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검색을 사용해 보세요
검색창 이전화면 이전화면
최근 검색어
인기 검색어

소득공제
복사뼈
베스트
프랑스소설 top100 1주
가격
17,500
10 15,750
YES포인트?
870원 (5%)
5만원 이상 구매 시 2천원 추가 적립
결제혜택
카드/간편결제 혜택을 확인하세요

이미 소장하고 있다면 판매해 보세요.

  •  국내배송만 가능
  •  최저가 보상
  •  문화비소득공제 신청가능

상세 이미지

책소개

목차

1장
2장
3장
4장
5장
6장
7장
8장
9장
10장
11장
12장
13장
14장
15장

알베르틴 사라쟁 소개
옮긴이의 말
편집 후기

저자 소개2

알베르틴 사라쟁

관심작가 알림신청

Albertine Sarrazin

알제리 알제에서 출생하여 프랑스 몽펠리에에서 사망했다. 태어나자마자 사회 복지 시설에 맡겨진 알베르틴은 두 살 때 아이가 없는 노부부에게 입양되었다. 알베르틴은 열 살 때 양부의 형제에게 강간을 당했다. 중학교에 입학하면서 우등상을 여러 번 받은 그녀는 중산층 가정에서 엄격한 교육을 받으며 자란다. 1952년 양부는 규율을 지키지 않는다며 고등학생이 된 알베르틴을 청소년 교정 시설인 ‘봉 파스퇴르’로 보낸다. 알베르틴은 그곳에서 한 여학생과 끈끈한 우정을 맺게 되고, 1953년 첫 번째 대입 시험이 있던 날, 그 친구와 함께 파리로 도망친다. 알베르틴은 파리에서 수많은 연애를 하
알제리 알제에서 출생하여 프랑스 몽펠리에에서 사망했다. 태어나자마자 사회 복지 시설에 맡겨진 알베르틴은 두 살 때 아이가 없는 노부부에게 입양되었다. 알베르틴은 열 살 때 양부의 형제에게 강간을 당했다. 중학교에 입학하면서 우등상을 여러 번 받은 그녀는 중산층 가정에서 엄격한 교육을 받으며 자란다. 1952년 양부는 규율을 지키지 않는다며 고등학생이 된 알베르틴을 청소년 교정 시설인 ‘봉 파스퇴르’로 보낸다. 알베르틴은 그곳에서 한 여학생과 끈끈한 우정을 맺게 되고, 1953년 첫 번째 대입 시험이 있던 날, 그 친구와 함께 파리로 도망친다. 알베르틴은 파리에서 수많은 연애를 하고, 매춘을 하고 좀도둑질을 했다. 두 소녀는 무장한 채 상점을 습격하려다 체포되었고, 알베르틴은 7년 형을 선고받는다. 그때 그녀의 나이는 열일곱이었다.

1957년 4월 19일, 알베르틴은 탈옥을 하려고 교도소 담벼락 위에서 뛰어내리다가 복사뼈가 부러진다. 이 사건이 작가의 문학계 데뷔작인 『복사뼈』의 토대가 된다. 1965년, 『복사뼈』와 『도주』가 같은 출판사에서 동시 출간된다. 작품은 대성공을 거둔다. 『복사뼈』는 1966년 스페인어와 영어로 번역된다. 알베르틴 사라쟁은 또 다른 자전소설 『샛길』(1966)을 쓴다. 알베르틴이 남편 쥘리앵 사라쟁을 만난 것은 감옥에서 탈옥한 직후 길 위에서였고, 둘은 1959년에 결혼한다. 1964년, 두 사람은 세벤 지방의 작은 집에 정착한다. 1967년 7월, 알베르틴은 프랑스 몽펠리에의 한 병원에서 신장 수술을 받기 전 마취약 과다로 사망한다.
성신여자대학교에서 불문학과 영문학을 전공하고, 이화여자대학교 통역번역대학원 한불번역과를 졸업했다. 주한프랑스대사관·주한프랑스문화원 등의 공공기관과 교육, 영상, 문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의 번역 경험을 바탕으로 현재 바른번역 소속 전문번역가로 일하고 있다. 옮긴 책으로 《만화로 보는 올림픽 세계사》 《만화로 보는 결정적 세계사》 《지도로 보아야 보인다》 《누가 나르시시스트일까?》 《책읽기, 무엇에 좋은 것일까?》 《환경 슈퍼히어로 태오》(시리즈) 《벨기에 에세이》 《우편엽서》 등이 있다.

이수진의 다른 상품

품목정보

발행일
2024년 09월 10일
쪽수, 무게, 크기
252쪽 | 130*210*20mm
ISBN13
9791192004235

출판사 리뷰

범죄인의 사랑의 소설, 그리움의 소설

프랑스 비평가들은 사라쟁 개인적 경험의 다채로운 에너지와 그녀가 그것을 소설로 쓴 생생하고 자신감 있는 방식에 깊은 감명을 받았다. 『복사뼈』가 베스트셀러에 오르고 작가가 텔레비전에 등장하면서 그녀는 빠르게 대중적 인물이 되었다.

『복사뼈』는 사라쟁의 짧은 삶에서 초기 단계를 배경으로 한다. ‘복사뼈’라는 제목은 사라쟁이 감옥에서 약 10미터 높이의 성벽에서 뛰어내리는 탈옥 중 실제로 부러진 복사뼈에서 따왔다. 도둑질을 하고 수감되어 탈옥을 결심, 탈출 과정에서 복사뼈가 부러진 한 소녀의 이야기에서, 주인공 ‘안’의 길은 평생의 사랑이 될 ‘쥘리앵’의 길과 교차한다. 그녀처럼 그 또한 감옥의 언어를 구사하고, 그는 그녀를 추적하는 당국으로부터 도망치도록 도울 것이다. 은신처에서 은신처로, 만남에서 만남으로, 도망치는 미성년자 ‘안’은 자신의 자유를 위해 모든 대가를 치르고 싸운다.

소설은 내내 붙잡힐까 봐 두려워하고, 감옥에 대한 기억을 떠올리고, 숨은 은신처에서 느끼는 여러 감정과 부러진 다리를 끌고 나아가는 불구의 삶을 실제 경험에 비추어 그린다. 병원에 드나들며 다친 다리로 절뚝거리며 다니는 ‘안’이 매춘의 삶에 빠지고 절망에 빠질 때마다 삶을 지탱해주는 정신적 피난처는 바로 구원자이자 사랑 ‘쥘리앵’이다.

그 덕분에 그녀는 다시 걸을 수 있다. 하지만 그녀의 연인이 된 그는 기다려도 주변에 없고, 그녀를 여러 친구들에게 숨겨주며 둘의 관계는 평행선을 타게 된다. 그녀가 신체적 부상으로 고통받지만, 그녀가 정말로 아픈 것은 그를 그리워하는 것, 사랑 때문인 것이다.

이 소설은 주요 페미니스트 작품으로 찬사를 받는 동시에 보편적인 호소력 또한 지녔다고 평가받으며 대중의 관심을 이끌어냈고, 백만 부가량 팔렸다. 『복사뼈』는 출간 다음 해 스페인어와 영어로 번역되었으며, 1969년과 2015년 두 번에 걸쳐 영화화되었다.

그녀는 파리 거리를 걷고 프랑스 전역을 달린다. 수배 중이고, 자유의 모든 순간이 마지막일 수 있으며, 지나치는 모든 얼굴은 그녀를 반역죄로 취급하지만, 이 걸음, 매춘, 외로움, 기다림, 도사리고 있는 위험 또한 쥘리앵을 찾을 때까지 계속 살아갈 수 있는 방법이다. 탈출에서부터 도주 생활에 이르기까지, ‘안’이 선택한 범죄와 매춘을 통해 드러나는 작가의 문제적 세계관은 1950-60년대 후반의 보수적인 프랑스와 대조된다.

극단에 대한 열정, 자유를 향한 사랑, 청춘에 대한 열기가 그녀를 영원히 현대적인 주인공으로 만드는 젊은 여성의 초상화이다. 사라쟁은 어떤 것에도 속하지 않고, 그녀 자신에게 속한다는 것을 『복사뼈』는 보여준다. 그녀는 그녀의 세계, 그녀의 땅, 그녀만의 행성이다. 후에 완전히 날아올라 폭발할 불타는 행성이다.

자유를 향한 길, 알베르틴 사라쟁(Albertine Sarrazin)

1937년 알제에서 태어나 17개월에 연로한 부부에게 입양된 사라쟁. 입양은 행복하지 않았다. 사라쟁은 열 살 무렵 양부의 형제에게 성폭행을 당한다. 양부모와의 관계는 나빴고 부모는 입양을 취소함으로써 그녀와의 공식적인 관계를 끝내기로 한다. 그리고 그녀의 아버지는 반항적인 면모를 이유로 들어 딸을 청소년 교정 시설에 보낸다. 사라쟁은 졸업 시험을 치르는 기회에 파리로 도망간다. 사라쟁은 교정 시설에서 만난 친구와 재회하고 둘은 무장 강도를 저지른다. 그들은 체포되었고 사라쟁은 7년 형을 선고받는다.

사라쟁은 감옥에서 글쓰기에 매진한다. 7년 형기 중 4년의 수감 생활을 보내고 사라쟁은 교도소에서 탈출한다. 탈옥 중 그녀는 발목이 부러졌지만, 교도소를 지나가던 트럭 운전사 쥘리앵 사라쟁이 그녀를 구해낸다. 이 우연한 사건, 이 기적적인 만남은 알베르틴 사라쟁의 문학과 인생에 분수령이 된다. 쥘리앵은 이미 베테랑 범죄자였고, 이제 두 사람은 함께 강도로 살아간다. 그들은 또 범행을 저질러 그 후 2년 동안 각자 감옥에서 복역한다. 1959년 2월, 쥘리앵이 일시적으로 풀려났지만 사라쟁은 여전히 수감되어 있었고, 그들은 결혼한다. 사라쟁은 결혼식에 참석하기 위해 경비원의 호위를 받으며 교도소를 잠시 떠날 수 있었다.

『복사뼈』는 ‘안’의 이야기이자 결국에는 작가 사라쟁의 고백록이다. 교도소에서 탈출하여 파리 거리로 나가 끝내 매춘부이자 도둑으로 살아간다. 십 대 때 무장 강도 혐의로 처음 체포된 이후 작가의 마지막 복역은 1964년 위스키 한 병을 훔친 혐의로 4개월 형을 선고받은 것이었다. 사라쟁은 그 모든 일을 겪으며 글을 썼다. 청소년기 내내, 사랑을 하며 버림을 받으며, 감옥 안팎에서 그녀는 계속 글을 썼다.

추천평

“『복사뼈』는 사실과 허구를 융합한 뼈이다.”
“알베르틴이 나의 가이드가 아니었다면, 나는 그녀와 똑같은 위풍당당함으로 나 자신을 이끌 수 있었을까, 아니면 그런 여성적 결의로 역경에 맞설 수 있었을까? 『복사뼈』가 나의 가이드북이 아니었다면, 나의 젊은 시들이 그렇게 날카로운 언어를 가질 수 있었을까?” - 패티 스미스 (뮤지션,작가)
“사라쟁의 경력은 비극적으로 끝났을지 모르지만, 그녀의 유산은 오늘날까지도 독자들이 발견하고 있는 소설을 남겨주었다.” - 팝매터스(PopMatters)
“사라쟁은 (범죄인 이력으로 잘 알려진) 트임 치마를 입은 장 주네(Jean Genet), (포르노그래피를 대담하게 다룬) 메이크업을 한 비르지니 데팡트(Virginie Despentes)이다.” - 필리프 베송 (작가)
“스타일리스트로서의 진정한 재능.” - 앙리 페르(Henri Peyre) (언어학자, 교수, 문학학자)
“감옥 글쓰기에서 새로운 문학적 방향을 향한 날카로운 전환.”
“사라쟁은 사회적으로 부과된 정체성을 거부하는 여성의 중요한 사례이다.”
“그녀에게 완전히 성숙할 시간이 허락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그녀의 작품은 그녀의 미숙한 인생 경험에 확실한 형태를 부여하고, 인상적인 문학적 정교함과 독창성을 만들어냈다.” - 엘리사 겔판드(Elissa Gelfand) (작가)
“그녀의 글쓰기에서 가장 눈여겨볼 만한 특징은 그녀의 억누를 수 없는 낙관주의일 것이다.” - 마거릿 크로스랜드(Margaret Crosland) (작가)

리뷰/한줄평0

리뷰

첫번째 리뷰어가 되어주세요.

한줄평

첫번째 한줄평을 남겨주세요.

15,750
1 15,7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