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장메뉴
주요메뉴


내단 1
중고도서

내단 1

: 심신수련의 역사

정가
30,000
중고판매가
86,000
상태?
최상 새 상품같이 깨끗한 상품
YES포인트
구매 시 참고사항
  • 중고샵 판매자가 직접 등록/판매하는 상품으로 판매자가 해당 상품과 내용에 모든 책임을 집니다.

품목정보

품목정보
발행 예정일 미정
쪽수, 무게, 크기 750쪽 | 1110g | 153*224*40mm
ISBN13 9788979866483
ISBN10 8979866488

중고도서 소개

최상 새 상품같이 깨끗한 상품

책소개 책소개 보이기/감추기

목차 목차 보이기/감추기

한국어판의 발간에 부쳐
초판의 머리말
옮긴이의 말

1장 도교 기고양생학 개요
1. 도교사 개요
2. 도교 기공양생학 발생의 배경과 그 발전의 주요 단계
3. 도교 기공양생학의 기본 이론
4. 도교 기공양생의 각종 방법
5. 도교 기공양생학의 영향과 그 연구

2장 초기 역사의 중요인물과 그 내련 학설
1. 방선도와 노장파
2.『상이주』와『태평경』의 내련 요지
3.『주역참동계』의 이론 체계와 그 영향
4.『포박자내편』-'중술합수'의 양생학설
5.『황정경』과 『양성연명록』

3장 수당오대 시기의 중요인물 및 그들의 내련학설
1. 소원랑과 내단설
2. 장과와 그의 내련사상
3. 손사막의 의학양생
4. 사마승정의 '주정거욕'론
5. 최희범『입약경』의 내단이론
6. 종리권. 여동빈 및 그 내단학설
7. 진밥 '구전내단결'의 개념
8. 진단《무극도》의 단법 및 그 영향

저자 소개 관련자료 보이기/감추기

저자 : 이원국
1950년생. 중국 사천성 성도에서 태어났고, 현재 사천성 사회과학원 철학연구소부소장으로 재직 중이며 연구원 및 연구생부교수, 석사생지도교수로 재임 중이다. 사천성정협의 6차, 7차, 8차, 9차 위원을 역임하였고, 일본기공문화연구소 부소장, 중국도교문화연구소 연구위원, 및 사천성 파촉문화연구소 등의 이사로 활약하고 있다. 그동안 수차례 일본, 불란서, 독일, 및 유럽 여러 나라와 대만, 홍콩을 방문하여 학술교류에 참가하고 강좌를 실시하였다.

출판된 저작은 20권이 있으며 공저는 11권이다. 중요한 것으로『사천도교사화』, 『기공정화록』, 『중국도교기공양생대전』, 『도교여기공:중국양생사상사』(일문판), 『수적칠덕-이원국 2001 일본연강집』(일문판) 등이 있다. 이 밖에 관련 논문 100여편을 『도가문화연구』,『세계종교연구』,『도교문화』 등의 학술지에 발표하였다.
역자 : 김낙필
1949년생. 원광대학교를 거쳐, 서울대학교 철학과에서 철학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현재 원광대학교 한국문화학과 교수로 있다. 저서로 『조선시대의 내단사상』이 있고, 역서로 『노장사상과 도교』가 있다. 주요 논문으로 「북창 정렴의 내단사상」, 「도교수행의 특징과 현대적 의미」, 「수련문화의 과제와 전망」, 「서우 전병훈의 도교사상」등이 있다.
역자 : 이석명
1962년생. 경희대학교를 거쳐, 고려대학교 철학과 대학원 석사·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북경대학교에서 박사후연구원 과정을 한 뒤, 현재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전임연구교수로 있다. 저서로 『백서노자: 백서본과 곽점본?왕필본의 텍스트 비교와 해석』등이 있고, 역서로 『노자도덕경하상공장구』 등이 있다. 주요 논문으로 「포박자 갈홍의 사회·정치사상연구」등이 있다.
역자 : 김용수
1967년생. 고려대학교 철학과에서 학사 및 석사학위를 취득하고, 북경대학교에서 철학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박사후연구원과 같은 대학 철학연구소 연구조교수를 거쳐, 현재 경북대학교 윤리교육과 교수로 있다.
역자 : 나우권
1968년생. 고려대학교 철학과를 거쳐 같은 학교 대학원 철학과에서 석사학위를 받았다.민족문화추진회 한문연수부 과정을 거친 뒤, 용인대학교 전통문화연구소 연구원을 지냈다. 2006년 현재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의 연구원으로 있다. 옮긴 책으로 『주역사건』 등이 있고, 주요 논문으로 「『노자』의 수양론 연구」(석사학위논문), 「박제가의 실학사상」이 있다.

출판사 리뷰 출판사 리뷰 보이기/감추기

* 이 시대의 심신수련의 의미

'몸의 의미'가 부각되던 시기로부터 적극적으로 몸을 가지고 놀기(?) 시작하는 시대로 접어들었다. 몸에 구멍을 뚫음으로써 정신의 쾌락을 추구하거나 몸을 자유자재로 꼬고 비틀고 하는 요가를 하면서 체중을 줄이고 미를 추구하는 데 연예인들까지 나서 매스컴이 들썩이기도 한다.

이에 전통적인 심신수련술 중에서 '내단(內丹) '이라고 하는 도교 사상의 영역 중 하나를 들여다보았다. 몸과 마음을 닦음으로써 정신적 자유를 성취하여 이상인격을 지닌 선인仙人 경지에 다다른다는 이 수련술은, 건강과 자기계발, 자아성취, 적극적 삶의 태도 등으로 대표되는 현대인들에게 또 하나의 '웰빙'방법이 될 것이다.


* '내단'이란?

도교의 여러 영역 가운데 수련의 측면을 대표하는 것으로, 심신수련을 통한 자기완성을 목적으로 하며, 보통 선학(仙學), 선도(仙道) , 단학(丹學) 등으로 불리기도 하며, 유교나 불교의 수행과 달리 몸과 마음을 아울러 닦는 성명쌍수(性命雙修)를 특징으로 한다. 성명쌍수를 통해 불사와 조화력, 정신적 자유를 성취한 이상인격인 선인의 경지에 이르자는 것이 그 요지이다. 내단이란 개념이 뚜렷하게 대두된 것은 대략 수대(隋代)부터인데, 금단제조(장생불사약, 방중술에 사용되는 약 등)를 중시하는 외단(外丹)과 구별한다는 의미에서 사용되었다.


이 책의 사상적 의미―도교사상은 우리의 인식 속에 하나의 학문으로서 자리한다기보다는 방중술이나 도술, 신선술 등으로 인식되어 폄하되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이 책은 고대로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도교 사상의 핵심이라 할 '내단'의 역사를 매우 광범하고 충실하게 정리한 중국 도교 사상사의 기록이다. 그동안 우리나라에는 『참동계』나 『황정경』 등의 내단 관련 기본 경전과, 오류파를 중심으로 문헌들이 국역되어 소개된 바 있으나, 사상사적 맥락이 결여되어 있었던 것에 비해, 이 책은 총론적 흐름을 담고 있으므로 그 모든 문헌들의 기본서가 된다 하겠다.
  • 미출간 상태입니다.
뒤로 앞으로 맨위로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