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은이의 말 아이의 자존감, 부모와의 대화로 쑥쑥 자랍니다!1장. 자존감 높은 아이가 행복하다자존감이 아이의 인생을 바꾼다왜 우리 아이의 자존감이 중요한가? | 구글이 신입사원 채용 시 중시하는 5가지 | 자존감이란 무엇인가아이의 자존감은 부모와의 관계에서부터 시작된다부모의 자존감, 아이의 자존감 | 부모의 기대 목표를 낮추면 아이의 자존감이 높아진다 | 부모와의 관계에서 시작되는 자존감 자존감 형성은 부모의 말에 달려 있다부모와의 상호작용이 아이의 자존감을 키운다 | 자존감은 한 번에 높일 수 없지만 순식간에 무너뜨릴 수는 있다경청과 공감이 자존감을 높인다우리 아이 스피치, 자존감과 함께 자란다 | 공감과 경청의 표현을 하라 부성과 모성으로 아이의 자존감을 키운다2천여 년 전 논어의 가르침, 후생가외 육아법 | 부성과 모성으로 아이를 키운다2장 자존감 높이는 대화법아이의 욕구를 알면 자존감이 높아진다아이의 욕구를 대하는 5가지 방법아이의 이야기를 잘 들어줄수록 자존감이 높아진다부모가 바라는 경청과 아이가 바라는 경청은 같다 | 아이를 신나게 하는 부모의 질문 | 용기, 격려, 위로가 담긴 알맞은 피드백이 자존감을 높여준다아이의 이야기에 공감할수록 자존감이 높아진다아이의 말 중에서 핵심어를 찾아 피드백하자 | 아이들은 공감받기 위해 말한다 아이의 감정을 이해할수록 자존감이 높아진다아이의 감정을 이해하는 말 | 아이의 감정을 이해해주면 아이의 공감능력이 발달한다 | 강요하지 않아도 쑥쑥 커지는 양보와 배려심부모의 좋은 질문은 아이를 한층 성장시킨다아이가 자신에 대해 말할 수 있게 ‘질문’하는 부모 | ‘설마 우리 아이가 자기 자신도 모르겠어?’ | 부모의 ‘질문’은 아이의 ‘꿈’을 디자인한다 | ‘자기이해지능’을 높이는 부모의 질문 부정적인 감정을 받아들이면 자존감이 높아진다부모가 망치는 아이 자존감 | 부정적인 감정을 이해받으면 아이가 밝아진다 | 3개 층으로 이루어진 인간의 뇌 3장 부모의 말, 제대로 표현해야 아이에게 오해 없이 전달된다아이의 욕구와 부모의 바람을 절충하는 방법을 찾자‘왜’를 통해 아이의 욕구를 알 수 있다 | ‘어떻게’를 통해 바람을 절충하는 방법 | 단번에 해결되지 않을 수도 있다아이의 자존감을 깎아내리는 부모의 말 습관 자존감 떨어뜨리는 말, 말귀를 못 알아듣는다! | 듣기 유능감을 키워주자 | 우리 아이 자존감, 부모의 정확한 말에 달렸다길게 말하기, 크게 말하기는 도움이 안 된다부모가 감정적이면 감정전달이 어렵다 | 길게 말하면 내용전달이 어렵다 | 크게 말하면 소음으로 들린다칭찬할 때는 구체적인 사실과 병행하자구체적인 사실과 병행한 칭찬이 좋은 칭찬이다 | 칭찬할 점이 없는 내 아이 | 칭찬할 때는 아이에게 집중하자 부모도 아이에게 사과할 줄 알아야 한다 부모의 마음을 강요하지 말자 | 사과하는 부모의 5가지 유형 | 자존감 높은 부모는 사과도 잘한다 | 부모의 사과가 아이의 자존감을 높이는 이유4장 아이의 성격에 따른 대화법을 파악하자“안 해” “싫어” “미워” “아니야” 그리고 고집부리는 아이의욕이 없는 엄마, 매달리는 아이 | 청개구리 같은 아이, 자존감이 낮은 아이? | “안 해!”라는 아이의 속마음 vs. “알았어”라는 엄마의 속마음 | 아이의 반어법에 귀 기울이는 마음을 담은 반응 내성적이고 소심한 아이내성적이라는 용어가 주는 불편함|내향성 아이가 가진 장점들|내향성 아이의 자존감 씨앗은 당당하다 거칠고 공격적인 아이화내고 욕하고 뒹구는 아이 | “저한테 욕해봐야 소용없어요” | 부모의 말에서 독기를 빼자 | 작용과 반작용의 법칙을 기억하자지적하는 아이, 이르는 아이 지적하고 이르는 아이의 심리 | 부모의 지적 습관 돌아보기 | ‘지적’은 ‘가르침’의 품질을 떨어뜨린다남 탓하는 아이자존심과 자존감은 모두 소중하다 | 남 탓과 핑계, 두려움을 살펴주자 | 남 탓하는 아이, 혼내지 말고 먼저 안아줘라 | 넌 사랑받는 존재야, 아이를 안심시키는 말 한마디 감정 기복이 심한 아이문제아는 없고 문제부모가 있다? | 자기조절능력이 부족한 아이 | 부모의 감정 기복이 아이의 감정 기복으로 이어진다5장 덜 화내면서 잘 전달하는 것이 중요하다아이와 함께 규칙을 정하자혼낼 일을 줄여주는 ‘규칙 정하기’ | 드라마틱한 효과가 있는 아이가 만든 ‘규칙문’ | 규칙을 어기면 규칙이 적힌 종이를 보여주자“안 돼”라고 단호하게 말하자“안 돼”라는 말은 꼭 필요할 때 확실히 해야 한다 | 말은 단호하게, 훈육은 민주적으로 | 좋은 기는 살리고, 나쁜 기는 조절하는 훈육화내지 않고 아이를 설득하는 방법정색하지 말고 유연하게 대하기 | 예측 상황 이야기하기 | 괜찮다는 말로는 설득되지 않는다아이의 반항심을 부추기는 표현을 자제하자“왜 저희를 무시하는 거죠?” | 반항심이 들게 하는 조건부 말 | 때로는 말을 아끼자격려의 언어, 긍정의 언어로 말하자자존감을 살리는 긍정의 언어 | 아이 자존감을 떨어뜨리는 지적의 말6장 독립심을 키워주면 자존감이 높아진다아이의 독립심은 자존감과 연결된다말을 잘 듣는다는 것의 한계는 엄마가 더 잘 안다 | 자존감을 키우는 독립심 | 독립심 키우기도 단계가 있다 | 독립심 키우며 자존감 키우기 대신해주지 말고 기다리자언제까지 대신해주어야 할까? | 유능감을 키우려는 신호의 말 | 대신해주는 부모의 심리 | 하루일과 목록화 하기 아이에게 선택권을 주자 아이의 선택권이 자존감을 키운다 | ‘둘 중 하나 선택하기’ 비법 | 선택권을 주지 않는 부모의 심리, 불신아이 스스로 문제해결책을 찾도록 질문하자구체적인 질문이 문제해결책을 찾게 한다 | 원인을 아는 게 문제해결의 단서 | 아이가 해결하게 하는 질문법 | 부모라는 리모컨
|
임영주의 다른 상품
좋은 대화가 아이의 자존감을 키운다!이 책은 우리 아이 자존감의 중요성, 그리고 자존감을 높이는 방법을 다양한 사례와 함께 총 6개의 장으로 나누어 소개한다. 1장 ‘자존감 높은 아이가 행복하다’에서는 자존감이 아이의 인생에 미치는 영향과 자존감을 키우는 것의 중요성에 대해 설명한다. 아이와 부모의 관계, 대화 방식은 아이의 자존감을 좌우한다. 아이를 지적하지 않고 경청하고 공감해주는 것은 아이의 자존감을 지켜준다. 이를 위해 가져야 할 부모의 마음가짐과 대화법에 대한 팁을 제공한다. 2장 ‘자존감 높이는 대화법’에서는 부모가 아이에게 원하는 게 있을 때 어떻게 요구해야 하는지, 아이가 말할 때 어떻게 반응해야 하는지, 아이에게 어떤 질문을 하는 것이 자존감을 견고하게 만드는지에 대해 이야기한다. 아이는 이성의 뇌 부위인 전두엽보다는 감정의 뇌인 변연계가 더 발달되어 있기 때문에 감정 뇌에 접근하는 대화방식이 필요하다. 3장 ‘부모의 말, 제대로 표현해야 아이에게 오해 없이 전달된다’에서는 아이의 욕구와 부모의 욕구가 상충할 때, 아이의 자존감을 깎아내리지 않으면서도 부모의 메시지를 전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부모가 무언가를 요구할 때 아이가 제대로 해낼 수 있도록 듣기 유능감을 키우는 법, 잘 칭찬하고 사과하는 법에 대해서도 알아본다. 4장 ‘아이의 성격에 따른 대화법을 파악하자’에서는 고집부리는 아이, 내성적이고 소심한 아이, 거칠고 공격적인 아이, 지적하고 이르는 아이, 남 탓하는 아이, 감정 기복이 심한 아이 등 총 6가지 유형에 따른 대화법을 설명한다. 방법론적인 접근 외에도 근본적으로 부모가 어떻게 달라져야 아이가 올바른 방향으로 나아가고, 아이의 자존감을 키울 수 있는지도 설명한다. 5장 ‘덜 화내면서 잘 전달하는 것이 중요하다’에서는 부모가 화내지 않고 아이를 설득하는 방법과 아이의 반항심을 부추기는 잘못된 표현 등을 설명하고, 아이의 잘못된 행동을 예방하는 방법을 소개한다. 또 무조건 엄마가 자신의 감정을 숨기는 것이 아니라 필요할 때는 반드시 “안 돼”라고 단호하게 말함으로써 현명한 훈육을 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6장 ‘독립심을 키워주면 자존감이 높아진다’에서는 아이의 독립심이 자존감과 어떤 연관이 있으며, 독립심과 자존감을 함께 키울 수 있는 화법에 대해 알아본다. 독립심을 키우기 위해 어느 단계에서 어느 정도까지 대신해주고 기다려줘야 하는지와, 아이에게 선택권을 주고 문제를 해결할 방법을 찾도록 하는 화법에 대해 배울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