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장메뉴
주요메뉴


경제의 속살 1 경제학 편
중고도서

경제의 속살 1 경제학 편

정가
15,000
중고판매가
4,500 (70% 할인)
상태?
사용 흔적 많이 있으나, 손상 없는 상품
YES포인트
구매 시 참고사항
  • 중고샵 판매자가 직접 등록/판매하는 상품으로 판매자가 해당 상품과 내용에 모든 책임을 집니다.

품목정보

품목정보
발행일 2018년 12월 03일
쪽수, 무게, 크기 288쪽 | 394g | 148*210*20mm
ISBN13 9791185253572
ISBN10 1185253572

중고도서 소개

사용 흔적 많이 있으나, 손상 없는 상품
  •  판매자 :   grace books   평점0점
  •  특이사항 : 내부 변색 조금 있지만 깨끗합니다.

책소개 책소개 보이기/감추기

목차 목차 보이기/감추기

서문 - 후대에 남기는 우리들의 발걸음

Ⅰ부 행동경제학

● “인간은 이기적 존재”라는 주류경제학에 대한 반론 _ 최후통첩 게임
● 이재용과 우리는 얼마나 불평등해야 하나? _ 댄 애리얼리의 불평등 인식 조사
● 김승연 회장의 아들은 왜 사람을 패고 다닐까? _ 폴 피프의 모노폴리 실험
● 명문대 출신들의 오만한 자부심은 어디서 나왔나? _ 노력 정당화 효과
● 범죄는 악인의 전유물이 아니다 _ 범죄의 경제학
● 쫓기지 않는 삶, 그리고 연대를 위한 여유 _ 착한 사마리아인의 실험
● 보수를 이기기 위해서는 깊은 숙고가 필요하다 _ 대충 생각하기와 깊이 숙고하기
● 보수 정치인은 춥고 배고픈 현실을 못 견딘다 _ 자아고갈 이론
● 성과연봉제는 성과를 전혀 높이지 못한다 _ 댄 애리얼리의 성과급에 관한 실험
● 경쟁이 아닌 연대와 협동의 틀을 짜야 한다 _ 틀(프레이밍) 효과
● 악(惡)은 가난이 아니라 불평등에서 나온다 _ 앵커링 이펙트
● 인간은 언제 더 창조적으로 일할까? _ 의미부여의 경제학과 이케아 이펙트
● 구호는 단순해야 하지만, 반성은 치열해야 한다 _ 인지적 유창성
● 빈곤이 유발하는 결핍의 경제학 _ 터널링 이펙트
● 복지사회를 위해 극복해야 할 작은 기득권들 _ 소유 효과

Ⅱ부 게임이론

● 애덤 스미스를 무너뜨린 것은 수학이었다 _ 죄수의 딜레마
● 정의로운 보복이 정의로운 사회를 만든다 _ 팃포탯 전략 ①
● 대미(對美) 외교 전략 중 최고와 최악은? _ 팃포탯 전략 ②
● 미치광이 전략과 한반도의 평화 _ 치킨 게임
● 남과 북은 토끼가 아니라 사슴을 쫓아야 한다 _ 사슴 사냥 게임
● 우리는 서로를 믿을수록 더 행복해진다 _ 신뢰 게임과 옥시토신
● 방관과 참여의 갈림길에서 우리의 선택은? _ 이타적 처벌
● 패자에게 벌을 주는 것이 온당할까? _ 함정 게임

Ⅲ부 여러 경제학 이론들

● 공감은 길러지는 게 아니라 무뎌지는 것이다 _ 프란스 드 발
● 악화는 어떻게 양화를 쫓아내나? _ 그레샴의 법칙
● 자유한국당 의원들의 무릎 꿇기가 주는 신호 _ 신호이론
● 창조의 힘은 똘레랑스로부터 나온다 _ 관용의 경제학
● 준비된 낙관이 역사를 바꾼다 _ 낙관편향과 스톡데일 패러독스
● 공동체는 싸가지 없는 자를 용납하지 않는다 _ 동계 올림픽과 부시맨 연구
● 끼리끼리 모이는 지배계급의 이익 공동체 _ 은행가의 역설
● 호감은 또 다른 경제적 자산이다 _ 호감 경제학
● 우리가 세월호를 잊을 수 없는 이유 _ 미완성 효과
● 당신의 한걸음에 나의 한걸음을 보탠다 _ 동행의 경제학

저자 소개 (1명)

책 속으로 책속으로 보이기/감추기

4개월 동안 지속된 촛불집회에 필자와 같은 생각을 가진 사람들이 연인원 기준으로 무려 1800만 명에 이르렀다. 그 수많은 시민들을 누가 이기적 인간이라고 부를 수 있을까?
그래서 주류경제학의 대전제인 ‘이기적 인간’은 사실이 아니다.
_ “인간은 이기적 존재”라는 주류경제학에 대한 반론

한나 아렌트의 “생각하도록 하는 힘은 인간의 다른 능력에 비해 가장 약하다”는 질타를 상기하자. 이것이 어려운 만큼이나 진보의 길은 보수의 길보다 어렵다. 그래서 우리는 진보를 위해 저들보다 더 뜨겁게 생각하고 헌신적으로 고뇌해야 한다.
_ 보수를 이기기 위해서는 깊은 숙고가 필요하다

그래서 신용불량자에게 “가난한 주제에 카드를 마구 써대? 신용불량자가 돼도 싸다”라고 비난하는 것은 정답이 아니다. 그들의 고갈된 자아에 공감하는 것이 먼저다. 그래야 대량 소비를 부추기는 자본주의에서 신용불량을 막을 본질적 대책을 고안할 수 있다.
_ 보수 정치인은 춥고 배고픈 현실을 못 견딘다

해답은 간단한 곳에 숨어있다. 우리가 서로를 짓밟는 이유는, 태어나서 자라다보니 그 어느 곳에서도 경쟁을 강조했기 때문이다. 그리고 늘 그렇게 사는 것이 효율적이라고 교육받았기 때문이다. 이게 하나의 틀이 된 것이다. 이 틀을 조금만 바꾸면 어떨까? 어렸을 때부터 우리 아이들에게 “우리가 사는 세상은 서로 돕고 살아야 아름다워진다”라고 가르치는 것이다. 연대와 협동이 사회의 중요한 가치라고 한 마디 덧붙이는 것이다. ‘월가 게임’이라는 이름의 게임에서 사람들의 70%는 배신을 선택하지만, 게임 이름을 ‘공동체 게임’으로 바꾸면 그 70%를 협동의 길로 안내할 수 있다.
_ 경쟁이 아닌 연대와 협동의 틀을 짜야 한다

악당들이 불쌍한 표정으로 아무리 선처를 빌어도 받아들여서는 안 된다. 보복에는 관용이 없어야 한다. 저들이 먼저 배신을 선택했는데 우리가 협력으로 응수하면, 저들은 다음 판에서 다시 배신의 버튼을 누르기 때문이다. “사람을 무는 개가 물에 빠졌을 때 더 두들겨 패야 한다”는 루쉰의 이야기는 이런 면에서 매우 설득력이 있다.
_ 정의로운 보복이 정의로운 사회를 만든다

인간이 이기적인지 아닌지를 떠나서 한 가지 장담할 수 있는 게 있다. 적어도 인간은 이기적일 때 행복하지 않다. 인간은 이타적일 때 행복하다. 그리고 이 행복은 주고받으면서 더 커진다.
_ 우리는 서로를 믿을수록 더 행복해진다

그 투쟁에 나서는 자신을 자랑스러워하자. 그런 이타적 처벌이 역사를 전진시켰다. ‘모른 척 지나갈까?’라는 유혹이 나를 끌어당길 때, 이타적 처벌이 역사를 발전시켰음을 기억해야 한다. 우리의 이타심은 유난스러운 것도 아니고, 인간의 본성에 어긋나는 것도 아니다. 그게 바로 사람이 살아가는 보편적인 길이다. 그리고 역사는 그것을, 정의라고 부른다.
_ 방관과 참여의 갈림길에서 우리의 선택은?

최재천 교수의 절절한 호소처럼 ‘공감은 길러지는 게 아니라 무뎌지는 것’이다. 우리는 모두 타인의 고통을 함께 아파할만한 충분한 공감 능력을 가지고 태어났다. 다만 그것을 잃어가도록 강요 받아왔고, 또 잃어가고 있을 뿐이다.
_ 공감은 길러지는 게 아니라 무뎌지는 것이다

이들이 용맹스럽게 한걸음을 내디뎠을 때, 우리도 용기를 내 한걸음 따라가야 한다. ‘당신은 혼자가 아닙니다. 당신 옆에 우리가 있어 줄 겁니다’라는 따뜻한 격려가 우리 민중들이 더 용맹스럽게 한걸음을 내딛는 원동력이 된다.
_ 당신의 한걸음에 나의 한걸음을 보탠다
--- 본문 중에서
  •  쿠폰은 결제 시 적용해 주세요.
1   4,500
뒤로 앞으로 맨위로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