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장메뉴
주요메뉴


[중고-상] 사례관리론
중고도서

[중고-상] 사례관리론

정가
19,000
중고판매가
6,900 (64% 할인)
상태?
사용 흔적 약간 있으나, 대체적으로 손상 없는 상품
YES포인트
구매 시 참고사항
  • 중고샵 판매자가 직접 등록/판매하는 상품으로 판매자가 해당 상품과 내용에 모든 책임을 집니다.

품목정보

품목정보
발행일 2012년 03월 12일
쪽수, 무게, 크기 508쪽 | 1019g | 210*297*35mm
ISBN13 9788963308401
ISBN10 8963308405

중고도서 소개

사용 흔적 약간 있으나, 대체적으로 손상 없는 상품

책소개 책소개 보이기/감추기

목차 목차 보이기/감추기

[제1부 사례관리의 개관]
제1장 사례관리의 개념과 이해
1. 사례관리의 정의
2. 사례관리의 목적
3. 사례관리의 이론적 근거
4. 사례관리의 가치와 윤리
5. 사례관리의 유사 개념
6. 사례관리의 실천 원리

제2장 사례관리의 등장 및 발달 과정
1. 사례관리의 등장 배경
2. 사례관리의 역사적 발전 과정
3. 한국에서 사례관리의 발달

제3장 사례관리의 기능과 사례관리자의 역할
1. 사례관리 기능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
2. 사례관리 기능에 대한 분류
3. 사회복지실천 맥락에서 본 사례관리 기능
4. 사례관리자의 역할

제4장 사례관리의 모형
1. 사례관리 모형의 의의와 활용
2. 사례관리 모형의 분류기준
3. 사례관리 모형
4. 사례관리 모형 활용의 실례

제5장 사례관리의 구성 요소
1. 사례관리대상자
2. 사회 자원
3. 사례관리자
4. 사례관리 과정
5. 사례관리 운영체계

[제2부 사례관리의 실천 과정]
제6장 초기 과정
1. 사례 발견
2. 인테이크
3. 사례관리 클라이언트의 선정
4. 초기면접 단계의 기록
5. 초기 과정에서 사례관리자의 실천기술

제7장 사정 과정
1. 사정의 주요 특성
2. 사정의 영역
3. 사례관리 사정양식
4. 기타 사정양식

제8장 계획 과정: 개별 서비스 계획(ISP)
1. 계획 수립의 개념
2. 계획 수립의 실천
3. 계획 수립을 위한 실천 전략

제9장 실행 과정
1. 직접실천
2. 간접실천

제10장 평가와 종결
1. 평가
2. 종결
3. 사후관리

[제3부 사례관리의 실제]
제11장 정신보건 분야의 사례관리
1. 정신보건 분야의 사례관리
2. 정신보건 분야의 사례관리실천 모형
3. 정신보건 분야의 사례관리 현황
4. 정신보건 분야의 사례관리실천 방법
5. 정신장애인 사례관리의 윤리적 실천 전략
6. 정신보건 분야의 사례관리 과제

제12장 장애인복지 분야의 사례관리
1. 장애인복지 분야의 사례관리
2. 장애인복지 분야의 사례관리실천 모형
3. 장애인복지 분야의 사례관리실천 방법과 기술
4. 장애인복지 분야의 사례관리 실제

제13장 노인복지 분야의 사례관리
1. 노인복지 분야의 사례관리
2. 노인복지 분야의 사례관리실천 방법

제14장 아동·청소년복지 분야의 사례관리
1. 아동·청소년복지 분야의 사례관리
2. 아동·청소년복지 분야의 사례관리실천 모형
3. 아동·청소년복지 분야의 사례관리실천 방법과 기술
4. 아동·청소년복지 분야의 사례관리 실제

제15장 공공 영역의 사례관리
1. 공공전달체계와 사례관리
2. 공공전달체계와 사례관리의 발달 과정
3. 공공전달체계의 사례관리 수행 모형
4. 공공사례관리의 실제
5. 공공전달체계의 사례관리 과제

저자 소개 관련자료 보이기/감추기

저자 : 권진숙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에서 사회복지학 박사(Ph.D.)학위를 받았다. 현재 그리스도대학교 사회복지학부 교수이다.

저자 : 김상곤
숭실대학교 대학원에서 사회복지학 박사(Ph.D.) 학위를 받았다. 현재 안산대학교 사회복지과 교수이다.
저자 : 김성경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에서 사회복지학 박사(Ph.D.) 학위를 받았다. 현재 한국성서대학교 사회과학부 교수이다.
저자 : 김성천
중앙대학교 대학원에서 사회복지학 박사(Ph.D.) 학위를 받았다. 현재 중앙대학교 사회복지학부 교수이다.
저자 : 김혜성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at Albany 에서 사회복지학 박사(Ph.D.) 학위를 받았다. 현재 강남대학교 사회복지학부 교수이다.
저자 : 민소영
University of Pennsylvania 에서 사회복지학 박사(Ph.D.) 학위를 받았다. 현재 경기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교수이다.
저자 : 박선영
University of Chicago 에서 사회복지학 박사(Ph.D.) 학위를 받았다. 현재 계명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교수이다.
저자 : 박지영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에서 사회복지학 박사(Ph.D.) 학위를 받았다. 현재 상지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교수이다.
저자 : 백은령
가톨릭대학교 대학원에서 사회복지학 박사(Ph.D.) 학위를 받았다. 현재 총신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교수이다.
저자 : 유명이
숭실대학교 대학원에서 사회복지학 박사(Ph.D.) 학위를 받았다. 현재 대림대학교 사회복지과 교수이다.
저자 : 유서구
University of Texas at Austin 에서 사회복지학 박사(Ph.D.) 학위를 받았다. 현재 숭실대학교 사회복지학부 교수이다.
저자 : 이기연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에서 사회복지학 박사(Ph.D.) 학위를 받았다. 현재 서강대학교 공공정책대학원에서 대우교수이다.
저자 : 조미숙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에서 사회복지학 박사(Ph.D.) 학위를 받았다. 현재 삼육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교수이다.
저자 : 조현순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에서 사회복지학 박사(Ph.D.) 학위를 받았다. 현재 경인여자대학 사회복지과 교수이다.
저자 : 황성철
University of Illinois at Urbana-Champaign 에서 사회복지학 박사(Ph.D.) 학위를 받았다. 현재 신라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교수이다.

출판사 리뷰 출판사 리뷰 보이기/감추기

한국사례관리학회를 중심으로 각 집필진은 사례관리란 무엇인가에 대해 그리고 한국에서의 사례관리가 어떻게 구성되고 수행되어야 할 것인가 등에 대해 여러 해에 걸쳐 연구하고, 고민해 왔던 내용을 중심으로 사례관리를 위한 한국 사회복지 교육이 다루어야 할 주요 내용의 제시에 초점을 맞추어 정리하였습니다. 먼저, 본 교재의 전체적인 구성을 소개하면 전체를 3부로 나누어 제1부에서는 사례관리의 전반적 내용을 개관하였고, 제2부에서는 사례관리의 실천 과정에서의 주요 내용들을 정리하였습니다. 마지막 제3부 사례관리의 실제에서는 주요 분야별 사례관리를 소개하였습니다.

본 교재의 활용 방법은 위의 내용 중 제1부와 제2부는 대학에서의 사례관리 교육을 위한 핵심 내용이므로 반드시 교수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합니다. 제3부 분야별 사례관리의 실제는 학부 수준에서는 공공영역을 포함하여 1개 분야를 다루는 정도로 융통성 있게 활용할 수 있을 것입니다. 대학원 과정에서는 모든 내용과 실천 현장의 상황을 연결하여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논의와 대안까지 도출 가능한 교재로 활용 가능할 것입니다.
  •  쿠폰은 결제 시 적용해 주세요.
1   6,900
뒤로 앞으로 맨위로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