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 소장하고 있다면 판매해 보세요.
|
1. 욕망의 윤리학 - 스피노자
2. 욕망에서 이성으로 - 헤겔 3. 맹목적 의지 - 쇼펜하우어 4. 힘의 의지와 욕망 - 니체 5. 문명과 리비도의 억압 - 프로이트 6. 언어적 욕망이론 - 라캉 7. 성욕의 정치적 동원 - 라이히 8. 욕망의 과잉억압 - 마르쿠제 9. 권력과 욕망 및 주체 - 푸코 10. 유물론적 욕망이론 - 들뢰즈와 가타리 |
1. 욕망의 윤리학 - 스피노자
2. 욕망에서 이성으로 - 헤겔 3. 맹목적 의지 - 쇼펜하우어 4. 힘의 의지와 욕망 - 니체 5. 문명과 리비도의 억압 - 프로이트 6. 언어적 욕망이론 - 라캉 7. 성욕의 정치적 동원 - 라이히 8. 욕망의 과잉억압 - 마르쿠제 9. 권력과 욕망 및 주체 - 푸코 10. 유물론적 욕망이론 - 들뢰즈와 가타리 |
라캉은 가족을 상징적 관계의 구조로 파악한다. 아버지나 어머니 등 가족구성원들도 문화적 위치를 나타내는 기표들이며, 생물학적 의미의 실제적 인물과 필연적 관계는 없다. 프로이트에게 오이디푸스 단계의 아버지가 현실적 아버지였다면,라캉의 경우에는 '아버지의 이름'이 상징하는 사회문화적 규범이나 법을 뜻하는 일종의 기표이다.
오이디푸스 콤플렉스도 프로이트는 남근의 유무에 다르는 생물학적 성별차이로 환원하나, 라캉은 상징적 의미를 강조한다.이때 남근은 남자의 성기가 아니라 사회질서를 구축하는 법과 규범을 의미하는 일종의 기표이며, 거세 공포 또한 남근제거의 공포라기보다 사회적 인정의 박탈을 뜻하는 상징적 기표이다. --- p.13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