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장메뉴
주요메뉴


이것이 바로 초등국어 문해력이다 3단계  5-6학년 (자기주도 워크북)
중고도서

이것이 바로 초등국어 문해력이다 3단계 5-6학년 (자기주도 워크북)

: 3단계초인지학습법, 예측하고 구별하고 요약하라

정가
22,000
중고판매가
19,800 (10% 할인)
상태?
최상 새 상품같이 깨끗한 상품
YES포인트
구매 시 참고사항
  • 중고샵 판매자가 직접 등록/판매하는 상품으로 판매자가 해당 상품과 내용에 모든 책임을 집니다.

품목정보

품목정보
발행일 2023년 01월 07일
쪽수, 무게, 크기 246쪽 | 210*297*12mm
ISBN13 9791198144003
ISBN10 1198144009
KC인증 kc마크 인증유형 : 적합성확인
인증번호 :

중고도서 소개

최상 새 상품같이 깨끗한 상품
  •  판매자 :   yunuy90   평점4점
  •  출간 20230107, 판형 210x297(A4), 쪽수 246
  •  특이사항 : 3단계초인지학습법 예측하고 구별하고 요약하라 이것이 바로 초등국어 문해력이다 3-국어독해(초등)

책소개 책소개 보이기/감추기

목차 목차 보이기/감추기

* 문해력 테스트 안내

* 들어가는 말: 왜 이 책인가?

Part Ⅰ. 문장 구성과 의미 연결

1. 문장 구성 방법
1) 문장을 구성하는 데에는 정해진 규칙이 있다.
2) 정해진 규칙을 알면 복잡한 문장도 빠르게 파악할 수 있다.

[문해력 1차시: 분석 능력] ‘문장의 구성 방법’ 테스트

2. 두 문장의 뜻을 이어주는 말(접속어)
1) 초등국어 5~6학년에는 쓰이는 8가지 종류의 이어주는 말
2) 두 문장의 관계를 보면 이어주는 말이 보인다.
3) 이어주는 말을 보면 그 다음 내용이 보인다.

[문해력 2차시: 분석 능력] ‘이어주는 말(접속어) 찾기’ 테스트

3. 모르는 낱말의 뜻 짐작하기
1) 모르는 낱말의 뜻을 짐작하는 3가지 방법
2) 모르는 낱말의 뜻을 짐작하는 습관을 들이면 좋은 이유 2가지

[문해력 3차시: 예측 능력] ‘모르는 낱말의 뜻 짐작하기’ 테스트

Part Ⅱ. 문장에서 사실과 의견 구분하기

1. 문해력의 시작, 사실과 의견 구분
2. 사실과 의견을 나타내는 문장은 따로 있다.
1) 사실을 나타내는 문장의 특징: 과거/현재의 일, 조사 결과
2) 의견을 나타내는 문장의 특징: 미래에 대한 소망, 느낌/판단
3. 사실과 의견을 구분하는 3가지 방법
4. 사실과 의견을 구분하는 데는 다 이유가 있다.
1) 기행문 쓰기가 쉬워진다.
2) 글 제목을 보고 설명하는 글인지 주장하는 글인지 예측할 수 있다.
3) 중심문장과 뒷받침문장을 쉽게 파악할 수 있다.

[문해력 4차시: 분석 능력] ‘사실과 의견 구분하기‘ 테스트

Part Ⅲ. 초인지 1단계: 글 제목을 보고 글 종류 예측하기

1. 초등국어 5~6학년에서 다루는 3가지 글 종류
2. 글 제목 보고 설명과 주장을 예측하는 3가지 방법
3. 중심내용을 빠르게 파악하려면 글 제목 보고 글 종류를 예측하라.

[문해력 5차시: 예측 능력] ‘제목을 보고 설명과 주장 예측하기’ 테스트

Part Ⅳ. 초인지 2단계: 문단의 핵심내용 구별하기

1. 문단의 중심문장, 의견이나 새로운 사실
1) 문단, 여러 문장들이 모여 하나의 중심내용을 나타내는 글 단위
2) 중심내용을 나타내는 중심문장과 그것을 뒷받침하는 문장
3) 중심문장을 찾는 2가지 방법
4) 중심문장을 찾으면 그 다음에 나올 뒷받침문장이 보인다.

[문해력 6차시: 평가 능력] ‘중심문장 찾기’ 테스트

2. 문단의 전개 방식, 중심문장과 뒷받침문장의 서술 방식
1) 문단 전개 방식의 6가지 종류
(1) 원인과 결과 (2) 시간 순서 (3) 비교와 대조 (4) 열거(여러 가지 설명)
(5) 방법 (6) 주장과 이유
2) 글의 종류(체험, 설명, 주장)에 따라 전개 방식은 달라진다.
3) 중심문장을 보면 문단의 전개 방식을 짐작할 수 있다.
4) 문단의 전개 방식을 알면 초등 글쓰기의 절반을 알 수 있다.

[문해력 7차시: 평가 능력] ‘문단의 전개 방식’ 테스트

3. 문단 완성하기
1) 문단 완성 문제는 논리적 사고력을 테스트한다.
2) 문단 완성 문제를 푸는 3가지 방법
3) 논리적 사고력을 키우려면 문단 완성 문제를 풀어라.

[문해력 8차시: 분석 능력] ‘문단 완성하기’ 테스트

4. 문단의 문장 잇기(응집성)
1) 문단의 문장 잇기 원리, 알려진 정보와 새로운 정보의 연결
2) 문단의 문장 잇기 문제를 푸는 방법은 ‘원숭이 엉덩이는 빨개’에 다 들어있다.
3) 문단의 문장 잇기 원리를 알면 다음 문장의 주어가 보인다.

[문해력 9차시: 평가 능력] ‘문단의 문장 잇기(응집성)’ 테스트

5. 문단의 문장 배열순서(긴밀성)
1) 문단의 문장 배열순서 원리, 문장과 문장의 의미 연결
2) 문단의 긴밀성을 높이는데 필요한 4가지 조건
3) 문단의 문장 배열순서 문제를 푸는 3가지 방법
4) 문단의 문장 배열순서 원리를 알면 초등 글쓰기의 80%를 알 수 있다.

[문해력 10차시: 평가 능력] ‘문단의 문장 배열순서(긴밀성)’ 테스트

6. 문단의 중심문장과 뒷받침문장의 내용 일치(통일성)
1) 문단의 중심문장과 뒷받침문장의 내용 일치 원리, 하나의 내용으로 통일
2) 문단의 중심문장과 뒷받침문장의 내용 일치 문제를 푸는 2가지 방법
3) 초등 글쓰기에서 산만한 글이 많은 데에는 다 이유가 있다.

[문해력 11차시: 평가 능력] ‘중심문장과 뒷받침문장의 내용 일치(통일성)’ 테스트

Part Ⅴ. 초인지 3단계: 문단의 핵심내용 요약하기

1. 긴 문장을 짧게 요약하는 4가지 방법
2. 문단의 핵심내용 요약 방법은 글 종류와 전개 방식에 따라 다르다.
1) 주장하는 글의 핵심내용을 요약하는 방법
2) 설명하는 글의 핵심내용을 요약하는 방법
(1) 원인과 결과에 관한 핵심내용을 요약하는 방법
(2) 비교와 대조에 관한 핵심내용을 요약하는 방법
(3) 열거에 관한 핵심내용을 요약하는 방법
(4) 방법에 관한 핵심내용을 요약하는 방법
3) 기행문의 핵심내용을 요약하는 방법
3. 한 번에 기억하는 낱말은 겨우 7개, 그것으로 핵심내용을 요약하라.

[문해력 12차시: 평가 능력] ‘문단의 핵심내용 요약하기’ 테스트

Part Ⅵ. 글 제목 보고 예측하고, 구별하고, 요약하기

1. 글 제목 보고 글 종류를 예측하는 3가지 방법
2. 문단 핵심내용 구별 방법은 예측과 실제가 맞는지 확인하는 것이다.
3. 문단 핵심내용을 요약하는 6가지 방법
4. 초등국어 5~6학년 글 제목을 보고 예측하고, 구별하고, 요약하기

[문해력 13차시: 분석·예측·평가 능력] ‘글 제목 보고 예측, 구별, 요약하기’ 테스트

책 속으로 책속으로 보이기/감추기

정해진 규칙을 알면 복잡한 문장도 빠르게 파악할 수 있다.
문장 구성 방법을 알면 복잡한 문장을 간결하게 나타낼 수 있기 때문에 복잡한 문장의 내용을 빠르게 파악할 수 있다. 꾸며 주는 말을 모두 생략하고 〈누가 + 어찌하다〉로 간단하게 요약할 수 있다.
“지구온난화로 겨울이 따뜻해지면서 겨울잠에 들어가지 않는 꿀벌들이 일교차가 심한 날에 추워서 죽는다.” → 꿀벌들이 죽는다.
--- p.29~30

이어주는 말(접속어)을 활용해서 모르는 낱말의 뜻 짐작하기
이어주는 말이 비슷한 내용을 이어주는 것인지, 아니면 반대 내용을 이어주는 것인지만 알아도 모르는 낱말의 뜻을 짐작하는 데 도움이 된다. 예를 들면, ‘그래서, 왜냐하면, 그리고, 또한’은 비슷한 내용을 이어주는 말이고, ‘그러나, 하지만, 그렇지만, 반면(에), 그런데’는 반대 내용을 이어주는 말이다.
(가) 그 선비는 매우 고지식했다. 반면에 그의 아내는 무척 융통성이 있었다.
→ ‘반면에’ 앞뒤 문장은 반대 내용을 나타낸다. ‘고지식했다’는 ‘융통성이 있었다’와 반대 의미임을 짐작할 수 있다
--- p.54

제목이 의문문일 때 설명하는 글과 주장하는 글 예측 방법
제목이 의문문으로 주어질 때 그 의문문이 ‘사실에 대한 설명을 요구하는 것’이면 그 제목은 사실을 나타내고, 글의 종류는 설명하는 글이 된다. 반면에, 제목이 의문문으로 주어질 때 그 의문문이 ‘개인 의견을 요구하는 것’이면 그 제목은 의견을 나타내고, 글의 종류는 주장하는 글이 된다.
(나) 내 귀는 건강한가요? 〈『초등국어』 5-2(나)〉 → 건강하다 / 건강하지 않다.
(라) 동물 실험을 없애도 괜찮을까? 〈『초등국어』 6-2(나)〉 → 괜찮다 / 안 괜찮다.
--- p.89

중심내용을 빠르게 파악하려면 글 제목 보고 글 종류를 예측하라.
제목을 보고 설명하는 글인지 주장하는 글인지 제대로 예측하면, 우리는 본문에 나올 중심내용을 짐작할 수 있다.
(나) 다보탑과 석가탑 〈『초등국어』 5-1(가)〉 → 다보탑과 석가탑은 공통점과 차이점이 있다. → 설명하는 글 → 본문에 ‘두 탑의 공통점과 차이점’이 나온다.
(다) 직업과 옷 색깔 〈『초등국어』 5-1(가)〉 → 직업에 따라 옷 색깔이 다르다. → 설명하는 글 → 어떻게 직업이 옷 색깔에 영향을 미치는데? → 본문에 ‘직업과 옷 색깔의 관계’가 나온다.
--- p.90

문단의 문장 잇기 문제를 푸는 방법은 ‘원숭이 엉덩이는 빨개’에 다 들어있다.
문단의 문장 잇기(응집성) 문제 푸는 방법은 아주 쉽습니다. 왜냐하면 그 방법은 동요 ‘원숭이 엉덩이는 빨개’에 다 들어있기 때문입니다. 단락의 문장 잇기(응집성)를 확인하는 방법은 다음 4가지입니다. 첫째, 각 문장의 주어에 밑줄을 그으세요. 둘째, 주어가 앞에 나온 낱말인지 아닌지 확인하세요. 셋째, 각 문장의 서술어를 동그라미로 표시하세요. 넷째, 서술어가 새로운 낱말인지 확인하세요.
--- p.136

문장 배열순서 원리를 알면 초등 글쓰기의 80%를 알 수 있다.
글쓰기가 어려운 이유는 무엇을 써야 할지, 어떤 문장을 써야 할지, 문장 순서를 어떻게 배열할지 고민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무엇을 써야 할지 결정되기만 하면 우리는 중심문장(6차시)을 어렵지 않게 쓸 수 있습니다. 중심문장을 쓴 다음에 뒷받침문장을 어떻게 전개(7차시)하는지를 압니다. 뒷받침문장들을 배열하는 순서(10차시)도 압니다. 이제 남은 것은 ‘중심문장과 뒷받침문장의 내용 일치(통일성)와 문단들을 어떻게 구성할지’ 뿐입니다.
--- p.151

초등 글쓰기에서 산만한 글이 많은 데에는 다 이유가 있다.
초등 글쓰기에서 산만한 글이 많은 이유는 초등학생들이 문단의 통일성 원리, 즉 중심문장과 뒷받침문장의 내용 일치 원리를 위반하고 글을 쓰기 때문입니다. 통일성 원리를 놓치고 앞문장과 뒷문장의 정보 연결(응집성)에만 신경 쓰면 동요 ‘원숭이 엉덩이는 빨개’처럼 서로 무의미한 문장들을 모아 놓을 수 있습니다. 또한, 앞문장과 뒷문장의 논리적인 의미 연결(긴밀성)에만 신경 쓰면 맨 처음의 중심문장과 맨 마지막의 뒷받침문장은 전혀 관련 없는 내용이 될 수 있습니다.
--- p.163

출판사 리뷰 출판사 리뷰 보이기/감추기

1) 독자 대상: 초등학교 1~2학년
2) 구성: 문해력 개념(분석 능력, 예측 능력, 평가 능력)을 정리한 후 각각의 테스트 제시
3) 특징: 문해력의 틀(패러다임) 제시

2018년 국제학업성취도평가(PISA)의 읽기(독해력) 평가에서 우리나라는 경제협력개발기구 (OECD)의 평균인 487점보다 높은 514점으로 37개국 중 5위를 기록했습니다. 하지만 같은 해 문해력 평가에서 우리나라는 멕시코·브라질·콜롬비아·헝가리와 함께 최하위 집단으로 분류됐습니다. 왜 이런 현상이 나타난 것일까요? 읽을 순 있지만 제대로 이해할 수 없는 학생이 많다는 뜻입니다. 즉, 글자 그대로의 의미는 해석할 수 있지만 겉으로 드러나지 않은 의미를 파악하지 못한다는 것입니다. 초등국어 2학년에 나오는 다음 제목에서 글쓴이의 의도는 무엇일까요?

(가) 숲은 돈을 주고도 살 수 없어요. 〈『초등국어』 2-2(나)〉

위 문장을 글자 그대로 해석하면 ‘숲은 돈을 주고 사기에는 너무 비싸다’입니다. 이렇게 이해한 학생의 독해력은 좋습니다. 하지만 그 학생의 문해력은 좋지 않습니다. 왜냐하면 위 문장을 쓴 글쓴이의 의도는 ‘숲은 돈을 주고도 살 수 없을 만큼 소중하다. 그러므로 숲을 아끼고 보호하자’이기 때문입니다. (‘돈을 주고도’에서 ‘도’에 주목하세요.)

우리나라 학생들의 문해력이 OECD에서 최하위 집단으로 분류됐다는 소식이 전해지자 ‘한국 청소년 문해력 OECD 바닥, 충격’이라는 제목이 신문 지면을 장식했습니다. 더불어, 문해력 관련 도서들이 쏟아져 나오고 있습니다. 하지만 대부분은 문해력과 독해력의 개념을 혼동하고 있고, 문해력을 키우는 방법으로 ‘책을 많이 읽으면 된다’라는 막연한 주장을 합니다. 그 결과, 문해력이 무엇인지, 문해력을 구성하는 요소는 무엇인지, 문해력의 범위는 어디서부터 어디까지인지 애매모호합니다.

다른 초등국어 문해력 책과 다른 점, 문해력의 틀(패러다임) 제시

이 책은 초등국어 교과서를 철저히 분석해서 초등국어 문해력의 틀(패러다임)을 세우고 읽고 쓰는 원리를 제시하고 있습니다. 읽고 쓰는 능력을 나타내는 문해력은 능동적으로 분석하고, 예측하고, 평가할 수 있는 것을 말합니다. 즉, 사실과 의견을 구분할 줄 아는 분석 능력, 그 다음에 나올 내용을 예측할 수 있는 능력, 타당한 주장인지 아닌지 평가할 수 있는 능력을 말합니다. 우리 두 저자는 이런 문해력의 개념에 맞춰 다음과 같이 문해력의 틀을 세웠습니다.

[분석 능력] Ⅰ. 문장 구성 방법과 의미 연결
[분석 능력] Ⅱ. 문장에서 사실과 의견 구분하기
[예측 능력] Ⅲ. 초인지 1단계: 글 제목을 보고 설명과 주장 예측하기
[평가 능력] Ⅳ. 초인지 2단계: 문단의 핵심내용 구별하기
[평가 능력] Ⅴ. 초인지 3단계: 문단의 핵심내용 요약하기
[분석·예측·평가 능력] Ⅵ. 글 제목을 보고 예측하고, 구별하고, 요약하기

문해력이 높은 학생은 문장이 정해진 규칙에 맞게 쓰였는지 분석하고, 문장이 사실인지 의견인지 분석합니다. 또한, 모르는 낱말의 뜻을 예측하고, 글 제목을 보고 설명하는 글인지 주장하는 글인지 예측합니다. 그 예측이 실제와 맞는지 확인하면서 핵심내용을 구별하고 그 내용의 타당성을 평가한 후 간결하게 요약합니다. 예측하며 글을 읽는 재미를 안 학생은 ‘공부는 엉덩이로 하는 것이 아니라 머리로 하는 것’임을 깨닫게 됩니다. 그때부터 비로소 자기주도 학습이 이루어집니다.
  •  쿠폰은 결제 시 적용해 주세요.
1   19,800
뒤로 앞으로 맨위로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