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 소장하고 있다면 판매해 보세요.
작가의 말 읽고 싶은 책, 마음껏 빌려 가세요!
여는 말 세종책방 회원을 모집합니다 1장 세종책방 1호 회원 책냥이 독서 길라잡이① 목표 세우기 2장 아니, 저건 《구소수간》? 책냥이 독서 길라잡이② 천천히 반복해서 읽기 3장 용의 정체를 밝혀라 책냥이 독서 길라잡이③ 질문하며 읽기 4장 신라의 일식과 백제의 일식 책냥이 독서 길라잡이④ 사실적으로 읽기, 추론하며 읽기, 비판적으로 읽기 5장 임금의 독서 책냥이 독서 길라잡이⑤ 융합 실용 독서 닫는 말 나만의 독서법 책냥이 독서 길라잡이⑥ 독서 습관 만들기 더 알아보기 《세종실록》으로 만나는 ‘독서왕’ 세종 |
글정성현
관심작가 알림신청정성현의 다른 상품
그림리노
관심작가 알림신청리노의 다른 상품
“음, 사실 나는 어른들이 책을 읽으라고 하는 게 정말 싫었어. 오늘도 책 때문에 지혜라는 친구에게 심통을 부렸거든. 그런데 여기 책방에서 세종대왕 할아버지를 만나니까 책에 조금 관심 이 생겼어. 세종대왕을 더 자세히 알고 싶어졌고, 친구에게 사과하는 법도 배우고 싶어. 그리고 웃긴 책도 읽어 보고 싶어.”
--- p.29 “책 읽기는 마치 우리 학교 운동장 같아. 처음엔 흙먼지 가득한 운동장만 보이는데 계속 보다 보면 풀도 보이고, 꽃도 보이고, 개미도 보이거든. 책도 반복해서 읽다 보면 새로운 것들이 보일 거야.” --- p.49 “우리 지혜! 하나를 배우면 열을 아는구나. 맞아, 책을 그냥 훑어보듯 읽으면 아무것도 남지 않아. 세종대왕처럼 천천히, 꼼꼼히 읽으면서 의문을 갖는 태도가 필요해. 그러려면 의문 나는 점을 질문으로 만들어 보고, 다시 그 질문에 대한 답을 찾으며 읽어야 해. 그럼 책이 말하려고 하는 숨은 뜻까지 알게 될 거야.” --- p.67 “어떤 것이 맞거나 틀렸는지 알려면 지식을 정말 많이 쌓아야 한다고 생각했어요. 아무것도 모르면 판단할 수가 없으니까요. 이제 책 내용도 잘 기억하고, 글쓴이가 어떤 생각을 갖고 썼는지, 잘못된 사실은 없는지 여러 가지를 생각해 봐야겠어요. 우리 학교에 세종대왕 할아버지 위인전이 많은데, 어떤 책이 정확하게 썼는지, 혹시 잘못된 사실을 기록한 책은 없는지 비교하며 읽어 볼 거예요. 마치 탐정처럼 말이에요.” --- p.82 “아무리 책을 많이 읽어도 마음가짐이 올바르지 않다면 책은 별 도움이 되지 않을 거야. 그리고 한 권 한 권 제대로 읽어야 한다는 부담을 가지면 잘 읽히지 않아. 즐겁게 읽어야 재밌게 잘 읽을 수 있지.” --- p.98 |
내가 읽을 만한 책도 있을까?
책냥이에게 읽고 싶은 책, 마음껏 빌려 가세요! 여기는 이도초등학교, 책 읽기가 고민인 친구들에게 신기한 일이 일어났어요. 어느 날, 선생님이 책 읽기 과제를 내주었어요. 반 친구들 앞에서 자신이 읽은 책을 소개해야 했던 일자는 어떤 책을 소개해야 할지 몰라 힘들어하고 있었어요. 그때 일자의 눈앞에 세종책방이 나타났지 뭐예요. 세종대왕 시대부터 이어져 온 이 비밀 책방은 책을 진심으로 사랑하는 사람들에게만 보이는 특별한 공간이었어요. 책방지기인 고양이 책냥이는 일자에게 책 읽기의 즐거움을 알려 주어요. 그렇게 세종책방 1호 회원이 된 일자를 시작으로 지혜, 무식이, 통달이, 창조도 각자 책 읽기에 관한 고민을 안고 세종책방을 찾아옵니다. 그러면 책냥이는 아이들에게 세종대왕이 책을 읽으며 얻은 지혜로 나라를 다스리고 백성들의 삶을 바꾼 이야기를 들려주지요. 어린 세종대왕이 《구소수간》을 반복해서 읽으며 지혜를 쌓았던 모습, 신하들과 책 속 지식을 나누며 문제를 해결했던 순간들이 마치 눈앞에서 보는 것처럼 생생하게 펼쳐집니다. 실제로 세종대왕이 아이들과 만나 이야기도 나눕니다. 그 과정에서 책을 단순히 읽는 것을 넘어 질문하고 탐구하며, 세종대왕이 사랑했던 책 속의 지혜를 오늘날에도 발견할 수 있도록 돕지요. 세종대왕의 독서법을 ‘임금의 독서법’이라고 하는 이유도 여기에 있어요. 자, 그럼 이제 우리 모두 세종책방으로 가 볼까요? 세상의 모든 책, 없는 책이 없는 세종책방에서 책냥이와 세종대왕이 여러분을 기다리고 있답니다. 책을 손에서 놓지 않은 왕, 세종대왕의 비밀 ‘독서왕’ 세종대왕에게 배우는 다섯 가지 독서법 내전으로 들어가서 편안히 앉아 글을 읽으시되, 손에서 책을 떼지 않다가, 밤중이 지나서야 잠자리에 드시니, 글은 읽지 않은 것이 없으며, 무릇 한 번이라도 귀나 눈에 거친 것이면 종신토록 잊지 않았는데, 경서(經書)를 읽는 데는 반드시 백 번을 넘게 읽고, 역사책과 같은 실용 책은 반드시 서른 번을 넘게 읽고, 성리(性理)의 학문을 정밀하게 연구하여 고금에 모든 일을 널리 통달하셨습니다. _세종 32년(1450년) 2월 22일 세종대왕은 책으로 깊은 지혜를 얻고, 이를 바탕으로 나라를 다스리며 백성이 더 잘살도록 하는 데 힘썼어요. 책을 수백 번 반복해서 읽으며 그 내용을 자신의 것으로 만들고, 실생활에 지혜를 적용했던 세종대왕의 독서법은 오늘날에도 큰 가르침을 줍니다. 이 책에서는 세종대왕이 실천한 수많은 독서법 중 가장 중요한 다섯 가지를 소개해요. 1. 목표 세우기 책을 읽는 이유는 많아요. 왜 책을 읽는지 생각하면 목표가 생기고, 목표를 이루면 성취감도 느낄 수 있어요. 책을 읽는 이유, 책을 읽고 얻고자 하는 것, 책을 얼마나 읽고 싶은지 등을 생각해서 나만의 독서 목표를 세워 보세요. 2. 천천히 반복해서 읽기 한 권의 책을 여러 번 읽으며 더 깊은 이해를 얻는 방법이에요. 책을 여러 번 반복해서 읽으면 처음 읽었을 때 놓친 부분을 발견할 수 있어요. 또 책 내용을 내 것으로 만드는 데도 도움이 된답니다. 3. 질문하며 읽기 책을 읽으면서 등장인물의 행동이나 책 속 상황에 대해 질문을 던져 보세요. ‘왜 그랬을까?’, ‘어떻게 이런 결말이 나왔을까?’ 같은 질문은 사고력을 키우고 독서를 더욱 흥미롭게 만들어 줘요. 4. 사실적으로 읽기, 추론하며 읽기, 비판적으로 읽기 책을 제대로 읽으려면 세 가지를 기억해야 해요. 책 내용을 파악하며 읽고, 책에 쓰여 있지 않은 내용을 추론하며 읽고, 책 내용이 맞는지 틀린 것은 없는지 생각하면서 읽어야 해요. 5. 융합 실용 독서 책에서 얻은 지식을 실생활에 적용하는 독서법이에요. 책 속 지혜를 지금 나의 문제로 가져와서 새로운 혜안과 해결책을 찾는 데도 도움이 된답니다. 어떤가요? 이제 책을 읽고 싶은 마음과 이유가 좀 더 분명해졌나요? 이런 어린이는 조금도 망설이지 말고 세종책방으로 얼른 오세요! _책을 읽기 싫은 어린이 _왜 책을 읽는지 잘 모르는 어린이 _고민 상담을 하고 싶은 어린이 _편하게 책을 읽고 싶은 어린이 _세종대왕을 만나고 싶은 어린이 _세종대왕 독서법을 배우고 싶은 어린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