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검색을 사용해 보세요
검색창 이전화면 이전화면
최근 검색어
인기 검색어

소득공제
아주 가까이 죽음을 마주했을 때
자녀 잃은 부모의 희망 안내서
가격
28,000
10 25,200
YES포인트?
1,400원 (5%)
5만원 이상 구매 시 2천원 추가 적립
결제혜택
카드/간편결제 혜택을 확인하세요

이미 소장하고 있다면 판매해 보세요.

  •  국내배송만 가능
  •  최저가 보상
  •  문화비소득공제 신청가능

카드뉴스로 보는 책

카드뉴스0
카드뉴스1
카드뉴스2
카드뉴스3
카드뉴스4
카드뉴스5
카드뉴스6
카드뉴스7

상세 이미지

책소개

목차

저자의 말 6

01. 자녀 잃은 부모에게 보내는 편지 13
02. 삶의 시작 23
03. 갑작스러운 죽음 49
04. 혼수상태에 빠지다 73
05. 자연스럽게 삶을 준비시키는 방법 85
06. 상실은 성장과 이해의 촉매 107
07. 실종과 피살, 자살에 대하여 132
08. 대체 요법 시각화 156
09. 죽음에 대한 내면세계와 상징 언어 169
10. 어떻게 도울 수 있나? 194
11. 헤어지고 떠나보내고 222
12. 삶의 축하연, 장례식 258
13. 죽어 감과 영적 돌봄 271

옮긴이 에필로그 303

저자 소개2

엘리자베스 퀴블러 로스

관심작가 알림신청
 

Elizabeth Kubler Ross

스위스 출신의 정신과 의사, 전세계 호스피스 운동의 선구자로 평생 죽음에 대한 연구를 멈추지 않았다. 미국 [타임]지가 선정한 ‘20세기 100대 사상가’이다. 불치병을 앓는 아이들, 에이즈 환자, 그리고 노인들과 함께 일했던 저자는 자신의 죽음이나 사랑하는 이의 죽음에 대처하는 수백만의 사람들에게 위안과 이해를 가져다주었다. 죽음을 앞둔 수많은 사람들을 만나고 보살피면서 깨닫게 된 삶과 죽음에 관한 지혜를 세미나와 강연회를 통해 많은 사람들에게 전달하려 노력했다. 세계적으로 학술세미나와 워크숍에 가장 많이 초청받은 정신의학자이며, ‘역사상 가장 많은 학술상을 받은 여성’으로
스위스 출신의 정신과 의사, 전세계 호스피스 운동의 선구자로 평생 죽음에 대한 연구를 멈추지 않았다. 미국 [타임]지가 선정한 ‘20세기 100대 사상가’이다. 불치병을 앓는 아이들, 에이즈 환자, 그리고 노인들과 함께 일했던 저자는 자신의 죽음이나 사랑하는 이의 죽음에 대처하는 수백만의 사람들에게 위안과 이해를 가져다주었다. 죽음을 앞둔 수많은 사람들을 만나고 보살피면서 깨닫게 된 삶과 죽음에 관한 지혜를 세미나와 강연회를 통해 많은 사람들에게 전달하려 노력했다. 세계적으로 학술세미나와 워크숍에 가장 많이 초청받은 정신의학자이며, ‘역사상 가장 많은 학술상을 받은 여성’으로 기록되어 있다

1926년 스위스 취리히에서 세 쌍둥이 중 첫째로 태어난 저자는 제2차 세계대전이 끝나고, 열아홉에 폴란드 마이다넥 유대인수용소에서 소명을 발견한다. 그곳에서 죽음을 맞이해야 했던 사람들이 수용소 벽에 수없이 그려 놓은, 환생을 상징하는 나비들을 보고 삶과 죽음의 의미에 대해 새로운 눈을 뜨게 된 것이다. 취리히대학교에서 정신의학을 공부한 저자는 미국인 의사와 결혼, 뉴욕으로 이주하였고, 앞장서서 의사와 간호사, 의대생들이 죽음을 앞둔 환자들의 마음속 이야기를 들어주는 세미나를 열고, 세계 최초로 호스피스 운동을 의료계에 불러일으킨다. 24권의 책은 36개국어로 번역되었으며, 2004년 78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났다.

인간의 죽음에 대한 연구로 평생을 보낸 퀴블러 로스의 『어린이와 죽음(On Children and Death)』은 10년 동안 죽어가는 아이들과 함께한 내용을 바탕으로 집필되었으며, 아이의 죽음을 직면하고 있는 가족들에게 살아갈 용기와 희망을 준다. 대표적인 저작으로 『인생 수업』, 『상실 수업』, 『생의 수레바퀴』, 『안녕이라고 말하는 그 순간까지 진정으로 살아 있어라』, 『어린이와 죽음』, 『죽음과 죽어감』 등이 있다.

엘리자베스 퀴블러 로스의 다른 상품

1959년 아버지가 연세대학교 부산분교학장, 어머니가 부산 YWCA 간사 시절 셋째이자 맏딸로 부산에서 태어났다. 연세대학교 영어영문학과를 졸업하였고, 동대학원에서 사회복지학으로 석사학위를 받은 후 2014년부터 각당복지재단 상임이사로 근무하고 있다. 번역서로『어린이와 죽음』(엘리자베스 퀴블러 로스 지음)과 편저서로 1세대 여성운동가 김현자의 삶과 사랑을 담은『사랑한 시간을 찾아서』가 있다.

오혜련의 다른 상품

품목정보

발행일
2025년 02월 05일
쪽수, 무게, 크기
308쪽 | 135*225*30mm
ISBN13
9791192794532

책 속으로

함께 성장하며 귀 기울여야 할 내면세계의 중요성을 깨닫기를 바란다. 인간의 직관과 정신, 즉 내면세계는 깨달음과 평안을 주고 사랑과 이해에서 멀어지지 않으며, 삶의 폭풍우를 헤쳐나갈 방향을 제시한다고 확신한다.
--- p.10

아무도 다른 이의 애통을 막아 줄 수도, 거두어 갈 수도 없다. 자식 잃은 부모에게 어떤 위로의 말이 소용 있겠으며, 누가 암울한 현실을 사라지게 하겠는가. 하지만 도움을 주거나 곁에 있어 줄 수 있다. 말할 상대가 필요하거나 울고 싶을 때, 어렵고 복잡한 결정을 혼자서 내려야 할 때 거기에 있어 줄 수 있다.
--- p.38

서로의 고통뿐 아니라 희망도 함께 공유한다. 많은 부모는 아이의 죽음이 다가왔다는 징후를 내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고 말한다. 이러한 비슷한 ‘예감’을 가진 사람과 그 특별한 상황에 대해 이야기하면서 위안을 얻을 뿐 아니라 인간의 영적 본성을 더 깊이 이해하게 된다.
--- p.51

사랑하는 가족이 죽어 갈 때, 죽기 전 며칠이나 몇 주 동안 집에서 잘 돌보아 준다면 죽음은 악몽이 아닌, 나눔과 사랑의 아름다운 경험일 것이다. 또한 이는 죽음을 받아들이는 데 큰 도움이 된다.
--- p.94

암 환자인 그녀는 가족과의 공유가 모두에게 얼마나 중요한가를 잘 보여 준다. 솔직함과 용기, 이해심은 암과의 투쟁에서 이기게 했고, 네 자녀를 키우면서 한 자녀가 자살 기도를 하는 등 복잡한 사정 속에서 가족을 잘 유지해 나갔다. 삶의 폭풍우를 잘 헤쳐 나오면 행복감과 자부심을 갖는데 이 가족의 경우도 그러했다.
--- p.116

자녀를 잃은 부모들과 관련하여 거의 다루어지지 않은 분야가 있는데 그것은 ‘의문스러운 죽음’의 원인이다. 우리사회는 아직도 공정성과는 거리가 멀다. 우리의 사법제도는 아직도 편파적이며, 종종 문제를 해결하기 보다는 문제를 만들어 내는 듯 보인다.
--- p.146

나는 이제 아는 사람이 사랑하는 사람을 잃었다는 소식을 들을 때마다 전화로 ‘내가 할 수 있는 일이 무엇인지 알려 주세요’라는 공허한 제의는 더 이상 하지 않는다. 그 사람의 필요에 꼭 맞는 한 가지 특별한 일을 생각하려고 한다.
--- p.204

앞으로의 연구와 출판으로 점점 더 많은 사람들이 우리의 육체는 단지 고치일 뿐이며, 사람의 겉껍데기일 뿐이라는 것을 ‘믿는’ 게 아니라 ‘알게’ 될 것이다. 우리 내면의 진짜 자신인 ‘나비’는 죽거나 파괴되지 않고, 우리가 죽음이라고 부르는 순간에 자유로워진다.

--- p.288

추천평

일어나지 말아야 할 일과 마주치는 것은 숨이 멎는 듯한 아픔이다. 그런데 그런 일이 일어나곤 한다. 이 책은 그래서 읽기가 쉽지 않다. 그러나 읽어야 한다. 그런 일에서도 우리 모두 사랑을 이어 살기 위해서다. 다행히 저자의 아픈 따듯한 서술이 역자의 고운 번역이 그대로 이어진다. 고마운 일이다. - 정진홍 (종교학자, 서울대학교 명예교수)
이 책을 읽는 동안 벅찬 감동으로 수시로 눈물이 터져 나왔다. 2004년 타계하기 전까지 죽음과 죽어감에 관해 700회 강연을 했던 퀴블러 로스 박사는 죽음학의 효시답게 죽음은 소멸이 아니라 옮겨감이라고 힘주어 말한다. 아이의 죽음만이 아닌 인간의 죽음과 관련된 문제에 대해 실제적인 충고를 해주고 있어 누구나 꼭 읽어야 할 책으로 추천한다. - 정현채 (전 서울대학교 의대 교수)
잘 알려진 대로 퀴블로 로스는 임종 간호에서도 어린 임종자에게 특별한 관심을 가졌다. 이 책은 그의 연구 성과가 집약된 책이다. 우리는 죽음학도 생경해 하지만 어린아이의 죽음 문제에 대해서는 더 무관심하다. 이 책은 그 무관심을 단번에 날릴 수 있는 최고의 책이다. - 최준식 (이화여자대학교 교수)
‘엄마, 언제나 사랑했고 영원히 사랑한다는 것을 아시길 바래요. 이제 하늘나라로 가지만, 나중에 엄마와 다시 만날 거예요.’(크리스의 유서-본문 중) 알폰스 데켄 박사는 회고록에 6살의 어린 여동생이 죽어가면서 한 말을 기록했습니다. “See you in heaven.” 우리도 이 세상을 떠날 때 하늘나라에서 가족을 만날 희망을 가지면 좋겠습니다. - 김옥라 (삶과죽음을생각하는회 설립자)

리뷰/한줄평9

리뷰

10.0 리뷰 총점

한줄평

첫번째 한줄평을 남겨주세요.

25,200
1 25,2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