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검색을 사용해 보세요
검색창 이전화면 이전화면
최근 검색어
인기 검색어

소득공제
나는 당신이 행복하다고 생각했습니다
톨스토이 아포리즘
가격
14,000
10 12,600
YES포인트?
700원 (5%)
5만원 이상 구매 시 2천원 추가 적립
결제혜택
카드/간편결제 혜택을 확인하세요

이미 소장하고 있다면 판매해 보세요.

  •  국내배송만 가능
  •  최저가 보상
  •  문화비소득공제 신청가능

상세 이미지

책소개

목차

본질(сущность)
자연(природа)
사랑(любовь)
일상, 그리고 행복(жизнь и счастье)
출처
책소개
레프 니콜라예비치 톨스토이

저자 소개2

레프 톨스토이

관심작가 알림신청

Lev Nikolayevich Tolstoy,레프 니콜라예비치 톨스토이

러시아의 소설가이자 시인이자 사상가. 도스토옙스키와 함께 19세기 러시아 문학을 대표하는 대문호로 손꼽힌다. 1828년 9월 9일, 러시아 남부 야스나야 폴랴나의 톨스토이 백작 집안에서 넷째 아들로 태어났다. 두 살과 아홉 살 때 각각 모친과 부친을 여의고, 이후 고모의 후원으로 성장했다. 어린 시절에는 집에서 교육받았고, 16세가 되던 1844년에 카잔대학교 동양어대학 아랍·터키어과에 입학하였으나 사교계를 출입하며 방탕한 생활을 일삼다 자퇴해 1847년 고향으로 돌아갔다. 진보적인 지주로서 새로운 농업 경영과 농노 계몽을 위해 일하려 했으나 실패로 끝나고 이후 3년간 방탕하게
러시아의 소설가이자 시인이자 사상가. 도스토옙스키와 함께 19세기 러시아 문학을 대표하는 대문호로 손꼽힌다. 1828년 9월 9일, 러시아 남부 야스나야 폴랴나의 톨스토이 백작 집안에서 넷째 아들로 태어났다. 두 살과 아홉 살 때 각각 모친과 부친을 여의고, 이후 고모의 후원으로 성장했다. 어린 시절에는 집에서 교육받았고, 16세가 되던 1844년에 카잔대학교 동양어대학 아랍·터키어과에 입학하였으나 사교계를 출입하며 방탕한 생활을 일삼다 자퇴해 1847년 고향으로 돌아갔다. 진보적인 지주로서 새로운 농업 경영과 농노 계몽을 위해 일하려 했으나 실패로 끝나고 이후 3년간 방탕하게 생활했다. 1851년 맏형이 있는 캅카스에서 군인으로 복무했다.
1852년 문학지 『동시대인』에 처녀작인 중편 자전소설 「유년 시절」을 발표해 투르게네프로부터 문학성을 인정받았다. 1853년에는 『소년시절』을, 1856년에는 『청년시절』을 썼다. 1853년 크림전쟁이 일어나자 전쟁에 참여했다. 당시 전쟁 경험은 훗날 그의 비폭력주의에 영향을 미쳤다. 크림전쟁에 참전한 경험을 토대로 『세바스토폴 이야기』(1855~56)를 써서 작가로서 명성을 확고히 했다.
이듬해 잡지 『소브레멘니크』에 익명으로 연재를 시작하면서 작가로 첫발을 내디뎠다. 작품 집필과 함께 농업 경영에 힘을 쏟는 한편, 농민의 열악한 교육 상태에 관심을 두어 학교를 세우고 1861년 교육 잡지 『야스나야 폴랴나』를 간행했다. 1862년 결혼한 후 문학에 전념해 『전쟁과 평화』, 『안나 카레니나』 등 대작을 집필, 작가로서 명성을 누렸다. 1859년에 고향 야스나야 폴랴나에 농민학교를 세우는 등 농촌 계몽에도 지속적인 관심을 기울였다.
34세가 되던 1862년에 소피야 안드레예브나와 결혼해 슬하에 자녀를 열세 명 두었다. 볼가 스텝 지역에 있는 영지를 경영하며 농민들을 위한 교육 사업을 계속해 나갔다. 1869년 5년에 걸쳐 집필한 대표작 『전쟁과 평화』를 발표하면서 세계적인 작가로 명성을 얻었으며 1873년에는 『안나 카레니나』 집필을 시작해 1877년에 완성했다. 1880년대는 톨스토이가 창작활동을 가장 왕성하게 한 시기로 알려져 있는데, 『사람은 무엇으로 사는가』 『크로이체르 소나타』 『이반 일리치의 죽음』 등이 이때 쓰였다.
그러나 이 무렵 삶에 대한 회의에 시달리며 정신적 위기를 겪었다. 그리하여 1880년 이후 원시 기독교 사상에 몰두하며 사유재산 제도와 러시아 정교를 비판하고 『교의신학 비판』 『고백』 등을 써서 ‘톨스토이즘’이라는 자신의 사상을 체계화했다. 사십 대 후반 정신적 위기를 겪으며 삶과 죽음 그리고 종교 문제에 천착하면서 작품세계의 분수령이 되는 『참회록』(1879)을 내놓았고 정치, 사회, 종교, 사상적 문제들에 관해 계속 저술하고 활동했다.
술과 담배를 끊고 직접 밭일을 하는 등 금욕적인 생활을 지향했으며, 빈민 구제 활동도 했다. 1899년 종교적으로 전향한 이후 대표작 『부활』을 완성했으며, 말년까지도 『예술이란 무엇인가』(1898), 『부활』(1899) 등을 발표하며 세계적 작가로서 면모를 과시했다. 수익은 당국의 탄압을 받던 두호보르교도를 캐나다로 이주시키는 데 쓰였다. 그 자신은 백작의 지위에 있는 귀족이었으나 『바보 이반』 『사람은 무엇으로 사는가』 『사람에게는 얼마나 많은 땅이 필요한가』 『세 가지 질문』 등을 집필해 러시아 귀족들이 재산을 너무 많이 소유했기 때문에 대다수 민중이 가난하게 살고 있음을 비판하다 러시아 귀족들의 압력으로 『참회록』과 『그렇다면 우리는 무엇을 할 것인가?』의 출판 금지를 당했다.

하지만 독자들은 필사본이나 등사본으로 책을 만들어 몰래 읽었고 유럽, 미국, 아시아에 있는 출판사들이 그의 작품을 출판해 외국에서는 이들이 베스트셀러가 되었다. 그는 극단적인 도덕가가 되어 1880년 이후에 낸 일련의 저술에서 국가와 교회를 부정하고, 육체의 나약함과 사유재산을 비난하는 의견을 발표했다. 개인이 저작물에서 이득을 취하는 것이 부도덕하다는 생각에 저작권을 포기하겠다고 선언했고(1891), 1899년 종교를 바꾼 이후에 대표작 『부활』을 완성했다. 이 작품은 러시아에서 출간되자마자 독일, 영국, 프랑스 등에서도 번역되었으며, 출판 수익은 당국의 탄압을 받던 두호보르교도를 캐나다로 이주시키는 데 쓰였다.

1901년 『부활』에 러시아 정교를 모독하는 표현이 들어 있다는 이유로 종무원(宗務院)으로부터 파문을 당했다. 노년에 접어들어서도 집필 활동을 왕성하게 펼쳐 『이반 일리치의 죽음』(1886), 『크로이처 소나타』(1889), 『예술이란 무엇인가』(1897), 『부활』(1899) 등을 계속 발표했다. 사유재산과 저작권 포기 문제로 아내와 불화하던 중 1910년 집을 떠났으며 82세 때 현재 톨스토이역으로 바뀐 아스타포보역 역장의 관사에서 폐렴으로 영면했다. 임종 때 아내를 보지 않겠다고 한 톨스토이의 마지막 말은 “진리를…… 나는 영원히 사랑한다…… 왜 사람들은……”이었다.

톨스토이는 귀족이었으나 왜곡된 사상과 이질적 현실에 회의를 느껴 실천하는 지식인의 삶을 추구했다. 고귀한 인생 성찰로 러시아 문학과 정치, 종교관에 놀라운 영향을 미쳤고, 인간 내면과 삶의 참 진리를 담은 걸작을 많이 남겨 지금도 러시아를 넘어 세계적인 대문호로 존경받고 있다. 인간과 진리를 사랑했던 대문호 톨스토이는 세계 문학의 역사를 바꾼 걸작들을 남긴 소설가이자 인도 마하트마 간디의 비폭력 사상에까지 영향을 준 ‘무소유, 무저항’을 몸소 실천한 사상가였다. 톨스토이 작품에서만 볼 수 있는 문체와 서사적 힘은 지금도 여전히 유효하다. 특히 소설 속 아름다운 풍경 묘사와 이야기의 서사성, 섬세한 인물 심리 묘사 등이 돋보였던 그는 오늘날까지도 19세기 러시아 문학을 대표하는 대문호로 사랑받고 있다.

레프 톨스토이의 다른 상품

1959년 서울에서 태어났다. 고려대학교 노어노문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오하이오 주립대학교 슬라브어문과에서 문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1991년부터 현재까지 고려대학교 노어노문학과 교수로 재직하면서 지속적으로 도스토옙스키 강의를 해왔다. 한국러시아문학회 회장과 한국슬라브학회의 회장을 역임했다. 저서로 『매핑 도스토옙스키: 대문호의 공간을 다시 여행하다』, 『인간 만세: 도스토옙스키의 <카라마조프가의 형제> 읽기』, 『자유: 도스토예프스키에게 배우다』, 『도스토예프스키, 돈을 위해 펜을 들다』, 『톨스토이, 도덕에 미치다』, 『러시아 문학의 맛있는 코드』 등이 있으며, 역서로는 도스
1959년 서울에서 태어났다. 고려대학교 노어노문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오하이오 주립대학교 슬라브어문과에서 문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1991년부터 현재까지 고려대학교 노어노문학과 교수로 재직하면서 지속적으로 도스토옙스키 강의를 해왔다. 한국러시아문학회 회장과 한국슬라브학회의 회장을 역임했다. 저서로 『매핑 도스토옙스키: 대문호의 공간을 다시 여행하다』, 『인간 만세: 도스토옙스키의 <카라마조프가의 형제> 읽기』, 『자유: 도스토예프스키에게 배우다』, 『도스토예프스키, 돈을 위해 펜을 들다』, 『톨스토이, 도덕에 미치다』, 『러시아 문학의 맛있는 코드』 등이 있으며, 역서로는 도스토옙스키의 『분신』, 『가난한 사람들』, 『백야 외』(공역), 톨스토이의 『이반 일리치의 죽음·광인의 수기』(공역), 푸시킨의 『예브게니 오네긴』, 『대위의 딸』, 체호프의 『지루한 이야기』, 자먀틴의 『우리들』, 스트루가츠키 형제의 『세상이 끝날 때까지 아직 10억 년』 등이 있다. 푸시킨 작품집 번역에 대한 공로로 1999년 러시아 정부로부터 푸시킨 메달을, 2000년 한국백상출판문화상 번역상을 받았다. 2018년 고려대학교 교우회 학술상을 수상했다.

석영중의 다른 상품

품목정보

발행일
2024년 12월 27일
쪽수, 무게, 크기
240쪽 | 122*188*13mm
ISBN13
9788955868357

책 속으로

우리는 사물의 행복을 이해할 수 없지만 그래도 사물에 대해 안다고 할 수는 있다. 우리 안에서와 마찬가지로 우리는 사물 안에서도 이성의 법칙에 순종하여 살아가는 경향을 발견하기 때문이다.
---p.55

그녀는 인간이 오를 수 있는 행복의 절정에 다다랐다. 그 단계에 오르면 인간은 완전히 선하고 참된 사람이 되어 악이니 불행이니 슬픔이니 하는 것들이 존재할 수 있다는 사실 자체를 아예 믿지 않게 된다.
---p.99

어째서 예전에는 저 높은 하늘을 보지 못했을까? 마침내 저 하늘을 알게 되었으니 나는 정말로 행복하구나! 그렇다! 모든 게 다 부질없다. 저 무한한 하늘 외에는 모든 게 다 거짓이다.
---p.145

개인적 존재의 행복을 불가능하게 만드는 것은 무엇인가? 첫째, 개개인이 자신들만의 행복을 위해 벌이는 투쟁이고, 둘째, 생명의 낭비와 포만과 고통을 야기하는 쾌락의 기만이고, 셋째는 죽음이다.

---p.189

출판사 리뷰

우리는 행복에 관해 항상 묻곤 한다. 아니, 정확히 말하면 행복을 구하고자 한다. 항상 행복을 찾아 헤매며, 우리네 인생의 목표를 행복에 두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렇게 행복을 좇아 살아가는 우리는 잠시 멈추기도 한다. 잠시 뒤를 돌아보기도 하고, 내가 가고 있는 정말 맞는 길인지 의심하기도 한다. 그리고 공포가 엄습한다. 과연 나는 제대로 살고 있는 것인가? 나는 내 인생을 살고 있는 것인가?

러시아의 대문호 톨스토이 또한 그러한 공포를 느꼈다. 그리고 자살까지 기도하면서 자신의 삶에 대한 회의를 느꼈다. 그의 나이 50의 일이었다. 그는 이미 『안나 카레니나』, 『전쟁과 평화』로 이름을 날렸고, 막대한 부와 명성을 얻었다. 그러는 중에도 그는 농민들을 위해서 학교를 세우고 봉사하는 삶을 살았다. 하지만, 그는 타인의 눈으로 보았을 때 행복한 삶이 분명함에도, 권태와 자살 충동을 느꼈다. 그는 인생의 의미에 대해 다시 물었고, 인생은 헛되었으며 죽음만이 이 삶에서 벗어날 수 있는 길이라 느꼈다. 그는 젊은 시절 루소를 숭상했고, 칸트와 쇼펜하우어에 빠진 시절도 있었다. 도덕에 매달렸고, 어떻게 하면 더 나은 삶을 살아갈 수 있을지 매일 고민했다. 메레시콥스키나 조지 슈타이너, 츠바이크 또한 톨스토이의 이런 자기 학대와도 같은 완결성 추구, 도덕성 추구가 그를 지금과 같은 위상으로 올려놓았다고 평가한다. 이번에는 이러한 그의 성향이 그를 위기로 밀어 던졌다.

그렇게 고통스러운 밤들이 지나고, 그는 종교에서 답을 찾았다. 정확히 말하면 사랑에서 답을 찾았다. 우리 모두는 그물과 같이 엮여 있고, 그물 속에서 사랑하며 살아가야 행복을 느낄 수 있다. 자연이 아름다운 이유는 생태계라는 그물을 깨지 않고 서로 상호보완되며 살아가고 있기 때문이고, 죽음이 다가올 때 인간의 행동이 추악하게 보이는 까닭은 죽어가는 자와 죽음을 지켜보는 자들 사이에 고통과 분열이 있기 때문이다. 학자와 평론가들은 이 위기를 변곡점으로 삼고 톨스토이의 작품세계가 달라졌다고 말한다. 하지만 그와 동시에 그가 추구하고자 했던 메시지는 변하지 않았다고 입을 모은다. 톨스토이는 인생 전반에서 사랑에 대해 외쳤고, 그 사랑이 우리를 구원하고 행복으로 가져다 준다고 믿었다.

고려대학교 노어노문학과 명예교수 석영중 교수가 선보인 톨스토이의 문장들은 이러한 맥락에서 구성되었다. 톨스토이가 말한 행복의 본질이 무엇이고, 톨스토이가 이상화한 자연은 어떻게 연결되며, 결국 그 행복을 위한 수단이자 목적인 사랑은 무엇이고, 마지막으로 그것을 일상에서 어떻게 구현되는지 선보이고자 했다. 그간 톨스토이와 도스토옙스키의 세계를 독자들에게 선보인 석영중 교수의 말은 이제 톨스토이의 문장이라는 파편으로 구성되어 독자들에게 선보여질 것이다. 우리가 어떤 삶을 살아야 하는가, 우리는 어떻게 행복을 구해야 하는가? 인생을 살면서 반드시 자문하게 될 질문들에 답을 톨스토이는 작품과 문장의 파편으로 독자에게 전달한다.

리뷰/한줄평11

리뷰

9.8 리뷰 총점

한줄평

첫번째 한줄평을 남겨주세요.

12,600
1 12,6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