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 소장하고 있다면 판매해 보세요.
|
머리말: 공놀이는 어떻게 스포츠가 되었을까 8
1. 공놀이의 탄생 최초의 공놀이 한반도의 공놀이 돼지 오줌보 축구 이야기톡: 고무에 미친 사람 2. 고대와 중세의 공놀이 달리기와 레슬링을 좋아한 고대인 칼싸움과 창 싸움을 좋아한 중세인 수도원에서 시작된 공놀이들 이야기톡: ‘해리 포터’의 퀴디치 3. 공놀이와 근대 근대 축구의 탄생 나라인 동시에 세계인 영국 죄드폼과 테니스 이야기톡: 조선의 야구 왕이자 축구 왕, 이영민 4. 공놀이와 미국 유럽의 공놀이들, 야구로 재탄생하다 YMCA에서 발명한 농구, 배구, 피구 이야기톡: 한국 야구의 역사 5. 공놀이와 전쟁 엘살바도르?온두라스 축구 전쟁 미국과 중국의 핑퐁 외교 남한과 북한, 한 팀이 되다 이야기톡: 아일랜드 감자 기근 6. 공놀이와 민주주의 전두환 독재 정권과 스포츠 저항의 상징, FC 바르셀로나 이야기톡: 한국의 프로 스포츠 7. 공놀이와 자본주의 미국 최대 이벤트, 슈퍼볼 나날이 커 가는 스포츠 산업 수익을 위해 경기 시간을 줄이다 이야기톡: 스포츠 팬으로 산다는 것 맺음말: 논다는 것 162 참고 문헌 170 그림 출처 171 교과 연계 173 |
축구, 농구, 야구, 배구, 테니스, 볼링, 골프, 배드민턴……
공놀이의 역사로 보는 인류 문명 인류는 문자가 발명되기도 전부터 공을 차고, 치고, 던지며 놀았다. 여러 사람과 더 재미있게 즐기기 위해 규칙을 계속 바꾸었고, 이를 통해 세계 곳곳에서 다양하게 발전한 공놀이는 각종 구기 종목으로 자리 잡았다. 주로 여럿이 협력해서 경쟁하는 형태로 이루어지는 구기 종목은 특히 근대 사회에 이르러 급격하게 발전했다. 그래서 공놀이의 역사를 보면 인류 문명의 발전 과정을 알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민주주의, 민족주의, 자본주의, 계몽주의 등으로 설명되는 근대적 특징도 분석할 수 있다. 1장 ‘공놀이의 탄생’ 인류 최초의 문학 《길가메시 서사시》, 고대 이집트 벽화, 마야 문명 유적지, 삼국 시대 기록이 담긴 《삼국유사》와 《화랑세기》, 송나라 시대의 《축국도보》 등에서 공놀이의 흔적을 찾아 기원을 추적한다. 2장 ‘고대와 중세의 공놀이’ 고대와 중세에 공놀이가 성행하지 못한 이유를 설명한다. 달리기, 레슬링 등 맨몸으로 겨루는 운동만 중요시한 고대 그리스인, 운동 자체를 비판적으로 본 중세 교회와 군사력 증진에 도움이 되는 운동에만 관심을 둔 중세 봉건 귀족의 이야기가 담겨 있다. 3장 ‘공놀이와 근대’ 시민혁명으로 중세 질서가 무너지고 개인주의, 민족주의, 자본주의, 계몽주의 등 새로운 사상이 탄생해 근대를 이루는 과정에서 발전한 근대 축구와 테니스의 역사를 살펴본다. 4장 ‘공놀이와 미국’ 유럽에서 이민자들이 모여든 17~19세기 미국에서 만들어진 공놀이들을 소개한다. 야구, 농구, 배구, 피구의 탄생과 발전 과정을 알 수 있다. 5장 ‘공놀이와 전쟁’ 세계 평화를 기원하는 뜻에서 시작된 근대 올림픽, 축구 때문에 생긴 갈등이 국가 간 전쟁으로 비화한 엘살바도르?온두라스 축구 전쟁, 냉전 시대를 끝낸 미국과 중국의 핑퐁 외교, 남북한 단일 탁구 팀의 탄생 등 공놀이에 얽힌 전쟁과 평화를 이야기한다. 6장 ‘공놀이와 민주주의’ 쿠데타로 정권을 잡은 전두환이 스포츠를 어떻게 독재에 이용했는지, FC 바르셀로나가 어떻게 독재자 프랑코에 대항하는 카탈루냐인들의 버팀목이 되었는지 설명한다. 7장 ‘공놀이와 자본주의’ 미국 최대 이벤트로 자리매김한 슈퍼볼과 월드 시리즈를 중심으로 오늘날의 스포츠 산업 규모를 살펴보고, 수익을 위해 경기 시간을 줄이는 스피드 업 캠페인 등 스포츠가 경제 논리의 규제를 받으며 어떻게 바뀌고 있는지 이야기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