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비에 싸인 패노니카 드 쾨니그스워터 남작부인을 오늘날 조금이라도 기억한다면 전설적인 재즈 뮤지션 두 명의 죽음과 가까웠기 때문일 것이다. 1955년 찰리 파커는 5번가 패노니카의 자택 소파에서 사망했고, 27년 후 텔로니어스 멍크는 패노니카의 뉴저지 자택에서 수년간 은둔 생활을 하다가 사망했다.
두 뮤지션의 죽음으로 남작부인은 타블로이드 헤드라인의 즉각적인 표적이 되었고, 오랫동안 구설수에 오르내렸다. 하지만 1988년 사망할 때까지 재즈인들의 친구이자 관대한 후원자로 재즈를 수호했던 그녀에 관한 이야기는 재즈계 외에는 거의 아무도 알지 못했다.
로스차일드 가문의 상속녀였던 그녀는 수많은 재즈 뮤지션들에게 자신의 집을 작업실과 심지어는 숙소로 제공했으며, 일자리를 구하지 못한 재즈 뮤지션들의 생활비를 묵묵히 지불해 주었다. 뉴욕 공연에 운전기사를 대절해주고, 일종의 인종적 보호자로서 함께 투어를 다녔으며, 흑인이라는 이유로 뮤지션들을 이용한다고 생각되는 사람에게는 정면으로 맞서는 것으로도 유명했다.
색소포니스트 소니 롤린스는 전화 인터뷰에서 "나는 항상 그녀를 모차르트나 바그너 시대의 위대한 왕실 후원자들에 비유했습니다."라고 말했다. "하지만 그녀는 결코 자신의 행적을 드러내려하지 않았어요. 저는 재즈계에서 알고 지낸 사람들에 대해 공개적으로 이야기하지 않으려고 합니다. 하지만 남작 부인에 대해서는 한 마디 해야겠어요. 그녀는 우리 음악을 정말 사랑했어요."
1950년대 초 뉴욕 재즈 클럽에서 처음 등장한 남작부인은 까마귀 머리에 긴 담뱃대까지, 마치 필름 느와르의 사이렌처럼 등장했고 그녀는 비밥 시대의 혁명가인 음악계의 거장들과 우정을 나누며 그들의 뮤즈가 되었고 찰리 파커, 디지 길레스피, 마일스 데이비스, 텔로니어스 몽크 등 수많은 음악가들과 함께했다. 그녀의 저명한 가족은 오랫동안 그녀에 대한 이야기를 거부해 왔다. 하지만 이제 새로운 책, *“재즈 거장들의 세가지 소원”은 그녀의 사생활을 들여다볼 수 있는 창을 제공하며, 그녀의 재즈 지인들조차 알지 못했던 세부들을 드러낸다.
- 뉴욕타임즈
아름다운 책이다. 물론, 이 책이 품은 아름다움에 젖으려면 책 속으로 뛰어들어 그 속살을 느껴야 한다. 겉만 봐선 짐작하기 어렵다. 예술서로서, ‘재즈 거장들의 세 가지 소원’은 경이롭다. 이런 예술서는 전무(前無)했으며 후무(後無)할 것이다.
이 책을 번역하고, 서문 ‘니카의 집을 방문했을 때’를 쓴 황덕호 재즈 칼럼니스트의 안내로 ‘재즈 거장들의 세 가지 소원’을 간추려본다. 패노니카 드 쾨니그스워터(1913~1988)라는 여성이 살았다. 런던 태생이며 로스차일드 가문의 직계 자손이자 상속녀이다. 로스차일드 가문의 재력·명성·영향력은 상상조차 하기 힘들 만큼 큰 것으로 잘 알려져 있다. 패노니카는 젊은 시절 프랑스 레지스탕스의 일원으로서 주로 아프리카 지역에서 나치에 저항했다. 패노니카는 1950년대 뉴욕으로 이주한다.
뉴욕에서 ‘패노니카 드 쾨니그스워터 남작 부인’은 니카로 통하며, 재즈 음악인의 소탈하고 소중한 친구가 되고 재즈 음악계의 중요한 후원인이 된다. 그가 사들여 가꾼 ‘캣하우스’는 당시 뉴욕 재즈 음악인의 보금자리이자 성지가 된다. 재즈가 예술로서 폭죽처럼 꽃 피던 시기였다. 그때 재즈 음악가는 대부분 흑인이었다. 흑인은 인종차별에 시달렸다. 재즈는 아직 ‘예술’로서 위상이 확고히 서지 못했다. 유럽에서 온 백인 귀족 갑부 여성이 흑인 재즈 음악가들과 더없이 친밀하게 지내며 후원인으로 활동하는 건 눈길 끄는 일이었다.
이런 배경에서 이 책에 실린 놀랍도록 자연스럽고 평범한 재즈 음악가 사진이 탄생했다. 패노니카는 오랜 기간 폴라로이드 카메라로 재즈 음악가들 모습을 가장 자연스럽게 찍었다. 패노니카가 아니라면 접근할 수도, 찍을 수도 없는 장면이다. 평범하고 사적이며 그래서 희귀하고 영감 넘치는 재즈 음악가 사진을 이 책은 풍성하게 실었다. 정색하고 찍은 앨범 재킷이나 홍보 사진과는 완전히 다르다. 이 책을 전무후무로 표현하는 첫 근거다.
패노니카는 1961~1966년 편한 자리에서 재즈 음악인 300여 명에게 “세 가지 소원”을 묻고 답을 모았다. 모아 놓고 보니 이 답변은 엄청난 가치를 생성했다. 예술가의 내면·욕구·이상, 이들이 처한 사회 상황을 절묘하게 알려주기 때문이다. 어떤 답변은 죽비처럼 빛나고 어떤 소원은 속되다. 재즈 음악인을 넘어 모든 예술가의 내면을 폴라로이드 카메라처럼 보여준다. 조선 후기로 돌아가, 높은 예술성에 도달한 국악 시나위 연주단 구성원에게 마이크를 들이대고, ‘내 예술, 내 삶, 내 바람, 사회에 하고 싶은 말’을 수집한 듯한 기분도 들었다. 이들 음악가의 답변을 통해 재즈의 속살이 손에 잡히고, 당시 사회가 보인다. ‘전무후무’의 두 번째 근거다.
- 국제신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