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장메뉴
주요메뉴


현대주역학개론
중고도서

현대주역학개론

정가
18,000
중고판매가
13,800 (23% 할인)
상태?
최상 새 상품같이 깨끗한 상품
YES포인트
구매 시 참고사항
  • 중고샵 판매자가 직접 등록/판매하는 상품으로 판매자가 해당 상품과 내용에 모든 책임을 집니다.

품목정보

품목정보
발행일 2007년 08월 31일
쪽수, 무게, 크기 352쪽 | 153*224*30mm
ISBN13 9788980166657
ISBN10 8980166656

중고도서 소개

최상 새 상품같이 깨끗한 상품

책소개 책소개 보이기/감추기

저자 소개 관련자료 보이기/감추기

저자 : 신성수
충남 광천(廣川)에서 태어났다. 경희대학교 학부와 대학원에서 법학을 전공하였고(법학박사), 1991년부터 대학에서 「법학개론」·「생활과 법률」·「법과 문학」·「국제법」·「국제기구행정론」·「환경철학」등을 강의하여 왔다.
1985년부터 대산 김석진(大山 金碩鎭) 선생 문하에서 사서삼경을 비롯한 제 경전을 수학하면서 (사)동방문화진흥회 학술부장, 사무국장 등을 역임하였고, 「주역의 기본원리」·「주역경문해석연구특강」·「황제내경소문운기7편」 등을 강의하여 왔으며, 대산 김석진 선생의 「주역원전강의」를 이어받아 강의하고 있다.
현재 동방대학원대학교 미래예측학과에서 주역학(周易學)을 지도하고 있으며, (사)동방문화진흥회와 경희대학교, 경희사이버대학교 등지에서 강의하고 있다. 저서에 『주역통해』(대학서림 간)·『주역으로 보는 도덕경』(공저, 대학서림 간)·『대산 중용강의』(공저, 한길사 간)가 있다.

출판사 리뷰 출판사 리뷰 보이기/감추기

이 책은 크게 제1부 주역원론(周易原論)과 제2부 주역소고(周易小考)로 나누어져 있다.

[제1부] 주역원론에서는 주역의 원리를 현대적 관점에서 상세하게 논술하고 있다.
제1장에서는 ‘주역학’의 학문적 의의를 밝히고 주역이란 학문을 의식과 무의식을 통합한 종합적 인식체계로 연구해야 한다는 ‘주역학방법론’을 전개하고 있다.
제2장에서는 지구의 자전(自轉) 공전(公轉)현상에 바탕을 두어 태극(太極) 음양(陰陽) 사상(四象) 팔괘(八卦)의 원리를 서술하고 있으며, 사상과 팔괘의 관계에서는 일반 한의학에서 다루는 사상체질론과는 다른 ‘팔괘체질론’을 전개하고 있다.
제3장에서는 주역철학의 쟁점인 선천팔괘와 후천팔괘의 원리에 대하여 상세하게 전개하고 있으며, 선천팔괘의 공간성과 후천팔괘의 시간성이 결합된 시공(時空)통합의 원리를 주장하고 있다. 특히 하도(河圖)에 내재된 간지(干支)오행(五行)의 원리에 근거하여 후천팔괘의 원리를 설명함으로써 기존 학계의 일반적 견해와는 다른 입장을 취하고 있다.
제4장 64괘 현성론에서는 64괘로 이루어지는 원리를 설명하면서 현행본 주역과 경방(京房)역 그리고 백서(帛書)주역의 배열원리를 비교 설명하고 있으며, 또한 64괘의 유기적 관계와 상징성을 서술하면서 서양에서의 64괘 상징 표현을 비교하고 있다.
제5장 대성괘 분석론에서는 주역 64괘가 음양 6단구조로 이루어진 원리를 설명하고 6효로 이루어진 대성괘를 파악 분석하는 방법론에 대하여 상세하게 서술하고 있다.
제6장 예측판단론에서는 일반적으로 미신으로 일컫고 있는 점(占)의 원리에 대하여 현대적 관점에서 재조명하고 있다. 우선 톨스토이의 소설 『부활』에 나오는 재판장면을 소개하면서 현대사회에서 일반적으로 행해지고 있는 의사결정의 합리성을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서경』「홍범」편의 내용을 통하여 고대사회에서는 복서(卜筮)행위가 의사결정 내지 정책결정을 위한 합리적인 하나의 수단으로 활용되었다는 점을 밝히고 있다. 그리고 『주역』예측판단의 핵심원리인 설시(?蓍)법을 상세하게 설명하고, 설시의 결과로 나올 수 있는 괘효(卦爻)의 변화에 내재된 확률(確率)의 문제를 통계학적 관점에서 객관적으로 검토하고 있다.
제7장 주역체계론에서는 『주역』의 형성과정 및 작자(作者)에 관한 전통적인 견해와 비판적 견해를 함께 소개하면서 경전(經傳)의 의의, 십익전의 성격, 경문해석방법론을 전개하고 있다.

[제2부]에서는 주역학의 현대적 응용이라는 측면을 볼 수 있는데, 저자 신성수 박사가 『주역』을 연구하던 주 활동무대였던 (사)동방문화진흥회에서 발행하는 『동인』지에 실었던 4편의 글을 약간 수정 보완하여 실었다.
제1장 “은말주초의 시대적 배경과 관련된 괘·효사”에서는 『주역』이 형성된 시대적 배경인 은(殷)나라 말기 주(周)나라 초기의 역사적 상황을 소개하고 이 시대와 관련되어 있는 주역 경전의 문장을 검토함으로써 주역 해석의 역사적 의미를 밝히고 있다.
제2장 “『주역』을 통한 예측판단의 원리”에서는 예측판단의 중도적(中道的) 실천원리와 그 현대적 의의를 설명하고 있다.
제3장 “『주역』의 후천관과 여성역할의 변화전망”에서는 음양론과 선천후천론의 다양한 의미를 설명하고, 인류역사를 통한 남녀관계의 변화를 고찰하면서 현대사회와 미래사회에서의 여성역할의 변화 추이를 여러 가지 측면에서 전망하고 있다.
끝으로 제4장 “『주역』에 바탕한 중도적 수양론”에서는 『주역』64괘 가운데 수양과 관련된 대표적인 괘인 중산간괘(重山艮卦)와 풍지관괘(風地觀卦)를 중심으로 지관수양법(止觀修養法)을 설명하고, 중도적(中道的) 수양론의 현대적 의의에 대하여 논하고 있다.
  •  쿠폰은 결제 시 적용해 주세요.
1   13,800
뒤로 앞으로 맨위로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