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장메뉴
주요메뉴


씨앗박사 안완식 우리 땅에 생명을 싹 틔우다
중고도서

씨앗박사 안완식 우리 땅에 생명을 싹 틔우다

정가
11,000
중고판매가
9,000 (18% 할인)
상태?
사용 흔적 약간 있으나, 대체적으로 손상 없는 상품
YES포인트
구매 시 참고사항
  • 2014년 세종도서 문학나눔 선정도서
  • 중고샵 판매자가 직접 등록/판매하는 상품으로 판매자가 해당 상품과 내용에 모든 책임을 집니다.

품목정보

품목정보
발행일 2014년 03월 15일
쪽수, 무게, 크기 144쪽 | 382g | 188*246*20mm
ISBN13 9788997162543
ISBN10 8997162543

중고도서 소개

사용 흔적 약간 있으나, 대체적으로 손상 없는 상품

책소개 책소개 보이기/감추기

목차 목차 보이기/감추기

1. 날개 달린 제기
2. 자세히 보면 더 많이 보인다
3. 무슨 꽃이 필까?
4. 죽어버린 배롱나무
5. 비가 오면 벼도 쉬겠지
6. 밀밭에서 만난 스승
7. 숨어 있는 보물을 찾아서
8. 토종만 찾는 잠자리
9. 앉은뱅이밀의 비밀
10. 나누는 씨앗 꿈꾸는 씨앗
11. 씨앗이 부른다
더 알고 싶어요
1. 안완식 할아버지의 삶을 돌아보았어요
2. 안완식 할아버지를 만났어요
3. 토종씨앗에 대해 알고 싶어요

저자 소개 관련자료 보이기/감추기

글 : 박남정
이화여자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고 《출판저널》 기자로 일했다. 지금은 충청북도 괴산에서 농사도 짓고 틈틈이 글도 쓰며 재미나게 산다.
『고추 아저씨 발명왕 되다』,『곰 아저씨의 딱새 육아일기』,『초딩, 자전거 길을 만들다』,『맛있는 짜장면의 역사』등 어린이 책을 썼다.
그림 : 김명길
성신여자대학교에서 서양화를 공부했다. 모든 생명체가 서로의 자리를 존중하며 어우러져 살아가는 세상을 꿈꾸며 어린이책에 온기를 불어넣는 그림 작업을 하고 있다. 그린 책으로는『우리와 함께 살아가는 작은 생물 이야기』,『양재천에 너구리가 살아요』,『밤섬이 있어요』,『개구리논으로 오세요』,『선생님, 바보 의사 선생님』,『꽃씨 할아버지 우장춘』,『뿌리 없는 식물은 없어요』등이 있다.

출판사 리뷰 출판사 리뷰 보이기/감추기

목화씨를 들여온
문익점의 마음으로

이 책은 안완식 박사가 집안 대대로 내려오는 족보를 쪽쪽 찢어 제기를 만들어 놀던 철부지 어린 시절부터 농학도로 성장해 농촌진흥청에서 한평생을 몸담고 퇴직한 후 펼쳐가는 제2의 인생까지, 그의 삶을 조명했다.때로는 간첩으로 오인 받아 경찰서에 끌려 가 고초를 겪기도 하고, 토종꽈리 씨앗 몇 알을 얻고자 목숨을 걸고 온종일 돌밭길을 달리고, 가족과 주변 사람들의 쌓여만 가는 걱정과 불만으로 마음이 울적하기도 하지만 그는 하루가 다르게 무섭게 사라지는 우리 씨앗과 식물을 생각하면 도저히 씨앗을 찾아 나서는 일을 멈출 수 없다.

이렇게 열정을 다해 그가 지켜 낸 우리 토종 씨앗과 식물은 헤아릴 수 없이 많다. 인류의 기아를 해결해 준 공로로 미국 ‘녹색혁명의 아버지’ 노먼 볼로그 박사에게 노벨 평화상을 안겨 준 소노라밀의 기원이 우리나라 앉은뱅이밀이라는 사실도 밝혀내고, 외국 여기저기 흩어져 있던 우리 종자 중 일부를 돌려받고, 전국의 농촌지도소 지도요원의 도움으로 1985년부터 2002년 퇴직할 때까지 종자 2만여 점을 수집하는 결실을 얻어 낸다. 그는 한 걸음 더 나아가 그것들을 보관, 관리할 수 있는 종자은행을 설립하는 데 앞장섰는데 이 종자은행은 세계 최대 규모의 유전자원 보존시설인 국립농업유전자원센터의 모태가 된다.

1985년 첫 토종 조사 당시 건재하던 토종 씨앗이 8년 후인 1993년 2차 수집 때 1차 수집분의 74%가 소멸됐고 다시 7년 후에는 12%로 줄어들었고 지금은 채 5%도 안 남은 것이 현실이다. 그러다 보니 농가에서 재배하는 채소 씨앗만 하더라도 대부분 로열티를 내고 구입하는 실정임을 누구보다 안타까이 여겨 온 안완식 박사는 마치 삼베로 사시사철을 나야 하는 백성을 위해 목화씨를 들여오고 목면생산의 정착과 보급에 힘쓴 문익점의 마음과도 닮았다. 그는 누구든 우리 씨앗으로 농사를 짓고자 하는 사람들에게 아낌없이 씨를 나누고 농사법을 가르쳐 주고 함께 머리를 맞대고 연구한다. 그뿐 아니라 토종 산딸기, 토종 상추, 토종 매실, 토종 감자 등 땅 속으로 영원히 사라질 뻔한 우리 종자들을 다시 논밭에 심고 거두어 다음 해를 기약하게 한다. 지금이라도 토종 씨앗을 다양하게 심어 건강한 생태계를 만들어 내는 것이 종자 주권, 식량 주권을 되찾는 시작임을 몸소 실천하는 것이다.

“그럼. 우리 씨앗은 보물이지!
오래돼서 보물이고 앞으로도 계속 살아남을 것들이라
더 귀한 보물이지.”


말 그대로 ‘씨가 말라가는’ 우리 토종 종자를 지키고 다국적 기업 종자 회사로부터 식량 주권과 종자 주권을 지키고자 기울이는 그의 노력은 지금도 계속된다.비영리단체 ‘씨드림’을 운영하고, 토종 종자와 작물에 관한 책들을 저술하고, 토종 수집과 연구 활동을 멈추지 않으며 우리 씨앗 지키기 운동을 펼치는 그는 한 알의 밀알 같은 삶을 살아온 우리 시대 진정한 어른이다.

이 책은 그런 그의 삶을 어린 새싹 독자들이 재미있게 읽으며 자연스레 깨달을 수 있도록 구성했다. 책 뒷부분에는 왜 토종 씨앗이 중요한 것인지, 우리 씨앗을 지키고 가꾸고 이 땅에 계속 자랄 수 있게 해 주는 것이 어떤 의미가 있는지, 토종 씨앗의 종류에는 무엇이 있는지 자세한 설명이 그림과 함께 실려 있어 앞으로 우리 미래를 짊어지고 나갈 꿈나무들의 이해를 돕는다.

우리 기억 속에서 영영 잊혀 가던 토종 씨앗을 싹 틔우고 가꿔 우리 식탁 위에 다시 돌려준 유전자원 연구관 안완식. 우리의 건강과 미래자원이라는 돈으로 매길 수 없는 가치는 물론, 우리 들녘과 자연에는 우리 씨앗과 식물이 자라야 한다는 너무도 당연한 순리를 일깨워 준 이 시대 가장 귀한 씨앗이 아닐 수 없다.
  •  쿠폰은 결제 시 적용해 주세요.
1   9,000
뒤로 앞으로 맨위로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