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 소장하고 있다면 판매해 보세요.
프롤로그
1장 때로는 불안이 내 몸을 덮쳐도 - 삶을 견디게 하는 불안 불행이 나를 집어삼키지 않도록 세상이 종말을 앞두고 있을지라도 은하철도에 몸을 싣게 되면 뜻밖의 보호자 세 개의 삶 전쟁이야, 전쟁 2장 그토록 수많은 사소함 속에서 - 삶을 견디게 하는 보통의 것들 말 안 듣는 어른 뜻밖의 방향으로 흘러가는 삶이란 세상 어디든 교양 없는 사람은 있기 마련이고 우리는 어디론가 떠나야 하고, 떠나온 곳을 그리워하고 어른의 조건 똥인지 된장인지 알지는 못해도 3장 반짝이는 삶까지는 아니라 해도 - 삶을 견디게 하는 용기 모든 게 괜찮을 거라는 거짓말 보랏빛 노을이 하늘을 뒤덮을 때 빠르지 않게 그러나 너무 느리지도 않게 상대의 삶을 위로하는 의외의 방법 우리는 지금, 어디에 있어? 이토록 창백하고 작은 무대 위에서 4장 그럼에도 내 심장은 두근거리고 - 삶을 견디게 하는 기쁨 충분히 푸르고 젊은 당신 마치, 돌에 새겨진 글씨처럼 한순간에 바뀌어 버리는 인생이란 죽기 전에 한 번쯤은 짓고 싶은 표정 내일 망해버릴 세상에도 기적은 있으니 내 곁에 있어 줘 5장 그렇게 오늘도 특별해지고 있어 - 삶을 견디게 하는 특별함 내가 경험한 처음의 기적이 있다면 드루와, 드루와 가끔 너무 힘들어서 잠만 자고 싶다면 생각하라, 저 등대를 지키는 사람을 지난날을 회한 없이 그리워하며 찰나에 흩어지는 순간들을 마주하며 에필로그: 내 인생의 지표 |
저방종우
관심작가 알림신청방종우의 다른 상품
“너희의 여정은 결코 쉽지 않을 거야. 그곳은 변수가 많은 곳이거든. 아마 고생을 좀 해야 할 거야. 하지만 괜찮을 거야. 다 괜찮을 거야.”
“나에게 삶이란 그런 것이다. 통증이 있지만 기적 같은 일들이 벌어지리라는 믿음. 그래서 인생은 퍽 낭만적인 것이 아닐 수 없다.” “우리는 지금 어디에 있어? 그럴 때는 ‘그냥, 흘러가는 대로 가보자’라는 말로 스스로를 다독인다. 그러니깐 오늘도 내일도, 흘러가는 대로 가보자. 너무 거창할 것 없이.” “내 곁에 있어 줘, 내 곁에 있어 줘. 그래야 나의 평범한 하루에 의미가 생겨.” “나는 이별에 아쉬워하고 새로운 만남에 기뻐하며 하루하루를 보내겠지. 그렇게 나는 찰나에 흩어지는 순간들을 마주하며 또 다른 누군가가 되어 가고 있다." ---본문중에서 |
신부님은 늘 행복하시죠?
그럴 리가요… ★ 염세주의자 소년에서 문학청년, 신학대학 교수로! ★ ★ 유머와 통찰이 함께하는 자전적 에세이이자 특급 위로 레시피! ★ 사제의 일은 치과의사와 비슷하다 매일 사람들의 고통을 대면하는… 방종우 신부는 사제가 하는 일과 가장 비슷한 직업이 치과의사라고 믿는다. 그들이 만나는 사람들은 대부분 찡그린 표정이고, 그들이 하는 말은 거의 고통에 대해서이므로. 시술과 약을 줄 수 있는 치과의사가 아니기에, 사제는 늘 어떻게 해야 진짜 위로가 될지를 고민한다. 가장 흔한 위로인 “괜찮아”는 위로일까, 거짓말일까? 이 책의 저자는 고통받는 이들에게 더 이상 위로하지 않겠다고 결심한다. ‘괜찮아’라고 하든 ‘넌 할 수 있어!’라고 하든 ‘넌 사랑받기 위해 태어난 사람이야’라고 하든 고통이 줄어들지 않기는 마찬가지 이기 때문이다. “행복하지 않지만 불행한 건 아니야, 난 행복에 계속 가까워지고 있단다!” 어느 날 신자들이 묻는다. “신부님은 늘 행복하시죠?” 신부는 대답한다. “아닌데, 나도 힘들고 괴로운데.” 신자들의 눈이 휘둥그레진다. 이 책의 저자가 노린 ‘위로의 틈새’가 이 지점인 듯하다. 우리 모두는 힘들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살아가야 한다는 것은 성직자이든 아니든 모두에게 해당되는 삶의 진리이므로. 방종우 신부는 ‘나도 괜찮지 않다’라는 솔직한 고백이 누군가에겐 위로가 될 수 있음을 깨닫는다. 그것도 하느님에 대한 사랑을 서약한 사제의 사소하고 평범한 고백이라니 그 강도는 더 커지는 셈이다. 그는 ‘행복하지 않은 것이 불행한 것은 아니며, 자신은 행복에 계속 가까워지고 있다’라고 단언한다. 불안, 기쁨, 용기, 평범하거나 특별한 것들이 삶을 견디게 해준다! 삶은 불행의 연속처럼 보이지만 선물 같은 순간이 모이면 꽤나 그럴듯한 삶이 만들어진다. 불안했고 고통스러웠고 별 볼 일 없었던 평범한 일상이지만, 그 사이에 보석처럼 박힌 기쁨과 용기 충만한 순간, 영혼에 새겨진 특별한 시간들이 누구에게나 존재한다. 지극히 사소하지만 떠올리는 순간 마음이 따스해지는, 피식 웃고 돌아서서 일상을 이어 나가게 해주는 그런 것들이 삶을 견디게 해주는 것이다. 방종우 신부의 지극히 사적인 위로, “나의 사소한 고백이 당신의 평안이 되길!” 어렸을 때 이름 모를 병으로 아팠고(어머니의 기도로 기적처럼 지나갔다), 그 일을 계기로 자의인지 타의인지 그 중간쯤인지 사제의 길을 걷게 되었고, 사춘기 때는 염세주의자였고(문학청년을 꿈꿨다), 생각도 못했던(심지어 전공도 아니었다) 윤리신학이란 학문을 전공하게 되었고, 이탈리아어를 거의 하지 못하는 상태에서(죽을 맛이었던) 로마 유학길에 올랐고, 어찌어찌 시간이 흘러 신학대학의 교수가 되었다. 그는 이 책을 통해 살아온 고비마다 쓸쓸함, 황망함, 주저함이 늘 함께했지만 삶은 흘러가고, 그렇게 견디며 함께 나아가다 보면 어쩌면 행복에 닿을지도 모른다는 통찰을 전해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