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문열의 소설《그대 다시는 고향에 가지 못하리》는 프랑스 문학사처럼 '롤랑의 노래'로부터 시작된다.
프랑스 문학사가 아름답고 장중한 무훈시(武勳詩) '롤랑의 노래'의 전설적 안개를 출발점으로 하여 그 나라 문학사 이전의 시간과 어렴풋이 분리되어 하나의 독립된 문화공간을 형성한다는 점을 주목한다면 소설의 이 같은 프롤로그가 매우 상징적인 의미를 내포하고 있음을 곧 알 수 있다.
샤를마뉴 대제(大帝)의 조카로서 롱스보에서 장렬한 최후를 마친 중세의 가장 영웅적 기사의 전설을 노래한
'롤랑의 노래'를 책의 서문에서 만나면 '아, 드디어 프랑활스 현대문학사가 시작하는구나' 하는 느낌을 갖게 된다. 마찬가지로 이 소설의 나레이터는 '고향 동구 조금 못 미친 산비탈의 조그만 바위' 어림대(御臨臺)에 이르면
'아, 드디어 고향에 돌아왔구나' 하는 생각을 하게 된다. 여기서부터 회한과 그리움, 고통과 향수가 동시에 얽혀 만들어진 한 인류학적 공간, 즉 고향과 우리는 대면하게 된다.
프랑스 문학사가 롤랑의 영웅적 투쟁과 충성을 노래하듯이 이 소설 또한 그 출발점에서 어떤 가치에 대한 충실성, '옛 정신의 권화, 은성(殷盛)했던 시절'의 빛을 노래한다. 고향은 바로 이 원초적이고 드높은 빛으로 형성된 공간이다.
이 작품은 물론 예술작품으로서의 소설이지만 동시에 이제 영원히 사라져버리게 될 어떤 가치 혹은 삶의 형식에 대한 충실하고 감동적인 '증언'으로서 귀중한 가치를 지닌다. '고향'이라는 특유의 대상, 아니 '이미지'를 살아 있는 것으로 증언하는 방식으로서 소설은 역사적 문헌이나 사회학적, 인류학적 보고서보다 훨씬 웅변적임을 이 소설은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또 작가가 이 같은 '증언'을 제공하기까지에는 '진정한 고향을 가졌던 마지막 세대'에 속한다는 강한 동기성이 뒷받침되어 있다. 고향이라는 특유한 주제를 다룸으로 작가는 자기 스스로를 발견하고 독자에게 그것을 드러내 보임과 동시에 아름다운 것, 소중한 것, 이제는 사라져버리게 되는 것을 바라보는 그의 '낭만주의적' 방식 또한 보여준다. '사라져 그리운 것들', 혹은 '스러져 가야 할 것이기에 더 아름다운', '사라진 모든 것의 추억처럼 희미한 빛', '몰락하는 영광이 가지는 비장미' 등 작가의 직접적인 목소리로 확인시켜 주는 말들, 그리고 '에필로그'뿐만이 아니라 작품 전체의 구체적인 분위기 모두가 참다운 발견과 상실의 동시성이라는 낭만적 비전을 강하게 전달하고 있다.
이문열의 소설《그대 다시는 고향에 가지 못하리》는 바로 상실(喪失)의 아름다운 노래를 통하여 비로소 지금까지 잃어버렸던 고향이 우리들의 마음속에 영원히 살아 있게 하는 힘을 발휘한다. 왜냐하면 고향은 우리의 빛 바랜 사진첩이나 쇠잔한 기억 속에 정적으로 갇혀 있는 공간이 아니라 그렇게 활활 타오르는 불꽃 속에, 아니 기울어진 고가(古家)를 불태우는 그 너울거리는 불길 속에 춤추고 있는 공간이기 때문이다.
김화영(문학평론가, 고려대학교 불문학과 교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