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장메뉴
주요메뉴


남자 vs 남자
중고도서

남자 vs 남자

정가
12,000
중고판매가
700 (94% 할인)
상태?
사용 흔적 많이 있으나, 손상 없는 상품
YES포인트
구매 시 참고사항
  • 중고샵 판매자가 직접 등록/판매하는 상품으로 판매자가 해당 상품과 내용에 모든 책임을 집니다.

품목정보

품목정보
발행일 2001년 08월 31일
쪽수, 무게, 크기 356쪽 | 153*224*30mm
ISBN13 9788985548694
ISBN10 8985548697

중고도서 소개

사용 흔적 많이 있으나, 손상 없는 상품

책소개 책소개 보이기/감추기

목차 목차 보이기/감추기

김영삼 vs 김어준
'내 맘대로' 왕자, '니 맘대로' 독재자

이건희 vs 조영남
완벽하지 '못한' 황제, 망가지지 '않는' 광대

장세동 vs 전유성
'나'로부터의 도피, '나'를 향한 일탈

이수성 vs 강준만
'마당발'의 닫힌 연대, '단독자'의 열린 고립

박종웅 vs 유시민
'돈키호테'형 소신, '햄릿'형 소신

김윤환 vs 김윤식
변화를 '좇는' 빈 배, 변화를 '품는' 거목

봉두완 vs 이외수
화려한 재능의 눈물, 치열한 재능의 선혈

정형근 vs 마광수
피해의식, '시대와의 불륜' '시대와의 불화'

김우중 vs 정동영
현실 부정의 몰락한 영웅, 현실 직시의 고뇌하는 인간

김종필 vs 앙드레김
'나를 위한' 직업, '나를 거는' 직업

이회창 vs 이회창
'칼'의 이회창, '저울'의 이회창

저자 소개 (1명)

책 속으로 책속으로 보이기/감추기

80년 11월 30일 신군부의 언론통폐합 작업으로 동양방송이 역사속으로 사라졌따. 봉두완은 10년째 진행해온 TBC 라디오 <뉴스전망대>의 고별방송에서 몇전씩이나 목이 메인다. 그로부터 일주일 후인 12월 6일자 신문에는 봉두완이 바로 그 언론통폐합을 추진한 미주정의당 마포용산지구당 조직책에 임명되었음을 알리는 기사가 났다.
--- p.214,215

출판사 리뷰 출판사 리뷰 보이기/감추기

'남성심리 전문가'로 불리며 그간 여러 매체를 통해 남성의 마음에 대한 탁월한 공감력을 보여주었던 정신과 전문의 정혜신 박사가 우리 시대 유명남성 21인에 대한 본격적인 심리평전을 펴냈다. '심리평전'이란 낯선 용어가 등장한 것은 심리분석이나 인물평전 중 어느 한쪽만으로는 규정할 수 없는 이 책의 독특한 성격에서 기인하는데, 저자는 대상 인물을 단지 심리적인 측면에만 국한시키지도, 사회적 맥락 속에만 가둬놓지도 않는다.

이러한 특성은, 대상 인물을 한두 가지의 모습에서 읽히는 어떤 특정 심리로 왜곡·축소시키거나 '객관성'이라는 모호한 이름 아래 수많은 자료더미 속에 처박아두는 등의 자칫 저지르기 쉬운 잘못으로부터 벗어나게끔 하고 있다. 이는 정신과 전문의라는 저자의 직업적 감수성과 "특정 인물의 평전을 쓸 때 적어도 그가 쓴 책이나 논문, 관련자료 등은 다 섭렵해야 한다"는 원칙 사이의 적절한 균형감각에서 기인한다. 따라서 '심리평전'이란 타인과의 공감을 위한 적절한 거리 두기(너무 먼 것은 좀더 가까이, 너무 가까운 것은 좀더 멀리)의 한 전형이라 볼 수 있다.

21명이나 되는 인물을 책 한 권에 담고 있기에 각 인물에 할당된 분량이 많다고 볼 수는 없음에도 불구하고, 분량의 빈약함이라곤 조금도 느낄 수 없게끔 만드는 무게감 있는 한 문장 한 문장 또한 이러한 특성에서 기인한다.

독특한 구성, 독특한 재미
책 속에 등장하는 21인의 남성들은 소위 '한국대표남성'이라 할 만큼 눈길을 끄는 인물들이다. 하지만 이 책이 더더욱 눈길을 사로잡는 건 이들이 등장하는 방식이다.

비유적으로 말하면 이렇다. 21인의 골프선수가 대회에 참가한다. 그런데 모두가 한꺼번에 경기를 펼치는 것이 아니라, 두 명씩 짝을 지어 매치플레이를 펼친다. 각각의 경기는 각각 다른 코스에서 펼쳐지며, 함께 플레이를 펼칠 두 선수의 매치는 대회 운영자에 의해 결정된다.

첫번째 경기는 김영삼 vs 김어준. 이들은 '자기 인식'이라는 코스에서 경기를 갖는다. 다음은 이건희 vs 조영남. 이들은 '열등감'이란 코스에서 경기를 갖는다. 그밖에도 장세동 vs 전유성은 '자기의지', 김종필 vs 앙드레 김은 '직업의식', 이수성 vs 강준만은 '인간관계' 등의 코스에서 총 11경기가 펼쳐진다.

갤러리들은 각기 다른 코스에서 펼쳐지는 다양한 매치플레이라는 점, 그리고 도저히 짝을 이룰 수 없을 것 같은 두 선수의 매치플레이라는 점 때문에 열광한다. 비록 승패가 결정되는 경기는 아니지만, 선수들은 각기 자기 나름대로의 플레이를 펼쳐보이며, 갤러리들은 각기 나름대로의 관점으로 유심히 경기를 관전한다. 때때로 이런 생각에 잠기면서.

"내게 보다 유의미한 코스는 어디일까? 그 코스에서 나는 어떤 경기를 펼칠 수 있을까?"

'그들'을 통해 '나'를 들여다보게 하는, 이 시대 남자들의 삶에 대한 질문들
저자는 자신이 이런 '매치플레이 대회'를 개최하는 보다 은밀한 이유를 다음과 같이 말한다.

"어느 나른한 오후에 커피 한 잔을 뽑아들고 사무실 창 밖을 내다보다가 '내가 젊었을 때 바라던 삶이 이런 건 아니었는데…' 하는 생각에 문득 삶의 쓸쓸함을 한번쯤 경험하지 않은 남자가 어디 있으랴."

하지만 남자들은 아직 그 쓸쓸함에 대해 자신에게조차 솔직한 질문을 던져보지 못했다. 아니 어떤 질문을 던져야 할지도 모르고 있다. '당신은 당신 자신을 얼마나 잘 아나요?' '당신은 진정 소신 있는 남자인가요?' '당신에게도 있을 열등의식은 어떤 종류죠?' '당신의 인간관계는 성공적인가요?' '당신에게 직업이란 무엇인가요?' '당신에게도 자유의지란 게 있나요?' '혹시 피해의식에 사로잡혀 있지는 않나요?' '재능 있는 사람이 그렇게도 부러운가요?' '변화의 시대라는데, 도대체 어떻게 변하라는 걸까요?' '당신 안에 또다른 당신이 보이나요?'

저자의 질문은 아프다. 하지만 저자는 독자에게 해답을 주진 않는다. 단지 각 질문에 나름대로 답하고 있는 몇 남성들의 모습을 보여줄 뿐이다.

"나는 성공한 남자들의 삶을 현미경을 통해 살펴보면서 그들의 삶이 평범한 이 시대의 많은 남자들, 바로 당신의 삶과 질적인 차이가 있지 않다는 결론을 갖게 되었다. 당신의 열등감이 이건희 회장의 열등감과 근원적으로 다르지 않으며, 김윤식 교수의 외곬 기질 속에서 당신의 한 얼굴을 볼 수 있을지 모른다. 검정 선글라스를 쓰고 찍은 사진 속의 당신에게 JP식의 무한한 낭만이 깃들여 있음을 느낄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런 의미에서 이 글은 성공한 남자들의 특별한 삶에 대한 글이 아니며, 그 안에서 우리 모두의 일상적 삶을 반추하는 하나의 연결고리를 발견할 수 있을지도 모른다. 그렇다면 정말 좋겠다. 그게 이 글의 진짜배기 목적일 테니까."
  •  쿠폰은 결제 시 적용해 주세요.
1   700
뒤로 앞으로 맨위로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