개인의 정치적 욕심 때문이었을까? 15 대조영의 발해 건국, 남북국 시대를 열다 역사 탐구|1 고구려의 후손, 발해를 세우다 2 우리 역사의 첫 번째 공격이자 마지막 원정 역사 해석|발해의 팽창과 신라와의 관계 역사 토론|대조영은 고구려 사람일까, 말갈 사람일까? 16 왕 오 천축국 전(往五天竺國傳) 역사 탐구|1 왕오천축국전과 혜초 2 혜초는 왜 천축국으로 갔을까? 역사 해석|<왕오천축국전>의 주요 내용 역사 토론|우리가 보유하고 있는 외국의 문화재, 돌려 주어야 할까? 17 삼국 통일 후, 고선지와 고구려·백제의 유민들 역사 탐구|1 고선지는 누구인가? 2 다섯 차례 서역을 원정한 ‘고선지’ 3 백제와 고구려의 유민들 역사 해석|신라의 삼국 통일을 평가한다 역사 토론|삼국 통일은 완전한 통일인가, 아닌가? 18 왕권을 되살려라, ‘성덕 대왕 신종’ 역사 탐구|1 슬픈 전설을 간직한 종 2 범종 중에서도 으뜸인 성덕 대왕 신종 역사 해석|1 성덕 대왕 신종을 만드는 시간이 오래 걸린 까닭 2 종에다 아이를 넣었다는 전설 역사 토론|성덕 대왕 신종을 쳐야 할까, 그대로 두어야 할까? 책 속의 책 -첨삭지도 -테마가 있는 부록|우리나라 국보와 주요 보물의 목록과 소장 위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