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 소장하고 있다면 판매해 보세요.
|
21세기 지구촌의 화두, 커뮤니케이션
01 커뮤니케이션을 공부하는 사람의 사명 02 전공 필수에서 교양까지, 무엇을 배우나? 03 듣기와 읽기, 말하기와 쓰기 04 세계의 커뮤니케이션 연구자들 05 PD, 기자 말고도 할 일이 너무 많다 부록 커뮤니케이션 직업 200 커뮤니케이션직업이란 무엇인가? 직업 선별 기준 직업 목록 |
저이재현
커뮤니케이션을 공부한다는 것이 단지 커뮤니케이션학을 배운다는 의미에 머물러서는 안 된다. 제도화된 분과학문의 성과를 열심히 익히고 취하되, 그것의 경계에서, 나아가 그것을 넘어서 커뮤니케이션의 의미와 방향과 목적에 관해 고민하고 탐구해야 한다. 커뮤니케이션을 공부하는 사람에게 어떤 사명이 있다면, 가장 일차적인 사명은 바로 거기에 있지 않을까? ---「1장 커뮤니케이션을 공부하는 사람의 사명」 에서
커뮤니케이션 분야에서는 실무 능력도 필요하지만 시류에 편승하거나 습속에 안주하지 않는 비판적 지성, 현실을 직시하고 변화의 흐름을 간파하는 통찰과 혜안, 연대와 협업을 원활하게 하는 공감능력을 갖추는 게 먼저다. 기초적인 토대 없이 이루어지는 전문적 심화학습은 사상누각일 뿐이다. 급할수록 돌아가라고 급변하는 시대일수록 기본에 충실해야 한다. Back to Basics! ---「5장 PD, 기자 말고도 할 일이 너무 많다」 에서 |
커뮤니케이션을 공부하는 학생들을 위한 유일한 가이드 북
커뮤니케이션학을 선택하기 전에 이 학문의 특징이나 진로를 알 수 있는 정보가 별로 없다. 선택을 하고서도 학과 선택의 근거가 부족하여 왜 공부하는지, 어떻게 하는지 막막하다. 자신의 정체성을 확인하고 구체적인 목표를 만들 수 있다. 교수 경험이 많아 학생들의 고민을 잘 아는 필진들이 집필 커뮤니케이션을 미리 공부한 선배들이 이제는 교수가 되어 학생들을 가르친 경험으로 가지고 썼다. 후배들이 무엇을 고민하고 어떤 조언과 정보가 필요한지 너무 잘 알고 있다. 공부하는 사람의 자세와 공부 방법까 지 조언한다. 주제별 대학 교과목 안내 대학에 들어가서 배우게 될 다양한 과목들을 소개한다. 과목의 목표, 배경 지식, 실제 직업과의 연관성을 알 수 있다. 공부를 위한 전체 지도를 그렸다. 세계 유명 커뮤니케이션대학과 연구소 소개 각 대륙마다 주제별로 최고의 대학과 연구소를 안내한다. 배출한 학자, 주된 연구 방향, 연구 성과 등을 알려준다. 커뮤니케이션 연구의 지평을 세계로 확장했다. 커뮤니케이션 직업 200개 수록 신문방송학과에 들어오면 피디, 기자 말고는 할 게 없다고 생각하는 학생들이 많다. 그러나 커뮤니케이션 환경의 변화로 새로운 커뮤니케이션 지식을 요구하는 직업들이 많이 생겨나고 있다. 커뮤니케이션 직업의 정의, 직업 선별 기준, 200개의 직업, 개별 직업의 내용을 알려준다. 직업에 대한 새로운 개념이 들어온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