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 소장하고 있다면 판매해 보세요.
저루이스 세풀베다
관심작가 알림신청Luis Sepulveda
루이스 세풀베다의 다른 상품
역엄지영
관심작가 알림신청엄지영의 다른 상품
인간은 나의 덩치를 보고 언제나 두려움을 느꼈다. 그리고 나를 차지할 수 없다는 생각으로 인해 막연한 불안감에 사로잡히기도 했다. 저렇게 커다란 동물을 무엇에다 쓸까? 태초부터 인간은 그게 궁금했던 모양이다.
---p.19 나는 인간들의 배에 절대 가까이 다가가지 않았다. 그들의 용기를 존중했고, 그들 또한 바다에서 사는 존재들이라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p.22 느림보 거북이도 다른 거북이를 공격하지 않는다. 탐욕스러운 상어도 다른 상어를 공격하지 않는다. 아무리 생각해도 이 세상에서 자기와 비슷한 이들을 공격하는 종은 인간밖에 없는 것 같다. ---p.37 아직 젊은 달빛 향유고래인 네가 앞으로 해야 될 일은 모차섬과 육지 사이의 바다에 살면서 할머니 고래 넷을 보살피는 거란다. 그러는 동안 우리는 저 넓은 바다로 마지막 여행을 떠나게 될 날을 기다리겠지 ---p.62 그들은 밧줄을 이용해 혹등고래를 뱃전으로 끌어 올리고 있었다. 갓 태어난 새끼 고래도 비극적인 운명을 피하지 못했다. 선원들이 어미 혹등고래와 새끼 고래의 몸을 토막 내고 있는데도, 그들은 여전히 꿈틀거리고 있었다. ---p.95 내 머리가 거기에 부딪친 순간, 그 충격으로 보트는 두 동강이 나면서 인간들은 모두 물속에 빠지고 말았다. 나는 공포에 질려 비명을 지르는 인간들을 꼬리로 사정없이 내리쳤다. ---p.96 인간들은 아주 먼 곳에서 오는 거야. 하지만 이 세상 그 어떤 것도, 심지어는 죽음조차도 그들의 탐욕과 야망을 막을 수 없어. ---p.108 그 뒤 20년이 지나 죽음을 맞이한 순간, 26미터에 달하는 그의 몸에는 1백 개 이상의 작살이 박혀 있었다고 한다. 그리고 보름달이 뜨는 밤에는 사람이 살지 않는 모차섬 서쪽 해안에서 달빛과 똑같은 거대한 하얀 향유고래가 바다에서 솟구쳐 오른다는 이야기도 전해지고 있다. ---p.122 |
라틴 아메리카의 신화와 역사 속
신비롭고도 가슴 아픈 어느 고래의 이야기 세풀베다의 이번 동화 속에서는 어느 선주민 부족의 신화와 실제 역사가 교차한다. 칠레 해변에는 바닷가에서 해산물과 해조류를 채취하면서 살고 있는 라프켄체Lafkenche라는 부족이 있다. 「바다의 사람들」이라는 뜻의 이 라프켄체 부족에는 고래에 관한 신비로운 신화가 전해져 내려오는데, 죽음을 맞이하면 「트렘풀카웨」라는 고래들이 나타나 그들을 수평선 너머의 자유로운 세계로 인도한다는 내용이다. 동화 속 화자인 「달빛 고래」는 이 트렘풀카웨 고래들을 보호해 달라는 부탁을 할아버지 고래에게 받게 된다. 그들의 적은 고래를 사냥하는 인간들이다. 달빛 고래는 바다의 일부처럼 살아가는 라프켄체 사람들과 달리 서로 싸워 죽이기까지 하는 잔혹한 성질을 가진 인간들에게 큰 충격을 받지만, 그래도 처음에는 그들을 멀리 쫓아내는 것에 그친다. 그러나 어느 날 암컷 고래와 그 젖을 빠는 새끼 고래를 무자비하게 죽이는 고래잡이배를 보고, 분노를 이기지 못해 선원들을 몰살시켜 버린다. 실제로 1820년 11월 20일, 칠레의 모차섬에서는 거대한 향유고래가 고래잡이배를 공격해 침몰시킨 사건이 있었다. 그 고래에게는 「모차 딕」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평화로운 자연을 향해 악을 행하는 인간들, 결국 그 화살은 스스로에게 돌아온다 우리는 매일같이 인간이 자연을 향해 저지르는 악을 목도하고 있다. 동시에 우리 한 명 한 명은 그 악행의 주체이다. 아무런 악의를 갖지 않고도, 우리들은 그렇게 자연에게 악을 행한다. 다 먹지도 못할 만큼의 음식을 만들기 위해 동물을 수도 없이 죽이고, 다 입지도 못할 만큼의 옷을 만들기 위해 동물의 털을 뽑으며, 과잉 생산된 물건들을 사막 곳곳에 버려 환경을 더럽히고, 우리 인간은 이제 더 이상 스스로 정화하지 못하는 지구에서 이상 기후로 인해 벌어지는 온갖 참사에 고통을 당한다. 루이스 세풀베다는 자연의 섭리 속에서 감사하며 살아가야 할 인간이 탐욕으로 인해 그 자연을 공격하고 결국 그 대가로 스스로 몰살당하는 모습을 철학 동화 속에 묘사했다. 거대한 향유고래는 자연의 힘이고, 고래잡이배는 우리 인간의 모습이다. 자연의 정의가 부메랑처럼 돌아와 인간들을 향하고 있는 지금, 우리는 자연의 무서움을 깨닫고 삶 속에서 자연을 지키기 위한 노력을 시작해야 할 것이다. 옮긴이의 한마디 세풀베다가 꿈꾸는 수평선 너머의 세계는 구체적으로 어떤 곳일까? 그것은 그의 문학 세계 전반을 관류하는 주제, 즉 「자유」가 거대한 물길처럼 흐르는 세계가 아닐까? 자유란 「최고의 가치」인 동시에, 「가장 순수하고 이상적인 것」이고, 「그런 자유를 얻기 위해 투쟁할 때 비로소 우리 인간은 자유로워질 수」 있기 때문이다. 우리가 투쟁을 통해 비로소 자유로운 인간이 될 수 있는 것과 마찬가지로, 생동하는 실체로서의 미래 또한 실천을 통해 끊임없이 새로운 모습으로 우리의 눈앞에 나타날 ─ 비록 그것이 일시적이라 나타났다 사라진다 할지라도 ─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