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 소장하고 있다면 판매해 보세요.
들어가는 말 / 2024년 우리 경제, 매크로웨이브 전망
Part One : Macrowave Factors 매크로웨이브 요소들 제1장 / 글로벌 공급망 재편과 중국 벗어나기 [1] 멈춰 선 트로이카 [2] 중국이 기침하면, 한국 경제는? [3] 중국 의존증 벗어나기 [4] 인도-태평양 지역 [5] 인도가 떠오른다 [6] 다시 중동 붐이 오나 [7] ‘기회의 땅’ 폴란드 제2장 / 커피도 사치가 되는 인플레이션 [1] 저물가 시대의 종말 [2] 고물가가 뉴 노멀이 되는 이유 제3장 / 고금리가 ‘노멀’인 신세계 [1] 장·단기 국채 금리의 역전 [2] 저금리 시대 다신 안 온다 제4장 / 원화는 정말 ‘동네북’인가 [1] ‘강달러’ 기대하기 어려워 [2] 슬기로운 달러 투자 [3] 엔화, 어쩌면 가장 불확실 제5장 / 저출산에 고령화까지 [1] 한국은 정말 소멸하는가? [2] ‘늙어가는’ 한국이 더 문제다 제6장 / 빚이 너무 많은 나라 [1] 달갑지 않은 세계 1위 [2] 버는 족족 빚 갚기 바쁘다 [3] 나랏빚도 위태롭긴 마찬가지 제7장 / 한국의 가장 고약한 고질병, 규제 Part Two : On Semiconductor K-반도체 제1장 / 메모리 반도체와 파운드리 [1] 전반적인 업황 변화 [2] 삼성전자 이야기 [3] 하이닉스 이야기 [4] 치열한 AI 반도체 기선 잡기 [5] 어찌할꼬, 차량용 반도체 185조 시장 [6] 2024년 한국 반도체가 위험하다 Part Three : On Secondary Cell Batteries K-배터리 제1장 / 세계 전기차의 절반은 K-배터리로 달린다 [1] 반도체 능가하는 효자 될까? 제2장 / 배터리의 종류와 K-배터리 삼총사 [1] 전기차 배터리의 종류 [2] '꿈의 전고체 배터리' [3] LG엔솔이라 불리는 기업 [4] 차세대 배터리는 내게 맡겨 [5] 하이니켈 배터리의 선두주자 제3장 / K-배터리 소재 [1] 양극재 [2] 음극재 [3] 전해질(전해액) [4] 분리막 제4장 / 원료까지 장악하라 [1] 리튬 [2] 니켈 [3] 구리, 코발트, 망간, 알루미늄 제6장 / 쓰고 남은 폐배터리는 어떡하나? Part Four : On Bio and Healthcare K-바이오 제1장 / 바이오를 제2의 반도체로 [1] 바이오 초격차 [2] 미국도 중남미도 직접 팔겠습니다 [3] K-바이오의 아킬레스건 제2장 / 마이크로바이옴 치료제 급성장 예약 제3장 / 바이오-헬스케어에 스며드는 AI 서비스 [1] 한국보다 해외에서 더 뜨거운 호평 [2] AI로 정확도 높인 영상 판독 제4장 / 비만증에 걸린 ‘비만 치료제’ 시장 [1] 비만의 개념부터 [2] 2024년 비만 치료제 신드롬? 제5장 / 치매, 고치기는 어려워도 늦출 수는 있다 Part Five : On Defense Industry K-방산 제1장 / 상상하기도 어려웠던 세계 4강의 꿈 [1] 이스라엘도 제쳤다 [2] K-방산의 경쟁력 [3] 폴란드 수출로 봇물이 터지다 제2장 / K-방산 경쟁력의 마지막 퍼즐 [1] 무인기의 심장을 개발하라 [2] 고부가가치의 차세대 무기 [3] 다음 수출 주역은 군함? [4] 육·해·공 가리지 않는 ‘K-방산 두뇌’ 제3장 / 인정하자, K-방산의 길은 멀다 [1] 인공위성-극초음속-미사일 방어 [2] 갈 길 먼 엔진 기술 [3] 방산 경쟁력의 요체, RAM-C Part Six : On Automobiles and Mobility K-모빌리티 제1장 / 꾸준한 전진, 자동차 산업 [1] 현대차, 약진 제2장 / 전기차 판매 예보 ‘흐림’ [1] 전기차 판매, 왜 저조할까? [2] 중국 전기차의 빵빵해진 근육 제3장 / 전기차 시장 패권, ‘충전’에 달렸다? [1] 충전기가 아니라 데이터 컬렉터입니다 [2] 절대 놓칠 수 없는 충전기 시장 제4장 / 스마트폰을 넘보는 자동차 ‘전장’ [1] 이제 자동차는 소프트웨어다 [2] 차량용 디스플레이 OLED로 대전환 [3] ‘K-전·차연합’ 뜬다 제5장 / 모빌리티의 퍼스트 무버 [1] 하드웨어를 넘어 운전자의 삶으로 [2] 2024년 서울에 드론 택시 뜰까 Part Seven : On Artificial Intelligence Industry 인공지능 산업 제1장 / 챗GPT 이후 1년 [1] 토종 초거대 언어모델 경쟁 [2] 생활 속으로 파고드는 AI 제2장 / AI 생태계 구축하는 국내 기업들 [1] 네이버와 카카오 [2] LG와 삼성 [3] 통신사들의 비통신 사업 제3장 / 다양해지는 AI 서비스 [1] 범용 서비스는 거인들에게 양보하지요 [2] 약진하는 의료 AI 기업 [3] AI가 바꾸는 광고판 [4] 패션계의 맞춤형 AI Part Eight : On Construction & Properties K-건설 제1장 / 마침내 기지개 켜는 건설업 [1] 다시 꿈틀대는 중동 붐 [2] 66조 원 우크라이나 재건 시동 제2장 / 시공만 하는 게 아닙니다 [1] 선진국형 비즈니스 모델 [2] 건설의 꽃, 엔지니어링 [3] ‘노가다’ 아니고 ‘콘테크’ [4] 모듈러 주택 [5] K-전선이라 불러도 될까 [6] 돈 되는 ‘물 산업’ 제3장 / 부동산 시장, 언제 반전할까 Part Nine : On Shipbuilding Industry K-조선 제1장 / 이어지는 ‘잭팟’ 수주 [1] 쌓인 일감만도 4년치 [2] 이제 타깃은 고부가가치 선박 [3] 한국 주도의 LPG 추진선 기준이 곧 국제기준 Part Ten : On Nuclear Energy K-원전 제1장 / 원전 생태계를 완전히 정상화하라 [1] 이제 원자력은 '친환경 에너지' [2] 우리에게 유리한 CF100 제2장 / 베일 벗은 SMR [1] SMR이 무엇이기에? [2] 사고 위험 10억 년에 한 번 [3] 물밑 전쟁 와중의 SMR 수출 [4] 국내에도 들어서는 SMR [5] ‘SMR 발전선’도 만든다 Part Eleven : On Eco-Friendly Energy 친환경 에너지 제1장 / 그린 수소와 수소 에너지 [1] 진화하는 수소 에너지 프로젝트 [2] 온 세계가 찾는 두산 수소연료전지 [3] 하이브리드 가스 제2장 / 탄소를 붙잡아 묻거나 활용하기 [1] 주목받는 CCUS 비즈니스 [2] 한반도에 맹그로브가? 제3장 / 정답은 태양광 에너지 [1] 다 해봤지만 그래도 역시 태양광 [2] 미국 태양광 모듈 시장 굳건한 1위 Part Twelve : On Agriculture and Fishery K-푸드 제1장 / 스마트 팜과 농산물 [1] 사막에도 한국형 스마트 팜 [2] 품종 개발에 목숨 걸다 [3] 아프리카의 ‘쌀 나라’를 구한 통일벼 제2장 / K-푸드 수출의 선봉장 [1] 농수산물 수출 1등? 뜻밖이네! [2] K-라면, 비관세장벽 뚫고 진격 [3] K-블루 푸드의 기반을 구축하라 Part Thirteen : On Sectors with Gloomy Prospect 전망 흐린 산업 분야들 제1장 / 더디고 답답하기만 한 리오프닝 [1] 풀릴 듯 풀리지 않는 경기 [2] 리오프닝 특수는 물 건너갔나 제2장 / 불황으로 달라진 소비 심리 [1] 젊은 명품족 실종, ‘올 것이 왔다’ [2] 부진하기는 편의점도 마찬가지 [3] TV홈쇼핑, 겹치는 악재 [4] ‘리퀴드’ 소비 제3장 / 후회막심 [1] e커머스는 ‘반성 중’ [2] K-뷰티도 ‘반성 중’ [3] “팬데믹이 끝나니 죽을 맛입니다.” 제4장 / 왕년의 게임 왕국, 이젠 게임 오버? [1] 성공 신화에 갇혀버렸나? [2] 아뿔싸, 트렌드를 놓쳐버렸다 [3] 중국? 예전의 중국이 아님! [4] 메타버스 두드리는 게임사 제5장 / 돌파구가 안 보이는 금융업 [1] 이제 금융거래의 절반이 온라인 [2] 2024년은 ST를 만나는 해? [3] ‘간편결제’ 대전, 자웅을 겨뤄보자 [4] PF라는 이름의 검은 구름 |
저권기대
인도·태평양 지역에서 일어나는 일들이 21세기 세계의 궤도를 결정한다고 했던 미국은 그렇다 치더라도, 일본 역시 16년 전에 ‘인도양-태평양의 결합’이란 개념을 제시할 정도로 그 전략적 중요성을 일찌감치 간파했다. 유럽 주요국도 나름 전략을 제시하며 더 깊숙이 관여한다. 이제 한·미·일 협력이 ‘제도화’하면서 이 지역의 핵심적인 역할이 기대된다.
---「1부 1장 “글로벌 공급만 재편과 중국 벗어나기”」중에서 국내 최초로 챗GPT 원천기술 '트랜스포머' 모델을 구현한 것도 사피온이었다. 지금은 지능형 영상 인식-분석-추출에 주력하고 있다. 팹리스 성격인 사피온은 2024년 상반기엔 AI 반도체 소프트웨어 개발도구를, 하반기엔 자사 AI 반도체 시리즈의 차세대 모델 X330을 공개할 계획이다. 이렇게 되면 AI 반도체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를 두루 갖추게 된다. 또한 차량용 반도체 경험이 풍부한 텔레칩스와 함께 자율주행 전용 AI 반도체 사업에도 시동을 걸었다. ---「2부 1장 “메모리 반도체와 파운드리”」중에서 1992년 2차전지 개발에 뛰어든 LG에너지솔루션은 끊임없는 혁신을 이룩해온 세계 최고 수준의 배터리 제조사다. 2023년 현재 이 분야 지식재산권만 2만8,652건, 출원 특허를 포함하면 5만여 건을 보유하고 있다. 그 덕분에 2차전지에서는 참으로 드물게 한국이 특허 기득권을 갖고 산업을 주도하고 있다. LG엔솔은 우리나라와 중국, 미국, 유럽에서 R&D 센터를 운영하며 2023년 상반기에만 지난해보다 24.4% 증가한 4,707억 원을 투자했다. ---「3부 2장 “배터리의 종류와 K-배터리 삼총사”」중에서 이 책이 나올 때를 전후하여 기업가들, 경제전문가들, 정치인들은 중국에서 몇 년 전부터 부글부글 끓어오르고 있었던 위기를 본격적으로 논의하고 걱정하기 시작했다. 또 그들은 쉽사리 가라앉지 않는 인플레이션과 끈질기게 이어지는 고금리며, 갈수록 심해지고 있는 기후변화와 국가 간 빈부 격차 등을 두고 여전히 머리를 긁적이며 고민하고 있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은 끝날 듯하면서도 도무지 끝나지 않는 기묘한 전시 상황을 이어가고 있다. 이 모든 것이 한국의 경제에는 매크로웨이브 변동성이며 불안의 원인이다. ---「‘들어가는 말’」중에서 Stockholm International Peace Research Institute(SIPRI; 스톡홀름 국제평화연구소)라는 씽크 탱크는 한국이 2018년∼2022년 전 세계 방산 수출시장의 2.4%를 차지했으며, 이는 직전 5년보다 74%나 늘어난 것이라고 밝혔다. 이런 성장세는 압도적인 세계 1위다. 유럽·중동·동남아 등으로 무기 판매 지역을 넓히고 있는 ‘K-방산’의 수출은 2024년에도 계속 기분 좋은 성장세를 보여줄 전망이다. ---「5부 1장 “상상하기 어려웠던 세계 4강의 꿈”」중에서 국내에선 한동안 단절돼버린 원전 발주도 중동 지역에서 실현될 수 있다. 중동 내 원자력 발전 용량이 2030년까지 현재의 10배 수준으로 확대될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게다가 수소 에너지에 일가견이 있는 한국으로서는 이 지역의 수소 플랜트 발주 확대도 기대하고 있다. 중동은 그린수소와 블루수소 생산에 필요한 재생에너지원을 풍부하게 보유하고 있어서다. 가령 사우디아라비아는 향후 원전 건설에 400억 달러, 그린수소 등 신재생 사업에 320억 달러를 투자할 계획이다. ---「8부 1장 “마침내 기지개 켜는 건설업”」중에서 “팬데믹이 끝나니 죽을 맛입니다.”: 온라인 강의 플랫폼 ‘클래스101′은 한때 예비 유니콘으로 이름을 날렸다. 그 ’한때‘가 그리 오랜 과거도 아니다. 온라인 서비스가 활개를 쳤던 코로나 시대에 힘차게 부상했던 이 회사는 에듀테크 업계 양대 산맥으로 꼽히던 명성이 무색하게도 구조조정까지 단행하며 직원을 절반으로 줄였지만, 돌파구는 아직 안 보인다. 수요 확대를 위해 저렴한 구독료를 앞세운 구독 서비스로 전환까지 했지만, 경쟁이 심해지면서 수익성만 떨어지고 뜻을 이루지 못했다. ---「13부 3장 “후회막심”」중에서 |
기업의 성장동력을 확보하고 시장점유율을 넓히는 매크로웨이브!
시계 제로 안갯속에서 2024년의 희망과 기회를 찾는 최고의 기회! 작년과 올해 롤러코스터 같은 부침을 겪은 우리 경제의 다양한 섹터들. 산업마다 기업마다 치열한 전략과 경쟁력 싸움으로 얼룩지고 뒤틀린 경제 지형도. 돌아온 인플레이션, 이어진 금리 인상, 우크라이나 전쟁의 연장, 글로벌 공급망 재편, 요동치는 국제유가, 기후 변화로 인한 재앙 등등 매크로웨이브 요소들은 2024년의 대한민국 경제를 어떻게 변화시킬까? 개인과 기업의 비즈니스와 투자에 어떤 영향을 미칠까? 분석의 초점을 ‘경제’와 ‘산업’에 맞춘 2024년 비즈니스 전망서! “2024년 우리나라 산업과 경기, 비즈니스와 투자의 흐름을 시원하게 통찰하다.” 반도체, 2차전지, 바이오-헬스케어, 방산, 모빌리티, 인공지능, 건설, 조선, 원전, 친환경 에너지, 농수산, 유통-리오프닝, 게임, 금융. 2024년의 경제와 비즈니스는 어떻게 흘러갈까? 어떤 기업이 뜨고 어떤 기업이 질까? 메모리 칩이 이끌어온 K-반도체부터, 세계 최고 수준을 자랑하는 K-배터리, 역사는 짧지만 매섭게 성장하는 K-바이오 등은 2024년에도 그 위세가 당당할 것이다. 이제 막 빛을 보기 시작한 K-방산과 K-원전의 내년 전망 역시 ‘구름 없이 맑음’이다. 잠시 잊고 있었던 K-건설, K-조선, K-푸드 분야는 주로 해외시장의 활기로 인해 부활과 재기를 꿈꿀 것이다. 인공지능이나 우주산업처럼 이제 막 날갯짓을 시작했지만 장기적인 성장성에 주목해야 하는 산업은 꾸준히 주목받을 것이다. 게임, 유통, 호스피탤리티, 메타버스처럼 여전히 침체의 늪에서 허우적댈 우울한 분야도 있다. 대한민국의 ‘산업’과 ‘비즈니스’에 초점을 맞춘 『2024 비즈니스 트렌드 코리아』가 14개 주요 산업 분야의 2024년 ‘트렌드’를 정확히 예측한다. 월스트리트 출신 경제전문가의 매크로웨이브 트렌드 분석! 미리 전망한 자와 그렇지 못한 자의 차이는 결국 성과와 수익의 차이다. 시원시원한 매크로웨이브 요인부터 세세한 마이크로 이코노미까지 우리나라의 2024년 비즈니스 트렌드를 꼼꼼하게 분석 정리한 『2024 비즈니스 트렌드 코리아』 리스크와 변동성은 여전하고 불안과 걱정은 없어지지 않겠지만, 책에서 제시하는 인사이트로 독자들은 희망과 기회의 빛을 발견하게 될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