품목정보
발행일 | 2017년 11월 10일 |
---|---|
쪽수, 무게, 크기 | 524쪽 | 694g | 138*215*35mm |
ISBN13 | 9788950972462 |
ISBN10 | 8950972468 |
중고샵 판매자가 직접 등록/판매하는 상품으로 판매자가 해당 상품과 내용에 모든 책임을 집니다.
발행일 | 2017년 11월 10일 |
---|---|
쪽수, 무게, 크기 | 524쪽 | 694g | 138*215*35mm |
ISBN13 | 9788950972462 |
ISBN10 | 8950972468 |
Lecture 01 우주 세기의 ‘인간의 조건’?! 「프롤로그」와 「제1장 인간의 조건」을 읽다 한나 아렌트 / 제목 ‘인간의 조건’과 ‘인간’에 대해 / 독일어판 제목 Vita Activa / 지구로부터 탈출 / ‘조건’이라는 개념 / 생명 조작과 지구 인력으로부터 이탈 / 언론과 과학 / 활동력: 노동, 작업, 활동이라는 세 가지 조건 / 노동과 작업 / 활동과 다양성 / 출생과 가사성, 그리고 시작 / 아렌트와 아리스토텔레스: 목적론을 둘러싸고 / 인간의 ‘조건’과 ‘본질’ / 활동적 생활 / 관조적 생활과 활동적 생활 / 영원과 불사 / Q + A Lecture 02 어떻게 해야 ‘활동’이 가능할까? 폴리스라는 공적 영역 「제2장 공적 영역과 사적 영역」을 읽다 사회적인 것과 정치적인 것 / 활동과 언론 / 가정과 사회와 국민국가 / 공/사 구별의 핵심 / 자유와 지복, 필연과 폭력, 그리고 시민사회 / 공통선 / 사회적인 것이란? / 공적인 것 Ⅰ: 나타남 / 공적인 것 Ⅱ: 공통 세계 / 사유재산의 변용과 사회적 영역의 발흥 / ‘공적인 것’과 ‘선’의 차이, 그리고 마키아벨리 / Q + A Lecture 03 인간으로부터 ‘노동하는 동물’로 「제3장 노동」을 읽다 소유와 노동, 자연 상태 / 노동하는 동물 / 생산적 노동과 비생산적 노동의 구별 / 생산성이란 무엇인가? / ‘사물’이란 도대체 무엇인가? / 물화와 간주관성 / 영겁회귀, ‘비오스’와 ‘조에’ / 화폐와 ‘사물의 객관적 세계 창조’ / 재산 / 세계 전유 활동력 / 고통과 쾌감의 사비성 문제 / 노동을 통한 생명의 무한 증식, 그리고 그것과 연동하는 부의 무한 증대라는 이중 운동 / 도구, 분업과 전문화 / 소비: 자연의 순환에 흡수되는 것 / Q + A Lecture 04 세계를 만드는 작업이란? 「제4장 작업」을 읽다 내구성, 주관과 객관 / 자연에서 세계의 ‘수립’으로 / ‘작업-사용’과 ‘노동-소비’ / ‘노동하는 동물’과 ‘공작인’이 딛고 선 위치의 차이 / 이데아와 에이도스 / 기계와 도구, 자동화와 테크놀로지 / 공리주의 / 공작인의 수단과 ‘최고 목적’이란? / 고대 그리스의 철학자는 ‘모든 것을 수단화하려고 하기 때문에 모든 것이 무의미해져 버리는’ 난문제에 어떻게 대답했을까? / 아고라와 바자르 / 가치란 무엇인가? / 세계에서 둘도 없는 소중한 것이란? / Q + A Lecture 05 탈목적론적인 ‘시작’의 빛남 「제5장 활동」을 읽다 차이성과 타자성 / 독특한 복수성? / 시작: the beginning과 initiative / 활동과 언론의 차이란?: ‘폭로’ / 인격적 아이덴티티와 관계 그물망, ‘연기로 펼쳐지는 서사’ / ‘interest’와 사람과 사람 사이 / 그물망 / 서사와 역사 / 아렌트의 역사철학 / 연기자와 합창대(코러스) / 역사를 만드는 것은 누구인가? / 행복하게 잘 사는 것이란? / 출현의 공간에서 ‘권력’이란? / 아렌트의 정치관 / 에네르게이아와 엔텔레케이아 / 인간의 작품 / 사회주의?노동운동?평의회 / 이데아의 정치 / 과정 / 용서와 복수 / Q + A Lecture 06 세계 소외 「제6장 활동적 생활과 근대」를 읽다 세계 소외와 근대, 세 가지 사건 / 소외와 종교개혁, 자아 중심의 철학 / 자기 소외와 세계 소외, 초기 마르크스의 「목재 도벌 법 문제」 / ‘세계에 대한 염려’와 세계 소외 / 아르키메데스의 점 / ‘데카르트=갈릴레이’의 새로운 앎 / 공통 감각 Ⅰ: 실제란? / 공통 감각 Ⅱ: 내성 vs 세계 / 제1의 전도: 사고와 행위 / 제2의 전도: 영혼과 육체의 관계 / 공작인적인 태도와 ‘과정의 과학’으로서의 자연과학 / 세계 소외의 원인 / 행복의 원리(쾌락의 총계-고통의 총계)와 최고선으로서의 생명 / 그리고 ‘세계’를 획득할 수 없었다: 노동하는 동물의 승리 / 고독 : ‘세계’를 경험하고 가장 충실하게 ‘active’해지기 / Q + A 후기를 대신하여 아렌트 붐은 과연 ‘아렌트적’인가? 『인간의 조건』을 더 탐구하고 싶은 사람을 위한 독서 안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