첫 번째 소설 1888?파제노 혹은 낭만주의
빌헬름 2세가 즉위한 해인 1888년 베를린을 무대로 한 귀족 요아힘 폰 파제노의 이야기를 그리고 있다. 그는 제복, 즉 군복으로 상징되는 구가치를 고수하는 인물이다. 둘째 아들로 태어난 파제노는 장남은 가계를 잇고 다른 아들은 장교가 되어야 하는 당시의 관습에 따라 사관학교에 입학한다. 처음엔 이런 관습을 부조리하게 여기다가 차츰 그 가치를 받아들이게 된 그는 사랑이 없는 인습적 결혼, 군복으로 대표되는 질서의 삶과, 군복을 벗고 사업계에 투신한 베르트란트, 술집 여급이자 자신의 정부인 루체나로 대표되는 무질서의 삶 사이에서 방황하다가, 결국 고향의 장원으로 돌아가 부모님이 정해 준 엘리자베트와 결혼함으로써 구가치를 고수하는 〈방어적인 낭만주의〉를 보여 준다.
두 번째 소설 1903·에슈 혹은 무정부주의
사회주의 운동이나 노동조합의 스트라이크가 전개되던 시기를 배경으로 한 회계사 에슈의 이야기이다. 전형적인 소시민인 에슈는 아무 잘못이 없는데도 해고를 당하지만, 정작 자기를 해고하고 수많은 비리를 범한 넨트비히에게 복수하지 못하고 그에게 새 직장을 구하기 위한 추천서를 써달라는 아쉬운 부탁을 하며 불의에 타협하고 만다. 그는 친구 가이링이 노동조합에서 활동하다가 억울하게 잡히고 구금된 것을 보고, 그 책임이 기업가인 베르트란트에게 있다고 생각하고 그를 살해할 계획을 품고 그의 별장에 찾아가지만, 살해 계획을 성사시키지 못한다. 그러고는 식당을 운영하는 헨트옌 어머니와 결혼하고, 한때 자유에 대한 동경으로 미국에 대한 환상을 품기도 하고 여자 레슬링 경기에 투자하기도 하지만 모두 실패하고 고향 룩셈부르크에서 회계사로 정착하며 살아간다. 그는 자유를 동경하며 폭력으로 세계를 변화시킬 수 있다고 믿는 일종의 무정부주의자였다가, 자기가 시도하는 구원은 죽음을 통해서가 아니라 새로운 삶은 통해서라는 걸 깨닫는 과정을 거치지만, 불임의 헨트옌 어머니와 결혼하고 미국 이민의 계획을 포기하는 결말은 결국 그의 신비주의적 구원관 역시 시대에 적합하지 않음을 보여 준다.
세 번째 소설 1918·후게나우 혹은 즉물주의
제1차 세계 대전이 진행 중인 무렵 탈영병인 후게나우의 이야기를 그리고 있다. 그는 당시의 가치 붕괴 상황을 가장 잘 대표하는 인물로, 가치와 무관한 사람으로 살지만 〈시대에 적합한 아들〉로서 인정을 받고 경제적인 성공을 거두기도 한다. 그는 낡은 도덕적 가치는 전혀 개의치 않는 인물로, 전쟁에 대한 회의보다 이기적인 동기에서 탈영을 하고, 심지어 부를 창출할 수 있는 기회이기 때문에 전쟁에 동의하기도 한다. 사회주의자들을 혐오하다가 그들이 정치적으로 우세하자 그들과 결탁하는 기회주의자의 모습을 보여 주기도 하며, 평화 조약이 체결된 후 고향에 정주하게 되었을 때는 재산의 이익 때문에 신교로 개종하기도 한다. 이 인물은 당시 개개 영역을 포괄할 수 있는 절대 가치의 결여를 대표적으로 보여 주는데, 이를 브로흐는 〈즉물주의〉라고 부르기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