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검색을 사용해 보세요
검색창 이전화면 이전화면
최근 검색어
인기 검색어

소득공제
Bae Bien-U · STUDIES
베스트
예술일반/예술사 top100 2주
가격
30,000
10 27,000
YES포인트?
1,500원 (5%)
5만원 이상 구매 시 2천원 추가 적립
결제혜택
카드/간편결제 혜택을 확인하세요

이미 소장하고 있다면 판매해 보세요.

  •  해외배송 가능
  •  최저가 보상
  •  문화비소득공제 신청가능

카드뉴스로 보는 책

카드뉴스0
카드뉴스1
카드뉴스2
카드뉴스3
카드뉴스4
카드뉴스5
카드뉴스6
카드뉴스7
카드뉴스8
카드뉴스9
카드뉴스10
카드뉴스11
카드뉴스12
카드뉴스13
카드뉴스14
카드뉴스15

상세 이미지

책소개

목차

1. 치바시게오, 배병우-자연아(自然兒)가 담은 공간
2. 배병우·유홍준, 배병우의 사진 이야기: 한국의 정체성
3. 로버트 플렉, 배병우의 샹보르 사계
4. 토마스 바그너, 노쇠와 불변의 사원
5. 이브 미쇼, 사진은 사물들이 사진 찍히는 순간의 모습을 보여준다. 배병우의 사진들과 과-미학화의 세계, 이브미쇼와의 대담
6. 약력

저자 소개6

BAE BIEN U,裵炳雨

1950년 여수 출생. 1974년 홍익대 응용미술학과, 1978년 동 대학원 공예도안과를 졸업하고 독일 빌레펠트 대학에서 연구 생활을 했다. 거의 독학으로 사진을 배우며 고향을 닮은 자연을 카메라에 담다가 1984년부터 사진작가 배병우의 이름을 세상에 널리 알린 소나무 작업에 매달려 왔다. 그의 작품 속 소나무는 구불구불한 형상을 하기도 하고, 수직으로 강렬하게 뻗기도 하며, 서로 의지하듯 교차하기도 하여 특유의 거친 질감이 그대로 살아 있다. 또한 이른 새벽 장엄한 안개에 휩싸인 소나무를 보노라면 성스러움과 함께 꿈틀거리는 생명력이 느껴진다. 그가 주목하는 대상은 비단 소나무만
1950년 여수 출생. 1974년 홍익대 응용미술학과, 1978년 동 대학원 공예도안과를 졸업하고 독일 빌레펠트 대학에서 연구 생활을 했다. 거의 독학으로 사진을 배우며 고향을 닮은 자연을 카메라에 담다가 1984년부터 사진작가 배병우의 이름을 세상에 널리 알린 소나무 작업에 매달려 왔다. 그의 작품 속 소나무는 구불구불한 형상을 하기도 하고, 수직으로 강렬하게 뻗기도 하며, 서로 의지하듯 교차하기도 하여 특유의 거친 질감이 그대로 살아 있다. 또한 이른 새벽 장엄한 안개에 휩싸인 소나무를 보노라면 성스러움과 함께 꿈틀거리는 생명력이 느껴진다. 그가 주목하는 대상은 비단 소나무만이 아니다. 그는 자신이 태어난 바다와 산과 제주 오름 등 한국의 자연에 주목한다. 붓 대신 카메라로 그림을 그린다는 그는 사진이 한국 현대예술의 중심에 자리 잡도록 역할을 했으며, 국내는 물론 프랑스·일본·캐나다·미국·스페인·독일 등 국외에서 많은 전시를 열었다. 세계적인 팝 가수 엘튼 존이 작품을 구입해 화제가 되기도 했으며, 세계 유수의 아트경매에서 1억 원을 호가하며 낙찰되는 등 세계적인 작가로 활동 중이다.

국내에서 《풍경을 넘어서》 《사진 - 오늘의 위상》 등 다수의 기획전과 개인전을 가졌으며, 일본 국립근대미술관 '90년대 한국미술'(1996), 토론토 파워 플래닛 'Fast Forward'(1997), 파리 OZ 갤러리 '배병우 개인전'(1998), 서울 박영덕갤러리 '배병우 개인전'(2000) 등의 전시 경력이 있다. 2007년 여수세계박람회 명예홍보대사로 활동했다. 2009년에는 국립현대미술관 덕수궁미술관에서 국내 사진작가로는 처음으로 성황리에 전시를 치렀다. 1981년부터 현재까지 서울예술대학 사진과 교수로 재직중이며, 주요 작품집으로『종묘』(1998)『청산에 살어리랏다』(2005)『Sacred Wood』(2008)『창덕궁: 배병우 사진집』(2010)『빛으로 그린 그림』(2010) 등이 있다.

배병우의 다른 상품

치바 시게오

관심작가 알림신청

千葉成夫

미술평론가 전 도쿄국립근대미술관 학예실장

Yu Hong-june,兪弘濬

1949년 서울에서 태어났다. 서울대학교 미학과, 홍익대학교 대학원 미술사학과(석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동양철학과(박사)를 졸업했다. 1981년 동아일보 신춘문예 미술평론으로 등단한 뒤 미술평론가로 활동하며 민족미술인협의회 공동대표, 제1회 광주비엔날레 커미셔너 등을 지냈다. 1985년 2000년까지 서울과 대구에서 ‘젊은이를 위한 한국미술사’ 공개강좌를 십여 차례 갖고 ‘한국문화유산답사회’ 대표를 맡았다. 영남대 교수 및 박물관장, 문화재청장, 한국학중앙연구원 이사장을 역임했으며, 명지대 미술사학과 교수 정년퇴임 후 석좌교수로 있다. 평론집으로 『80년대 미술의 현장
1949년 서울에서 태어났다. 서울대학교 미학과, 홍익대학교 대학원 미술사학과(석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동양철학과(박사)를 졸업했다. 1981년 동아일보 신춘문예 미술평론으로 등단한 뒤 미술평론가로 활동하며 민족미술인협의회 공동대표, 제1회 광주비엔날레 커미셔너 등을 지냈다. 1985년 2000년까지 서울과 대구에서 ‘젊은이를 위한 한국미술사’ 공개강좌를 십여 차례 갖고 ‘한국문화유산답사회’ 대표를 맡았다. 영남대 교수 및 박물관장, 문화재청장, 한국학중앙연구원 이사장을 역임했으며, 명지대 미술사학과 교수 정년퇴임 후 석좌교수로 있다.

평론집으로 『80년대 미술의 현장과 작가들』, 『다시, 현실과 전통의 지평에서』, 『정직한 관객』, 답사기로 『나의 문화유산답사기』(국내편 1~10, 일본편 1~4), 미술사 저술로 『조선시대 화론 연구』, 『화인열전』(전2권), 『완당평전』(전3권), 『유홍준의 한국미술사 강의 1』 『추사 김정희』 등이 있다. 한국간행물윤리위원회 저작상(1998), 제18회 만해문학상(2003) 등을 수상했다.

유홍준의 다른 상품

로버트 플렉

관심작가 알림신청
미술평론가, 전시 기획자 쿤스트아카데미 뒤셸도르프 교수

토마스 바그너

관심작가 알림신청
미술평론가, 저널리스트 뉘른베르크 대학 미술사 명예교수

이브 미쇼

관심작가 알림신청

Yves Michaud

1944년 리옹에서 태어났으며, 프랑스 파리 제1대학의 철학과 교수. 1989년부터 1996년까지 에콜 데 보자르 학장으로 재직하면서 청소년을 위한 획기적인 정책들을 펼쳤으며, 프랑스에서 가장 유명한 대안 대학인 ‘모든 지식의 대학’의 설립자이기도 하다. 삶의 정체성에 관한 청소년들의 질문에 답하기 위해 유명 청소년 잡지 '오카피'에 철학, 심리학, 사회학 관련 기사를 연재하고 있다. 『철학 대장간』은 그 기사들을 묶어낸 책으로, 출간 후 화제의 베스트셀러가 되었다. 한국에도 철학 분야 스테디셀러인 『내일 지구에 종말이 온다면 나도 한그루 사과나무를 심을 수 있을까』 등 일곱 권
1944년 리옹에서 태어났으며, 프랑스 파리 제1대학의 철학과 교수. 1989년부터 1996년까지 에콜 데 보자르 학장으로 재직하면서 청소년을 위한 획기적인 정책들을 펼쳤으며, 프랑스에서 가장 유명한 대안 대학인 ‘모든 지식의 대학’의 설립자이기도 하다. 삶의 정체성에 관한 청소년들의 질문에 답하기 위해 유명 청소년 잡지 '오카피'에 철학, 심리학, 사회학 관련 기사를 연재하고 있다. 『철학 대장간』은 그 기사들을 묶어낸 책으로, 출간 후 화제의 베스트셀러가 되었다. 한국에도 철학 분야 스테디셀러인 『내일 지구에 종말이 온다면 나도 한그루 사과나무를 심을 수 있을까』 등 일곱 권의 책이 번역 출판되었다.

품목정보

발행일
2024년 12월 26일
쪽수, 무게, 크기
276쪽 | 386g | 125*190*18mm
ISBN13
9791199038202

책 속으로

나는 그의 작품 속에서 하늘은 ‘하늘’이면서, 동시에 이미 ‘공간(space) 그 자체’이기도 하다는 점을 깨달았다. 배병우는 초기 작품에서부터 피사체 대상을 무엇으로 고르든, ‘공간’을 ‘공간 그 자체’로 담아내는, 그러한 사진 작품을 실현해 냈다.
--- p.25

내가 관객으로서 느낀 것은 소나무 존재 자체에 대한 것을 그대로 담아보려고 하는 “순정”이 있지 않았는가! 어떤 서정적인 개입도 아니고 본인이 어떤 이미지에 감정을 넣는 것도 아니고 있는 소나무 그대로의 표정이기 때문에 굉장히 정지적이고 침묵하는 것 같아요. 한마디로 얘기하면 그 존재감이라고 하는 것을 작품으로 표현한 것이 아닌가 그런 생각을 해요.
--- p.87

배병우는 나무를 찍는 것이 아니라 나무 사이의 관계를 찍는다. 한 나무의 밑동에 바짝 붙인 그의 카메라는 나무의 배치도면 한 가운데에 뛰어들어 전통적인 풍경화의 패러다임을 뒤흔든다. 지평선은 여전히 제자리에 있지만 나무의 혼돈스러운 규칙에 가려 빛은 숲에 걸러지고 전체는 부분에 잊혀진다.
--- p.135

배병우는 한국의 전통적 풍경화를 사진 매체로 단순히 변환하지 않는다. 계속해서 영원에 몰입하고 자연의 숨결을 이미지로 포착하기 위해서다. 그 어떠한 공식도 반복하지 않는다. 마치 제의를 수행하듯 같은 장소를 오랜 시간에 걸쳐 촬영하는 방식을 통해 배병우는 (실재에 내재하는 불변성이 드러나는 그 순간에) 복제 불가능성을 포착한다.
--- p.165

그의 이미지들은 단순히 구도에 포착된 것이 아니라, 빛, 사진의 포맷, 하루 중 여러 순간에 따른 변화 등등을 담고 있는 하나의 사유-이미지입니다.

--- p.243

추천평

겸재 정선이 21세기 한반도에 올 수 있다면 배병우의 소나무에 무릎을 탁 쳤을 것이다. 배병우 작가와 유홍준 선생의 만남은 진정한 석학들의 대담이 무엇인지 다시금 깨닫게 해주었다. - 이미경 (재단법인 환경재단 대표)
사진 속에서 열정적으로 작업하시는 배병우 작가를 45년이 넘는 세월 동안 지켜봐 왔습니다. 한결같은 열정으로 작업에 몰두하시는 배병우 작가에게 존경을 표하며 오늘도 그의 새로운 작품을 기대합니다. - 김수철 (가수)
[Bae Bien-U · STUDIES]는 한 예술가가 그의 작품을 통해 구성해 낸 문화적?지역적 정체성이 미학적 영역에서 어떠한 방식으로 세계화되어 가는지 여실히 보여준다. 배병우의 소나무에 대한 세계적 비평가들의 해석은 상당 부분 미세한 차이를 드러낸다. 29살 즈음의 배병우가 그가 사는 땅, 한국의 상징으로서 처음 ‘소나무’를 떠올렸다면, 이제 그 소나무는 누군가에게 '자연 그 자체‘이자 ‘확장’이며, 또 다른 이에게 그것은 더이상 자연이 아닌 ‘사유-이미지’가 된다. 흥미로운 사실은 저자들 사이의 미세한 해석적 차이에도 불구하고 거의 모두의 시선이 공통적으로 ’사이 공간 in-between spaces' 을 향해 있다는 점이다. 나무 자체보다는 나무와 나무 사이의 바람과 빛, 더 나아가 어둠과 밝음 사이, 고요와 생동 사이, 자연과 인간 사이. 다층적 관계와 그 ’사이 공간‘을 상상하도록 만드는 비범함 속에 특수성을 세계성으로 전환시키는 힘이 존재할지도 모른다는 생각을 했다. - 류지영 (서울예대 교수, 예술학)
그의 대표작인 경주 남산의 소나무와 격렬한 화산 활동으로 형성된 제주 오름, 조선 왕조의 혼이 깃든 종묘 사진에서, 나는 이 땅의 자연과 역사의 숨결을 느낀다. 그의 렌즈는 공재 윤두서의 그 서늘하고 매서운 눈매를 닮아있다. 터럭 하나 놓치지 않으면서도 마음 속 깊은 곳까지 파고든다. - 윤재갑 (2025전남국제수묵비엔날레 총감독)
동서양 평론가들이 각기 다른 시선으로 시공의 깊이를 더해 가며 배병우 사진 작품세계에 대하여 미학과 미술사적 의미를 찾아가는 지침서로 평가할 수 있는 책이다.

일본의 치바 시게오, 한국의 유홍준, 오스트리아 로버트 플렉, 독일의 토마스 바그너, 프랑스의 이브 미쇼의 글과 대담으로 구성하여 다양한 시각에서 현대 한국의 사진작가 배병우의 작품이 국제무대에서 어떻게 높은 평가를 받고 있는지를 객관적 전달하고 있다.

자연아로서 애미니즘의 감각을 갖추고 있는 배병우의 숨결이 소나무의 숨결과 함께하고 있음을 치바 시게오는 명료하게 말하고 있고, 로버트 플렉은 서구에서 70년대 이후 사진이 현대미술의 한 장르로 인정받는 과정에서 배병우의 역할을 중대하게 평가하며 그 자신만의 사진적 문법을 창안하고 발전시켜 왔다고 평가하고 있다.

또한 유홍준은 겸재 정선과 배병우, 세대를 넘는 두 작가의 상통함을 우리 문화의 역사적 맥락에서 말하고, 토마스 바그너는 서구 문학의 언어 매체에 나타나는 자연관과 배병우의 사진을 통한 시각 매체의 동양적 자연관을 흥미롭게 비교하며 글을 전개하고 있다.

이 책은 더욱이 각국 평론가들의 원어와 배병우 작가의 사진 작품들을 내용에 맞추어 함께 편집하여 배병우 작품세계에 대한 국제적인 시각을 이해하는데 큰 도움을 준다. - 최병훈 (홍익대학교 명예교수)
[배.비엔-우.연구]는.내가.미처.모르고.있던.
작가.‘배병우’를.다시.만나는.반가운.시간이었다..
.
ㄴㄱ.모심 - 안상수 (날개,파주타이포그라피학교 교장)

리뷰/한줄평0

리뷰

첫번째 리뷰어가 되어주세요.

한줄평

첫번째 한줄평을 남겨주세요.

27,000
1 27,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