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장메뉴
주요메뉴


발달사 지형학
중고도서

발달사 지형학

정가
24,000
중고판매가
17,800 (26% 할인)
상태?
최상 새 상품같이 깨끗한 상품
YES포인트
구매 시 참고사항
  • 중고샵 판매자가 직접 등록/판매하는 상품으로 판매자가 해당 상품과 내용에 모든 책임을 집니다.

품목정보

품목정보
발행일 2023년 02월 03일
쪽수, 무게, 크기 404쪽 | 686g | 153*220*25mm
ISBN13 9788957338391
ISBN10 895733839X

중고도서 소개

최상 새 상품같이 깨끗한 상품

책소개 책소개 보이기/감추기

목차 목차 보이기/감추기

머리말

제1부 서론

1장 지구 표면의 개관과 지형 변화의 주요 개념

제2부 발달사 지형학의 기초

2장 지표 형태와 지형의 연대
3장 지형 물질
4장 내적 작용과 지형
5장 외적 작용과 지형
6장 외래 작용에 의한 지형

제3부 지형 발달사의 구성과 모델

7장 지형의 시·공 계열과 지형 변화의 속도

제4부 지형 발달사의 사례들

8장 중·소지형의 발달사
9장 대지형의 발달사
10장 달의 지형 발달사

추천도서
참고문헌
옮긴이의 글
찾아보기

책 속으로 책속으로 보이기/감추기

지구의 표층부는 고체인 지각, 고체인 얼음, 액체인 해수·육수 그리고 기체인 대기로 구성되어 있다. 이외에도 지표를 덮고 있는 식물과 여러 가지 모습으로 지표를 변화시키는 동물과 인간이 있어 지표 상황을 다채롭게 만들고 있다.
--- p.18

지형 연구는 구체적인 지표 형태를 어떤 시점·방법으로 보는가에서 시작된다. 지형의 이해 자체가 목적이 아니고 예컨대 토양과 지질, 하천과 해안의 작용, 단층 운동과 지각 변동을 조사·연구할 목적으로 지형을 볼 때도 어떻게 지형을 보는가가 문제이다.
--- p.63

20세기 후반에 들어와 산지·평야·하천과 해안에 대한 건설 사업(자연 개변)에는 대규모 사업이 증가했고, 사업을 진행하기 위해서는 장기적·광역적인 자연의 작용에 대한 이해가 더욱 필요해졌다.
--- p.154

판의 세 경계형이 해양판에서 생기는지 대륙판에서 생기는지 혹은 양자의 경계에서 생기는지에 따라 대지형에 차이가 발생한다.
--- p.180

지형학도는 이 사례처럼 지역의 지형 발달사를 읽어낼 목적으로 만들어지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다른 용도 예컨대 산지의 붕괴 프로세스를 나타내어 사방과 산지 재해를 경감시킬 목적으로 만들어지기도 한다.
--- p.248

출판사 리뷰 출판사 리뷰 보이기/감추기

인간을 알려면 지리를 알아야 하고
지리를 알려면 지형을 알아야 한다


전통적으로 지형학은 지리학에서 중요한 지위를 차지한다. 지표면의 형태를 의미하는 지형은 지표를 구성하는 물질과 이를 변형 · 변위시키는 원동력인 지형 영력과의 상호작용이 반영된 지형 프로세스를 통해 끊임없이 변화하며, 인간의 활동에 직 ·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가장 기본적인 환경 요소다. 따라서 자연과 인간의 관계를 주요 주제로 삼는 지리학에서 인간의 활동 무대인 지표면의 성질을 고찰하는 지형학은 지리학의 핵심 영역이다.

지형이 어떻게 발달하였는지에 대한 연구는 지형 형성의 역사에 주목하는 방법, 지형 형성의 작용 원리에 주목하는 방법으로 구분된다. 일반적으로 전자를 발달사론적 지형학, 후자를 프로세스론적 지형학이라고 한다. 최근에는 프로세스론적 지형학이 주목받고 있는데, 프로세스론적 지형학은 지리학적인 색채가 약한 반면, 발달사론적 지형학은 발달사 연구가 종합적 · 역사적인 것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이에 대한 재조명이 필요하다.

발달사론적 접근법!
지형의 역사로 지리학의 영역을 확장하다


『발달사 지형학』은 지형발달사 관점에서 쓰인 지형학 개론서다. 지형학의 체계화는 약 100년 전부터 시작되었다. 초기에는 중위도의 육상 지형이 대상이었지만, 20세기 중엽이 되자 극지부터 열대, 고산부터 심해저에 이르기까지 모든 지형이 대상이 되었다. 또한 고속도로를 비롯하여 각종 구조물의 기초 조사로 지구의 표층 구조가 알려지고, 거대 댐의 건설, 삼림의 벌채, 경지와 나지의 확대로 인한 새로운 현상도 알려지면서 지역과 현상에 대한 연구는 지난 50년간 크게 확대되었다. 더욱이 달과 행성의 지형도 새롭게 대상에 더해져 지구 지형과 비교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한국에서 발달사 지형학에 대한 연구는 아쉽다. 전문학술지를 통해 소개되는 연구 성과는 특정 장소 지향적인 데다 내용도 대단히 세부적이고 전문적일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이런 상황에서 지형을 종합적 · 체계적으로 정리하여 그 특질과 의미를 알기 쉽게 소개하는 개론서는 한국 지리학 발전에 필수다. 일찍부터 지리학을 중시했던 일본에서는 지형 연구도 활발하게 이루어졌고 그 성과는 다양한 모습의 지형 관련 서적으로 간행되었다. 『발달사 지형학』은 이렇게 확대된 지형 지식도 체계에 집어넣고자 노력했다. 이 책의 국내 소개는 지형 연구에서 발달사론적 접근법의 묘미와 그 가치를 다시 인식시키는 좋은 기회가 될 것이다.
  •  쿠폰은 결제 시 적용해 주세요.
1   17,800
뒤로 앞으로 맨위로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