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부 몽테뉴는 누구인가?2부 앙드레 지드가 선별한 몽테뉴 사상의 핵심_『수상록』 독자에게 전하는 말『수상록』을 쓰게 된 배경 죽음에 대한 고찰 관습에 대하여 학문의 어려움 자녀교육의 방도 제2외국어를 배우는 방법 진정한 우정 신세계 사람들 시의 황홀함 책을 구성하는 방식 한 사람을 판단하려면 나의 아버지 죽음의 문턱에서 나를 관찰하고 연구한다 자식을 다루는 법 독서하는 방법 의견의 변동성 인간의 본질 불신은 공격을 불러온다 글을 쓰고 말하는 방법 영혼과 육체의 결합 온전히 제멋대로 움직인다 입 밖으로 내뱉은 말의 무게 기억력이 없으면 모른다는 사실을 부끄러워하지 않는다 건강이야말로 보석 악의적 즐거움 후회가 싫다 노화를 미룬다 세 가지 교제 고통스러운 생각에 사로잡히면 꼰대가 되지 않기 위해 건강이 주는 기쁨 엄격함에 대한 혐오 더 솔직해지고 싶다 좋은 결혼이란 가장 나다운 글 노년의 사랑 정복자들의 모순 대화가 즐거워지려면 말에 관한 말 혁명의 이면 내전의 공포 사랑하는 파리 여행은 유익한 훈련이다 우정에는 긴 팔이 있어 노년과 쾌락 나이 들어도 여행하는 이유 여행을 하는 방식 법의 준수『수상록』에서 부주의해 보이는 점 모호함에 대한 혐오 로마에 대한 기억 자식이 없어도 쓸모 있는 일 공약을 지키다 소문과 과장 소크라테스의 가르침 고통 속에서 나를 지키는 법 역병에 대한 불안감 죽음에 대한 이해 아름다움과 선함 사이의 거리 인상이 좋아야 한다 가장 바람직한 법이란 법이 어려운 이유 해석을 해석하는 일 자유를 빼앗긴다면 자연의 법칙 문을 밀어보아야 안다 엉뚱한 행동 누구나 까탈스럽다 차라리 즐거움을 추구한다 질병을 겪고 난 다음에 개인적인 습관 군인과 대화하기 타고난 자족감 나이 들어간다는 것 아이를 키운다면 현명하게 세월을 받아들인다 춤출 때는 춤을 추고, 잠잘 때는 잠을 잔다 잘 살아가는 방법 삶의 가치
|
Andr-Paul-Guillaume Gide,앙드레 폴 기욤 지드
앙드레 지드의 다른 상품
오웅석의 다른 상품
“이토록 유쾌한 고전이라니!”『수상록』을 가장 쉽고 정확하게 읽는 방법! 어지러운 세상 속에서 ‘나’로 살아가는 법을 배우다!고전은 오랫동안 많은 사람에게 널리 읽히고 모범이 될 만한 작품을 뜻한다. 그중에서도 몽테뉴의 『수상록』은 많은 작가에게 사랑받은 가장 영향력 있는 작품이다. 그 이유는 한마디로 설명할 수 없을 만큼 많은데, 우선 몽테뉴가 살았던 시대적 배경을 알아야 한다. 16세기 프랑스는 종교전쟁과 마녀사냥, 페스트가 창궐한 비참한 시대였다. 부유한 집안에서 태어난 몽테뉴도 시대적 불운은 피해갈 수 없었다. 그는 어린 자식들을 잃었고 분파싸움의 희생양이 되기도 했다. 누구도 자유롭게 살아가기 어려운 시대에 몽테뉴는 오직 ‘자신’만을 탐구하며 지금껏 누구도 쓰지 않았던 방식으로 글을 썼다. 바로 이것이 에세이의 시초가 된 『수상록』이다. 기존의 형식을 따르지 않고, 이토록 가감 없이 자기 생각을 솔직하게 쓴 글이라니, 몽테뉴의 글은 경직된 풍조가 만연한 문학계에 파문을 일으켰다. 많은 소설가, 철학자들에게 사랑받은 『수상록』은 여러 세기를 걸쳐 흔적을 남겼다. 영국의 평론가들은 몽테뉴 철학의 영향을 받은 대표적인 희곡으로 셰익스피어의 『햄릿』을 꼽는다. 자신을 연구 대상으로 삼아 인간의 내면을 면밀히 묘사한 『수상록』 덕분에 햄릿과 같은 입체적인 인간상이 완성될 수 있었다. 셰익스피어, 에머슨 같은 문학작가뿐만 아니라 니체, 루소 같은 철학자들은 그 덕분에 인간의 내면에 한 발짝 더 다가갈 수 있었다고 고백한다. “죽음을 생각할수록 삶은 더욱 빛난다!”삶과 죽음, 인간에 대한 위대한 통찰몽테뉴는 계획하거나 방식을 정해놓은 것이 아니라 우연히 드는 생각과 책을 읽다가 떠오른 생각을 기록하는 방식으로 자신을 온전히 드러내 보여준다. 그중에서도 앙드레 지드가 주목한 것은 몽테뉴의 탈시대적인 사고방식이 드러나는 부분이다. 교육과 정신건강, 운동과 식습관, 젊음과 노년 등 시대를 막론하고 사람들의 관심사가 되는 주제들을 몽테뉴는 특유의 재치를 담아 담담하게 서술한다. 그런데 재미있는 것은 앙드레 지드가 읽었을 때도 그랬고, 지금 우리가 읽어도 이 글들이 생동감 있게 와닿는다는 것이다. 그 이유는 몽테뉴의 글이 어떤 주제이든 ‘삶에 대한 긍정’을 바탕으로 하고 있기 때문이다. ‘철학을 한다는 것은 죽는 법을 배우는 것이다’라고 말할 만큼 몽테뉴는 늘 죽음을 생각한 철학자였다. 그런데 역설적이게도 죽음을 생각할수록 죽음에 대한 두려움은 없어지고, 지금의 하루하루가 얼마나 소중한지 알게 되었다고 고백한다. 우리가 고전을 읽는 이유는 변치 않는 가치를 일깨워주기 때문일 것이다. 이 책은 ‘오늘의 소중함’, ‘나로 살아가는 즐거움’, ‘건강이 주는 기쁨’ 등 평범한 오늘에 감사할 수 있는 자세를 일깨워준다. ‘몽테뉴는 말한다. “나는 다시 살게 되더라도 지금껏 살아온 것처럼 살 것이다. 나는 과거를 한탄하지 않으며 앞으로 올 일을 두려워하지 않는다.” 우리 모두 이런 삶을 살 수 있기를 바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