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 소장하고 있다면 판매해 보세요.
|
<소유와 존재의 차이에 대한 이해>
1. 일반적 고찰 2. 일상경험에 있어서의 소유와 존재 3. 구약.신약성서 및 에크하르트의 저술에 있어서의 소유와 존재 <두 가지 존재양식의 기본적 차이에 대한 분석> 4. 소유양식이란 무엇인가 5. 존재양식이란 무엇인가 6. 소유와 존재,그 새로운 측면 <새로운 인간과 새로운 사회> 7. 종교.성격.사회 8. 인간변혁의 조건과 새로운 인간의 특질 9. 새로운 사회의 특징 |
Erich Fromm
최근의 어법은 더욱 높은 소외의 정도를 드러내고 있다. '나는 괴로워하고 있다' 대신에 '나는 문제를 가지고 있다'고 말함으로써 주관적 경험은 배제된다. 경험의 '나'가 소유의 '그것'으로 대치되고 있는 것이다.
--- p.36 마지막 문단 |
여러 해에 걸쳐 나는 이 소유와 존재의 구분을 마음속 깊이 새겨두고, 정신분석학전 방법에 의해 개인과 집단에 대한 구체적 연구를 통하여 그 구분의 경험적인 토대를 찾으려고 노력했다. 그 결과, 이러한 구분은 삶에 대한 사랑과 죽음에 대한 사랑간의 구분과 더불어 생존의 가장 중요한 문제로서의 의미를 가지며, 경험적이며 인류학적이고 정신분석학적인 데이타는「소유와 존재는 경험의 두 가지 기본적 양식이며, 이 각각의 힘이 개인의 성격차와 사회적 성격의 여러 가지 유형간의 차이를 결정한다」는 사실을 입증하고 있다는 결론에 이르게 되었다.
--- p.29 |